본문: 마태복음 118-25

제목: 함께 하면 험한 길도 즐겁다

 

1.

어렸을 적 설날이나 추석이 되면 아버지는 항상 장롱 위에 보자기로 곱게 싸져 있는 족보를 내려 놓았습니다. 그리고는 자식들을 모두 불러 모아 족보를 설명하기 시작했죠. 너희는 광산 김가 38대손 용()자 항렬이다. 아들, 손자, 증손자까지 돌림자가 어찌될지 알려주셨습니다. 그리고 무슨 파인지 기억이 나진 않지만 우리 가문이 어떤 파에 속하고, 어떤 파에서 갈라졌는지 설명하기 시작하셨죠. 어린 마음에 그 시간이 매우 지겨웠지만 아버지의 논지는 간단했습니다. “우리 집안은 뼈대 있는 집안이다.”

마태가 자신의 복음서의 서두에 족보 이야기를 배치한 이유도 이와 비슷합니다. 마태의 복음서를 읽는 대상들은 유대인들이었습니다. 마태는 유대인들에게 구원자로 이 땅에 오신 하나님의 아들 예수가 정통성 있는 왕가의 계보를 이은 사람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었습니다. 더 자세히 말하면 예수의 아버지 요셉이 다윗 왕의 계보를 이은 왕의 자손이라는 것을 말하고 싶었죠. 베들레헴 사람 요셉이 비록 별 볼일 없는 사람 같이 보이지만 실은 다윗의 혈통을 물려 받은 귀한 집 자손이라는 겁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아들 예수가 요셉의 가문에 편입되게 되었음을 마태복음의 서두에서 밝히려고 한 겁니다. 마태복음 1장에서 예수는 아직까지 주인공이 아닙니다. 예수를 다윗 왕의 족보에 편입시킨 요셉에게 포커스가 맞춰지고 있는 겁니다.

 

누가가 그의 복음서의 시작에 마리아에게 포커스를 맞춘 것과 대조적으로 마태는 요셉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요셉의 어떤 행위가 어떻게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과 연결되는지를 마태는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요셉의 이야기를 이해하려면 요셉이 어떤 사람인지 살펴 보는 것이 우선이겠죠? 지난 주에도 말씀드렸지만 예수님 당시 이스라엘 남자들의 평균 결혼 연령이 18세에서 20세 정도였습니다. 요셉이 마리아와 약혼했다고 하니 그의 나이는 17세에서 20세 사이라는 것을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그의 직업은 목수였습니다. 나무를 다루는 목수라기 보다 집을 만드는 건축가로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태복음에서 요셉은 베들레헴 사람처럼 소개되지만 누가복음에서는 그가 나사렛 사람으로 묘사됩니다. 중요한 것은 요셉이 나사렛 여인 마리아와 약혼을 했다는 겁니다.

제 경험을 돌이켜 보면 상견례를 5월 말에 하고 8월 말에 결혼을 했습니다. 어찌 보면 3개월의 약혼 기간과 같은 시간이 있었던 거죠. 그 기간에는 뭔가 마음이 설레고 기분이 좋습니다. 장신대 근처 중곡동 일대의 복덕방을 돌며 집도 같이 알아보았습니다. 집이 구해지자 같이 세간 살이를 장만하러 다니고 결혼 준비를 했죠. 3개월이 얼마나 빨리 지나간지 모릅니다. 결혼을 앞둔 두 사람은 그 어느 때보다 행복합니다.

요셉도 그랬겠죠. 마리아라는 여인을 알고 그와 결혼을 약속한 요셉은 무척 설레는 날들을 보내고 있었겠죠.

 

2.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요셉에게 시험이 찾아 듭니다. 18세 청년이 감당하기엔 조금 버거워 보이는 시험이었죠. 그의 약혼녀 마리아에게 임신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었습니다. 아마도 마리아가 유대 산골에 엘리사벳의 집에 3개월을 머물고 와서부터 였겠죠? 요셉은 아마도 마리아로부터 그 사실을 전해 들었을 겁니다. 마리아가 입덧을 하며 초췌해진 모습으로 요셉을 찾아 왔겠죠. 그리고 천사가 일러 준대로 자신이 임신했다는 사실을 요셉에게 알렸겠죠. 요셉은 견딜 수 없이 괴로웠을 겁니다. 자신에게 찾아 든 이 시험을 받아들이기 힘들었을 겁니다. 문득문득 약혼녀 마리아에 대한 배신감이 올라왔을 겁니다. 마리아에 대한 의심을 갖는 것은 남자로서 당연한 반응이었을 거구요. 사람들의 구설수에 자기 이름이 오르내리는 것도 싫었을 겁니다. 그냥 조용히 끝나기만 바랐겠죠.

 

율법대로라면 요셉은 자신의 약혼자를 고발하고 그녀를 심판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성경은 요셉이 의로운 사람이었다고 밝히죠. 의롭다는 것은 율법을 잘 지키며 살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보다 율법의 정신을 잘 이해한 사람이었다고 보는 게 낫습니다. 왜냐면 요셉은 약혼자에게 부끄러움을 주지 않기 위해 조용히 파혼하려하고 있잖습니까? 이 정도만 해도 정말 율법의 정신을 잘 실천한 사람이 틀림 없습니다.

율법의 근본 정신인 자비가 그의 마음에서 작동하고 있잖습니까. 그래서 마리아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선에서 일을 마무리 하고 싶었던 겁니다.

 

이러한 요셉의 마음의 번뇌를 종결시킨 것은 하나님이었습니다. 하나님은 천사를 보내시어 자신의 뜻을 확실하게 요셉에게 전합니다. 천사의 메시지는 마리아 때와 마찬가지로 두려워 말라로 시작합니다. 요셉의 번뇌와 갈등의 근본적인 감정이 두려움이었음을 우리는 알 수 있습니다. 어린 새신랑 요셉이 겪어야 했을 두려움, 그 두려움을 걷어낸 것은 다름아닌 하나님의 해석이었습니다. 마라이가 임신한 아기가 성령님에 의해 잉태된 아이임을 확신시켜줍니다. 그리고 그 아들은 그렇게도 이스라엘 민족이 기다렸던 메시아이자 구원자인 예슈아Joshua(히브리말 구원자)임을 알려줍니다. 이 아이의 이름을 통해 이 아이가 어떤 삶을 살 게 될 것인지 의미를 해석해 주고 계신 것이죠. 나아가 이 아이의 탄생이 성경의 예언서에서 이미 예언된 사실이라는 것을 설명해 주십니다.

 

그 꿈이 얼마나 생생했고, 그 해석이 얼마나 확실했으면 요셉은 잠에서 깨어나자 마자 천사의 말대로 마리아를 아내로 맞아들이기로 합니다. 그가 마음을 고쳐 먹은 것이죠. 하나님의 해석을 믿기로 했고 그 해석대로 받아들이기로 한 것입니다. 이것이 마태가 전하는 예수의 탄생 이야기의 시작입니다. 마태는 도대체 의로운 남자 요셉을 통해 무엇을 독자들에게 말해주고 싶었던 것일까요? 그리고 오늘날 우리는 이 이야기를 통해 어떤 깨달음과 교훈을 얻을 수 있을까요?

 

3.

지난 주에도 말씀드렸지만, 천사의 말씀을 들은 마리아가 하나님의 손을 잡고 결단하지 않았다면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는 이뤄지지 못했을 겁니다. 인간의 순종이 하나님의 구원을 만들어가는데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우리는 간과할 때가 많습니다. 우리의 작은 순종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은 지금도 이 땅 위에서 이뤄져 가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그런데 마리아의 순종은 요셉의 순종이 곁들어지지 않으면 이뤄질 수 없는 것이었습니다. 요셉이 파혼이라도 하고 마리아를 내치기라도 했다면 예수 탄생의 아름다운 이야기는 이뤄질 수 없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아무리 성령으로 잉태하셨을지라도 요셉이 그를 아들로 받아들이는 결단이 없이 다윗의 가문에 예수가 편입될 수 없었던 것이죠.

 

저는 요셉의 이 행위를 율법의 본질인 의로운 행위에서 발로했다고 이해합니다. 그것은 요셉의 의로운 행위가 예수가 지신 십자가와 너무나 닮아 있기 때문입니다. 예수의 십자가는 말 그대로 Cross입니다. 하나님의 사랑과 공의가 십자가 위에서 크로스 되고 있습니다. 의로우셔서 사람들의 죄를 심판하셔야 하는 하나님의 공의와 그럼에도 인간을 사랑하셔서 그들의 죄를 용서해야 하는 하나님의 사랑이 십자가에서 교차합니다. 공의롭게 심판해야 하지만 자비와 사랑으로 조용히 끊고자 한 요셉의 마음 속에서 율법의 본질이 교차했던 것입니다. 그렇지만 요셉은 율법이 예언한 예수의 탄생을 읽어낼 안목이 없었습니다. 그 눈을 열어 준 것이 천사와의 만남이었던 것이구요. 지금 자신에게 일어나고 있는 이 엄청난 사건이 하나님이 계획한 것이고 하나님에 의해 이뤄져 가는 놀라운 사실이라는 것을 그제야 깨달았던 것입니다.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을 요셉은 깨닫게 된 것입니다. 이것이 이해되고 받아들여지자 요셉은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여 새로운 선택을 하게 된 것이구요.

 

요셉의 순종은 예수 탄생의 놀라운 역사를 이뤄냅니다. 하나님께서 아무리 놀라운 계획을 갖고 계시더라도 우리들이 순종하지 않으면 그 계획은 차질을 빚습니다. 하나님의 계획은 늦어지고 더뎌지게 됩니다. 그러기에 우리들의 순종이 너무나 귀하고 값진 것입니다. 요셉은 하나님의 마음을 알았고 그 뜻을 따르기로 합니다.

 

4.

요셉의 순종의 핵심은 마리아와 함께 하기였습니다. 마리아가 헤치고 갈 그 험난한 믿음의 길을 함께 걸어가 주기로 한 겁니다. 그녀가 하나님과 잡은 손을 그도 반대편에서 잡고, 하나님을 가운데 모시고 손잡고 함께 걸어가기로 한 겁니다. 마리아가 앞으로 겪게 될 모진 풍파를 함께 겪기로 마음 먹은 것입니다. 마리아가 비를 맞는다면 그도 함께 비를 맞고 걸어가기로 마음 먹은 것입니다.

 

신영복 선생님의 처음처럼이라는 책에 보면 이런 글귀가 있습니다. “돕는다는 것은 우산을 들어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비를 맞는 것입니다. 함께 비를 맞지 않는 위로는 따뜻하지 않습니다. 위로는 위로를 받는 사람으로 하여금 스스로가 위로의 대상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기 때문입니다.”

요셉은 마리아와 함께 비를 맞기로 한 것입니다. 마리아가 품은 그 큰 꿈이 얼마나 아름답고 위대한지 그녀의 손을 잡고 걸으며 확인시켜 주고 싶었던 겁니다. 더이상 율법의 잣대로 마리아를 판단하지 않고 그냥 묵묵히 지지하고 응원해주기로 한 겁니다. 사랑하기로만 마음 먹은 것입니다. 요셉이 품은 이 사랑의 마음이 예수 탄생 이야기의 정수입니다. 요셉이 이런 사랑을 갖게 된 것은 하나님의 그 크신 사랑을 이해하고부터였습니다. 하나님의 사랑이 부어지자 사랑을 실천한 것이죠.

 

여러분 사랑은 함께 비를 맞아주는 것입니다. 함께 비를 맞는 것이 다른 이들 보기에 바보같아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비를 맞는 사람의 입장에 서서 함께 그 아픔에 동참하기로 마음 먹은 이의 결단은 너무나 아름답습니다. 예수의 탄생을 기다리는 우리에게 요셉의 이야기는 이 아름다운 동행을 웅변해주고 있습니다.

 

5.

우리들도 이런 아름다운 동행을 우리 삶 가운데 만들어내면 좋겠습니다. 진리를 찾고 진리대로 살고자 씨름하는 이들의 손을 잡아 주십시오. 그들을 비난하지 말고 응원해 주시고 격려해 주십시오. 하나님의 뜻대로 살아보고자 발버둥 치는 이들과 함께 하는 이들의 삶이 아름답습니다. “처음처럼이란 책에 이런 글귀도 있습니다. “여럿이 함께 가면 험한 길도 즐겁다.” 마리아가 주의 뜻을 이루는 그 험난한 길에 요셉이 동행함으로 그들은 예수 탄생의 아름다운 이야기를 함께 만들어 낼 수 있었습니다.

 

제 얘기를 하게 되어 죄송합니다. 저는 결혼 전까지 중국 선교사가 꿈이었습니다. 그런데 아내를 만났는데 아내가 중국을 별로 안 좋아했습니다. 그래서 중국은 가고 싶은데 다른 선교지들을 물색하기 시작했죠. 중국의 이슬람 지역으로 가고 싶었기 때문에 대안으로 중동 국가인 요르단으로 정했습니다. 처음엔 요르단 선교사 파송이 순조롭게 일이 잘 진행되었습니다. 그러던 중 갑자기 큰 사건이 터졌습니다. IS라는 이슬람 무장 단체가 요르단 전투기를 피격시킴으로 요르단 현지가 긴장 속으로 들어가게 됐죠. 교회에서는 저를 요르단으로 보낼 수 없다며 다른 선교지를 찾아보라고 했습니다. 그때 꿈에 첫 선교지인 중국이 떠오르더라구요. 아내에게 중국으로 가는 것이 어떻겠냐고 물었습니다. 그랬더니 아내도 쉽게 결정할 수 없었는지 기도원에 같이 가자고 그러더라구요. 가평의 필그림 하우스라는 곳에서 둘이 기도하면서 아내는 저와 함께 중국에 가기로 마음을 고쳐 먹었죠. 저는 아내가 중국에 가는 것이 죽기보다 싫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뜻이라면 순종하겠다고 따라와 준 아내에게 지금도 감사합니다. “함께 가면 험한 길도 즐겁다라는 것을 중국에서 알게 되었습니다.

 

다하나 교회와 인터뷰할 때부터 로체스터의 겨울이 얼마나 혹독한지 겁을 주시더군요. 제가 곰곰히 생각해 보았습니다. 로체스터의 겨울이 혹독한 이유는 뭘까? 진짜 기온이 낮아서 그럴까? 우리가 겨울이 힘든 이유는 단절 때문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겨울에는 다른 이들과 접촉이 어려워집니다. 눈 때문에 바깥 출입도 뜸하고 더더욱 고립 되어지기 쉽죠. 그럴 때일수록 우리가 연결고리들을 만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 한국의 시골에는 나이드신 어르신들이 많습니다. 동네에 이집 저집  그냥 인사만 하며 돌아다니시는 분들이 한 분씩 꼭 계십니다. 이 분들이 하는 임무는 밤새 어르신들에게 별 일 없는 지 살피는 것입니다. 저희 고향 마을에도 그런 어르신이 계시는데 진짜 인사만 하고 가십니다. 그런데 이런 분들 때문에 혼자 쓸쓸하게 죽어가는 어르신들이 없어집니다. 우리 로체스터에서는 집집 마다 돌아가며 안부를 묻기는 힘들지만 서로 서로가 문자로라도 안부하며 챙겨주면 좋겠습니다. 이렇게 눈 쌓인 곳에서 어떤 영화 대사처럼 잘 지내시죠?”라며 안부라도 묻는다면 서로에게 큰 위로가 될 것입니다.

 

지난 주에 화수목 세 분과 점심 약속을 했는데 세 분이 모두 저에게 점심을 사주시더라구요. 그런데 제 마음이 너무나 따뜻해지더군요. 그 분이 나를 생각하고 배려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연결들이 우리 안에 많이 이뤄지면 좋겠습니다. 내 목장 사람들 뿐만아니라 주변에 외로운 사람이 누가 있는지 사랑이 필요한 사람이 누가 있는지 살피고 함께 해주는 사랑이 우리에게 필요한 듯합니다. 여성들 커피 모임처럼 남성들 커피 모임도  간간히 가지면 좋겠습니다. 어떤 분이 함께 라면이라는 라면 모임을 가지면 어떻겠냐 제안을 하시더군요. 라면 먹으며 교제하는 모임 정말 멋지잖습니까? 함께 라면 이 겨울도 외롭지 않습니다. 함께 라면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것도 어렵지 않습니다. 부부가 서로에게 힘이 되어주십시오. 자녀들에게 여러분이 함께 하고 있다는 것을 표현하십시오. 좋은 선물과 좋은 말들로 자녀들을 격려해 주세요. 어제 중등부 아이들과 “Avatar 2”영화를 봤는데 그런 대사가 나오더라구요. “Family would be a fortress wherever you go”. “Solid stick together” 서로 끈끈히 연대하면 우리는 두려울 게 없습니다.

 

예수님의 탄생 이야기는 요셉과 마리아의 아름다운 동행에서 시작하였습니다. 로체스터에 하나님 나라가 이뤄지는 그 아름다운 이야기도 여기 모인 우리들이 함께 할 때 만들어져 가게 됩니다. 함께 라면 두렵지 않습니다. 함께 라면 외롭지 않습니다. 함께 라면 험한 길도 즐겁기만 합니다. 이러한 함께함을 즐길 수 있는 비결은 하나님의 사랑으로 채워질 때만 가능합니다.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이해했을 때 의로운 요셉은 더욱 사랑이 가득한 사람으로 마리아와 동행했듯이 말입니다. 우리도 하나님 주신 사랑과 은혜로 이웃들과 함께 동행하는 따뜻한 사람들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Microsoft Word - Sermon script_translation_12182022.docx

Matthew 1:18-25
Title: Even the rough journey is pleasant if together Translated by Wi Chung-il

1.
When I was young, on New Year's Day or Chuseok, my father always put down a genealogy wrapped in a cloth on top of a chest of drawers. Then he called all my siblings together and began to explain our genealogy. He said that we are the 38th generation descendant of the Gwangsan Kim family. He told us what should be a Hanglyul (shared first name, like rhyme in first name; translator) of sons, grandchildren, and even great-grandchildren. And I don't remember the exact name of faction, but he started explaining which faction my family belonged to and from which faction it split. The time was very boring to my young mind, but my father's point was simple. “My family is a well-built family”. Matthew's reason for placing the genealogy story at the beginning of his Gospel is similar to this. The audience for reading Matthew's Gospel was the Jews. Matthew wanted to emphasize to the Jews that Jesus, the Son of God, who came to this earth as a savior, was a descendant of an orthodox royal family. More specifically, he wanted to say that Joseph, the father of Jesus, was a descendant of a king who continued the lineage of King David. Even though Joseph of Bethlehem looks like an insignificant person, he is actually a descendant of a noble family who inherited the lineage of David. And he tried to reveal at the beginning of the Gospel of Matthew that Jesus, the Son of God, was incorporated into Joseph's family. In Matthew 1, Jesus is not yet the main character. The focus is on Joseph, who incorporated Jesus into the genealogy of King David.

In contrast to Luke's focus on Mary at the beginning of his Gospel, Matthew focuses his attention on Joseph. Matthew wants to talk about how certain acts of Joseph are connected to the birth of Jesus Chri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ory of Joseph, the first thing to do is to look at what kind of person Joseph is, right? As I mentioned last week, the average age of marriage for Israeli men at the time of Jesus was 18 to 20 years old. Since Joseph is engaged to Mary, we can assume that he is between 17 and 20 years old. His occupation was a carpenter. He is better understood as an architect making houses rather than a carpenter handling wood. In Matthew's Gospel Joseph is introduced as a Bethlehemite, but in Luke's Gospel he is described as a Nazarene. The important thing is that Joseph was betrothed to Mary, a Nazarene woman.

Looking back on my experience, we had a meeting with parents at the end of May and got married at the end of August. In a way, it was like a three-month engagement period. During that time, I was very excited and felt so happy. We looked for houses together around Junggok-dong near Jangsin University. When we found a house, we went together to buy furniture and prepare for marriage. You don't know how quickly 3 months have passed. The couple, who are about to get married, are happier than ever.
Joseph must have been too. Joseph, who knew a woman named Mary and promised her marriage, must have been having very exciting days.

2.
But one day, a test suddenly finds Joseph. It was a test that seemed a bit daunting for an 18- year-old to handle. His fiancée Mary was starting to show signs of pregnancy. Perhaps it was after Mary came to stay at Elizabeth's house in the hills of Judea for three months. Joseph must have heard about it from Mary. She must have come looking for Joseph as Mary was haggard with her morning sickness. And she must have told Joseph that she was pregnant, just as the

 

angel had told her. Joseph must have suffered unbearably. He must have had a hard time accepting this test that found it for him. Suddenly, he must have felt betrayed by his fiancée Mary. It would have been a man's natural reaction to have doubts about Mary. He probably didn't want his name to go up and down in people's gossip. He just wanted it to end quietly.

According to the law, Joseph could accuse his betrothed and judge her. But the Bible reveals that Joseph was a righteous man. By being righteous, it is better to say that he was a man who understood the spirit of the law, rather than that he lived according to the law. Because Joseph was trying to break off the marriage quietly so as not to embarrass his fiancé. With this, it would be pretty reasonable to believe he must be a person who really practiced the spirit of the law well. Mercy, the fundamental spirit of the law, is working in his heart. So he wanted to finish the job in a way that wouldn't harm Mary.

It was God who put an end to Joseph's heartache. God sends his angel to clearly convey his will to Joseph. The angel's message begins with "Do not be afraid," just like Mary's. We can see that the underlying emotion of Joseph's agony and conflict was fear. It was God's interpretation that removed the fear that Joseph, the young bridegroom, had to go through. The angel assured him that the baby Mary conceived is conceived by the Holy Spirit. And the angel tells him that the son is Joshua (Hebrew word for savior), the Messiah and savior that the Israelites have been waiting for. Through this child's name, the angel is interpreting the meaning of what kind of life this child will live. Furthermore, the angel explains that the birth of this child is a fact that has already been prophesied in the prophecies of the Bible.

How vivid the dream was, and how certain the interpretation was, as soon as Joseph woke up, he decided to take Mary as his wife, just as the angel said. He changed his mind. He chose to believe God's interpretation and to accept it as it was. This is the beginning of the story of Jesus' birth as told by Matthew. What on earth did Matthew want to tell his readers through the righteous man Joseph? And what insights and lessons can we learn from this story today?

3.
As I said last week, if Mary, who heard the angel's words, did not hold God's hand and make a decision, God's work of salvation would not have been accomplished. We often overlook the vital role human obedience plays in creating God's salvation. Do not forget that God's salvation is still being accomplished on this earth through our little obedience. However, Mary's obedience could not be achieved without Joseph's obedience. The beautiful story of the birth of Jesus could not have come true if Joseph had broken off his marriage and dumped Mary. Even if Jesus Christ was conceived by the Holy Spirit, Jesus could not be incorporated into David's family without Joseph's decision to accept him as his son.

I understand that Joseph's act came from the righteous act, which is the essence of the law. It is because Joseph's righteous deeds are very similar to the cross Jesus carried. The cross of Jesus is literally the cross. God's love and justice are being crossed on the cross. The justice of God, who is righteous and has to judge people's sins, and the love of God, who loves people and has to forgive their sins, intersect at the cross. The essence of the law intersected in the heart of Joseph, who was supposed to judge righteously, but wanted to quit quietly with mercy and love. However, Joseph did not have the discernment to read the birth of Jesus foretold by the law. It was an encounter with an angel that opened his eyes. It was only then that he realized that this tremendous event that was happening to him was planned by God and was an amazing fact that

 

was being accomplished by God. Joseph realized the heart of Heavenly Father. When this was understood and accepted, Joseph made a new choice by obeying God's will.

Joseph's obedience accomplishes the amazing history of the birth of Jesus. No matter how wonderful God has a plan, if we don't obey it, the plan will be disrupted. God's plan is delayed. That is why our obedience is so precious and valuable. Joseph knew God's heart and decided to follow His will.

4.
The core of Joseph's obedience was 'to be with Mary'. He decided to walk together on the rugged path of faith that Mary would go through. He decided to hold the hand of God she held with on the other side of her, with her God in the middle, and walk together. He decided to go through all the hardships that Mary was about to go through. He decided that if Mary got into her rain, she would walk in the rain with her too.

There is a line like this in Shin Young-bok's book “Like the first time”. “Helping is not holding an umbrella, it is raining together. The consolation of not being in the rain together is not warm. This is because consolation reaffirms the fact that the person being comforted is the object of consolation.”

Joseph decided to face the rain with Mary. He wanted to confirm how beautiful and great Mary's big dream was by walking and holding her hand. He no longer judged Mary with the standard of law, but decided to silently support her. It's just that he made up his mind to love. This heart of love that Joseph embraced is the essence of the story of the birth of Jesus.

Everyone, love is to welcome the rain together. Getting out in the rain together might look silly to others. However, the decision of the person who decided to stand in the position of the person who was caught in the rain and participate in their suffering is so beautiful. For those of us who are waiting for the birth of Jesus, the story of Joseph speaks for this beautiful journey.

5.
I wish we could create such a beautiful companion in our lives. Please hold the hands of those who struggle to find the truth and live by it. Don't criticize them, support them and encourage them. The lives of those who are with those who struggle to live according to God's will are beautiful. There is also this phrase in the book “Like the first time”. “Even the rough journey is pleasant if together.” With Joseph accompanying Mary on the arduous road of fulfilling the Lord's will, they were able to create a beautiful story of Jesus' birth together.

Sorry for sharing my story. My dream was to become a Chinese missionary until I got married. But I met my wife, and she didn’t like China very much. While I wanted to go to China, I started looking for other missionary fields. I wanted to go to the Islamic region of China, so I chose Jordan, a Middle Eastern country, as an alternative. At first, the dispatch of missionaries to Jordan went smoothly. Then, suddenly, a big incident happened. An Islamic militant group called IS shot down a Jordanian fighter jet, putting Jordan into tension. The church said they couldn't send us to Jordan and told me to find another mission field. At that time, China, my first dream of mission field, came to my mind. I asked my wife what it would be like to go to China. Then, as if my wife couldn't decide easily, she asked me to go to the prayer house with her. While praying together at a place called Pilgrim House in Gapyeong, my wife changed her mind to go to China with me. I knew that my wife would rather die than go to China. I am still grateful to her for

 

coming along, saying that if it was God's will, she would obey. I learned in China that “even the rough journey is pleasant if together”.

When I interviewed for One Heart Church, they scared us how harsh Rochester's winter is. I thought hard about it. Why are Rochester's winters so harsh? Is it because the temperature is really low? I thought that the reason why we have a hard winter is because of the disconnection. In winter, contact with others becomes difficult. Because of the snow, going outside is rare and it is easy to become isolated. The more times like that, the more we need to make connections. In the countryside of Korea, there live many elderly people. There is always one person in the neighborhood who just walks around saying hello from house to house. Their job is to keep an eye on the elderly to make sure nothing wrong happened throughout the night. There is an old man like that in my hometown village, but he just really greets and leaves. However, because of these people, there will be no elderly who die alone. In Rochester, it's hard to go door to door and ask how we're doing, but it would be nice if we could say hello and take care of each other, even through text messages. In a snowy place like this, it would be a great comfort to each other if we could say, “How are you?” like a movie line.

Last week, I had lunch with three people on Tuesdays, Wednesdays, and Thursdays, and all three of them bought me lunch. It warmed my heart so much. I could feel that they thought of me and cared for me. I hope many of these connections are made within us. It seems that we need love to look out for those around us who are lonely and who need love, not just the people in my small group. I wish we could have a men's coffee meeting like women's coffee meeting. If we are together, we will not be lonely even this winter. Together, it is not difficult to obey God's will. Married couples help each other. Express to your children that you are with them. Encourage your children with nice gifts and nice words.

The story of the birth of Jesus began with the beautiful journey of Joseph and Mary. The beautiful story of God's kingdom being realized in Rochester is also created when we are together. We are not afraid if we are together. If we are together, we will never be lonely. If we are together, the rough road is only fun and pleasant. The secret to enjoying this togetherness is possible only when we are filled with God's love. Just as the righteous Joseph walked with Mary as a man full of love when he understood God's love and grace. I hope that we too will become warm people who accompany our neighbors with God-given love and grace.

 

Posted by speramus

본문: 누가복음 139-56

제목: 예수 탄생의 서곡, The Overture of Nativity of Jesus

 

1.     누가복음의 서곡

여러분은 오페라나 뮤지컬을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오페라에는 보통 서곡(overture)이라는 것이 연주됩니다. 서곡은 오페라 전체 내용을 압축하여 보여주는 맛보기(맛을 보도록 조금 내 놓는 음식)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롯시니의 뮤지컬 서곡들 중 좋은 곡들이 많습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빌헤름 텔(William Tell)’의 이야기를 극화한 <빌헤름 텔 서곡>의 경우 12분 런닝 타임의 대곡입니다. 마지막330초 정도 서곡의 피날레가 시작되는데 트럼펫과 트롬본 소리와 함께 음악은 웅장하게 변해갑니다. 빌헤름이 폭군 게슬러(Gessler)를 죽이고 도시에 참 자유를 회복시켜 주는 것을 경쾌한 행진곡 풍의 음악으로 표현을 하였죠. 서곡이란 바로 이야기 전체의 줄거리가 어떻게 흘러갈 것인지 미리 맛보기를 준다는 면에서 매력이 넘칩니다.

 

오늘 본문인 누가복음의 시작은 예수님의 탄생 이야기로 시작됩니다. 예수님의 탄생 이야기는 누가복음의 서곡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 예수님께서 펼쳐갈 이야기가 무엇인지 맛보기로 보여주는 서막 또는 서곡과 같은 역할을 탄생 이야기가 맡고 있는 것입니다. 특별히 다른 복음서와 달리 누가복음의 탄생의 이야기에는 메시야를 오랜 시간 동안 기다려 온 이들이 많이 등장합니다. 그들은 한결같이 유대사회에서 힘 없이 소외 받는 계층들이었습니다. 엘리사벳(Elizabeth), 시므온(Simeon), 안나(Anna)같은 이들은 노인들이었습니다. 마리아와 요셉, 목동들은 갈릴리의 촌사람들이자 베들레헴의 부랑자들이었습니다. 이들이 만들어가는 예수님의 탄생이야기를 통해 누가는 우리에게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어떤 이야기가 앞으로 펼쳐질 것인지를 보여주고 싶어했습니다. 어린 아이와 여자 그리고 노인으로 대표되는 그 당시 힘 없는 이들이 만들어가는 구원의 이야기가 누가가 들려 주고 싶어했던 서곡에 담겨 있습니다. 그 힘 없는 이들과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가 만나게 되자 어떤 엄청나고 놀라운 일들이 펼쳐질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누가는 보여주고 싶었던 겁니다.

 

2.     고장난명(孤掌難鳴- It takes two to tango.)

그 중에서도 오늘 우리가 읽은 본문인 엘리사벳과 마리아가 등장하는 씬(scene)은 누가복음 탄생 이야기 중의 백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탄생 일화(episode)중에 마리아 이야기는 계란으로 치면 노른자와 같은 부분입니다. 예수님 당시의 처녀들의 평균 결혼 연령이 12-13세였다고 합니다. 남자는 18세에서 22세 사이에 결혼을 했습니다. 당시 여성들은 초경이 시작되면 결혼 적령기가 되었던 겁니다. 야이로의 딸이 12살이 되어 죽게 되었다고 했을 때 초등학생의 어린이로 생각하면 안됩니다. 결혼 적령기의 여자가 죽게 된 것입니다. 마리아도 마찬가지입니다. 지금 겨우 12살에서 13살의 정혼을 한 여인이 마리아입니다. 참고로 마리아라는 이름은 모세의 누나의 이름 미리암의 다른 표현이었죠.  마리아는 나사렛(Nazareth)이라는 갈릴리 호수의 작은 시골 마을에서 성장한 여인이었습니다. 이 여인에게 어느 날 천사가 찾아옵니다. 하나님께서 보내신 천사는 천사 중에서 가장 높은 천사장 가브리엘이었습니다. 가브리엘은 중요한 임무를 갖고 마리아에게 보내졌습니다. 마리아가 하나님의 아들을 잉태하게 될 것이라는 소식이었죠.

 

여러분 이 부분을 음악으로 표현한다면 굵은 현악기를 통해 고뇌를 표현해야 어울릴 듯합니다. 왜냐면 마리아에게 이 소식은 청천벽력(a bolt from the blue) 같은 소식이었기 때문입니다. 오늘 날에도 처녀가 임신을 한 것은 작은 이슈가 아닌데 당시에는 어떠 했을까요? 게다가 마리아에게는 정혼한 미래의 남편인 요셉이 있는 상태였습니다. 마리아의 임신 사실이 알려지기라도 한다면 마리아는 율법에 의해 돌에 맞아 죽어야 하는 상황까지 이를 수 있었을 겁니다.

이런 상황에서 마리아는 두려운 감정을 가질 수 밖에 없었을 겁니다. 30절에 보면 천사가 나타난 것에 놀라워 하는 마리아에게 가브리엘이 말합니다. “두려워 말아라.” 라고 합니다. 마리아는 두려워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천사는 마리아의 친척인 엘리사벳이 늙은 나이에도 임신한 사실을 알려주면서 예수님을 잉태하는 일이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가능한 일이라는 것을 일러줍니다. “하나님께는 불가능한 일이 없다(37)”고 못 박아 버립니다.

 

이에 대한 마리아의 반응은 38절 말씀입니다. “ "보십시오, 나는 주님의 여종입니다. 당신의 말씀대로 나에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I am the Lord's servant," Mary answered. "May it be to me as you have said.)"  마리아는 천사가 일러준 놀라운 사실이 자신에게 이뤄지게 해달라고 기도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에 자신이 그렇게 쓰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에 영광스러워 하며 믿음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입니다. 고장난명(孤掌難鳴)이라는 사자성어가 있죠. “손바닥도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라는 뜻을 가진 말입니다. 하나님께서 자기 아들을 이 땅에 보내셔서 죄 가운데 있는 인류를 구원하시려는 계획이 아무리 놀랍고 위대하더라도 그 계획을 받아들이고 순종하는 자가 없다면 이뤄지기 힘들었을 겁니다. 그런데 마리아는 모든 두려움과 불안을 묵묵히 억누르고 하나님이 뻗으신 손에 하이파이브를 하기로 했습니다. 하나님의 장단에 탱고를 추기로 한 것입니다.

 

3.     엘리사벳의 환대

그런데 마리아의 믿음과 결단에도 그녀를 사로 잡는 불안함은 떨쳐낼 길이 없었습니다. 마리아는 뭔가 확신이 필요했습니다. 마리아는 천사가 언급한 친척 엘리사벳이 떠올랐고 그녀를 찾아가기로 합니다. 엘리사벳은 마리아보다 앞서 6개월 전에 임신한 상태의 여인이었습니다. 마리아는 그녀를 찾아가고 예상치 못한 환대에 깜짝 놀랐습니다. 마리아는 천사의 현현이 긴가민가하며 심란한 마음으로 유대산골까지 이동해 왔을 겁니다. 참고로 나사렛에서 예루살렘 근처의 유대 산골까지는 여인의 걸음으로 사흘길은 족히 걸어야 도착할 꾀나 먼 길이었습니다. 몸도 마음도 지쳐 있었을 마리아를 향한 엘리사벳의 반응은 놀라웠습니다.

 

엘리사벳은 큰 소리로 샤우팅합니다. 실제로 헬라어 성경에서도 mega로 소리쳤다라는 표현을 합니다. 엘리사벳은 온 힘과 마음을 다 실어서 마리아를 응원하고 있는 겁니다. 엘리사벳이 마리아에게 큰 소리로 전하는 메시지는 마리아의 마음을 한결 위로해 주었을 겁니다. “당신은 정말 복이 많은 여인이군요. 당신의 뱃속에 있는 아이는 어떻고요. 저는 이 사실이 믿겨지지 않아요. 내 주님의 어머니께서 이렇게 저에게 왕림하여 주시다니요? 꿈인가요 생시인가요?”

여러분 이런 환대를 받고 격려를 받지 못할 사람이 어디 있겠습니까? 마리아가 한껏 고무되지 않는 것이 오히려 이상했을 겁니다.  참고로 주라고 표현한 헬라어 퀴리오스(Kyrios)”는 로마의 황제에게 붙여진 호칭이었습니다. 엘리사벳은 내가 퀴리오스의 어머니를 보다니…”라는 찬사를 통해 마리아를 추켜세우고 있는 것입니다.

 

그 결과 놀라운 찬송이 마리아의 입에서 나옵니다. “내 영혼이 주님을 찬양하며로 시작하는 마리아의 찬송시는 지금도 성탄절 오라토리오로 많이 불리우는 “Magnificat”라는 찬송시 입니다. 라틴어로 “Magnificat anima mea Dominum(내 영혼이 주님을 찬양합니다)”로 시작하기 때문에 이 찬송시를 Magnificat라고 부릅니다. 마리아는 강한 확신에 차서 하나님을 노래합니다. 그녀의 찬송시에는 그동안의 모든 고뇌와 번민이 하나도 느껴지지 않습니다. 그의 뱃속에서 잉태된 아이가 펼쳐 나갈 세상이 어떤 세상이 될 것인지 마리아는 노래합니다. 자신과 같이 비천한 인생들이 돌봄을 받고 오히려 높임을 받게 될 것이라고 노래합니다. 부자들과 높은 곳에 앉아 있는 고관대작들은 비천한 곳으로 끌어 내림을 당할 것입니다. 가난한 자들과 소외된 자들이 좋은 것으로 만족함을 누리게 될 것이라고 하며 예수가 가져올 새 세상을 향한 희망을 노래합니다. 놀라운 역전이 그의 아들 예수로부터 이뤄질 것을 마리아는 예언자처럼 노래하고 있는 것입니다.

 

마리아의 이 아름다운 마그니파카트를 이끌어 낸 것은 다름아닌 엘리사벳의 응원이었습니다. 의기소침하게 자신에게 하이파이브 하자고 손을 내밀고 다가오는 마리아를 향해 크게 손을 맞대며 응답해주는 엘리사벳의 센스가 돋보입니다. 마리아의 쳐진 어깨를 보고 큰 소리로 마리아를 격려해 주고 있죠. 그녀가 지금 감당하는 이 일이 얼마나 놀라운지를 해석해 줍니다. 한 사람의 격려와 지지만으로 우리는 힘을 얻기에 충분합니다. 마리아에게 엘리사벳은 천군만마(千軍萬馬)와도 같았을 겁니다. 그녀의 거칠고 험난할 믿음의 앞길에 등불처럼 비쳐진 희망이었습니다.

 

마리아와 엘리사벳의 이야기가 예수님의 탄생 이야기의 백미가 되는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한 여인은 이제 초경이 막 시작된 약해 보이는 여인이었고 한 여인은 폐경이 한참 지난 초라한 여인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둘의 연합과 동행은 새로운 시대를 열 서막을 활짝 열어젖히고도 남는 행동이었습니다. 한 부르심을 받은 자들의 연합, 한 길 가는 이들의 동행, 그리고 환대는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이야기의 초미를 장식하는 매우 아름다운 이야기로 지금까지 우리에게 전해지고 있는 것입니다.

 

4.     나 한 사람이 무엇을 할 수 있겠어?

우리는 가끔 이 거대한 세상 속에서 나 한 사람이 뭘 할 수 있겠어 라는 생각을 할 때가 많습니다. 계란으로 바위치기 같다는 생각이 들 때도 많습니다. 그러다 보면 어느새 세상에 타협하며 살아가게 됩니다. 온 우주를 향한 하나님의 거대한 구원의 이야기는 나사렛이라는 매우 작은 지점에서부터 시작되었음을 우리는 주목해 보아야 합니다. 마리아라는 너무나 미약한 12세 남짓의 소녀로부터 이 구원의 이야기는 만들어져 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마리아와 같은 길 위에 서 있는 많은 이들의 응원과 격려로 하나님의 구원계획은 이 땅 위에 현실화 되어가게 된 것입니다.

 

지금이라고 다를까요? 지금도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작은 이들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구원의 이야기는 이 땅 위에 열매 맺을 수 있습니다. 지난 주에 말씀드렸듯이 하나님의 나라는 겨자씨와 같이 매우 미약한 존재들로 부터 시작하여 커져가는 것입니다. ‘나 한 사람으로 이 큰 세상에서 뭘 바꿔갈 수 있겠어?’라고 생각하지 마십시오. 나 한 사람에서 시작된 순종이 모아져서 이 세상은 하나님이 꿈꾸는 세상으로 변해갈 수 있습니다. 또한 나 혼자는 스스로 설 수 없는 것을 알기에 하나님께서는 공동체를 주셨습니다. “당신이 가는 그 길이 옳아요.”, “당신의 그 순종이 너무 아름다워요. 당신의 그 나눔이 너무나 거룩합니다.” 라고 우리를 격려해주는 공동체가 너무나 절실한 겁니다. 한 사람이면 충분합니다. 온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한 나의 순종이 너무나 값지고 귀하다고 말해줄 수 있는 한 사람이면 충분합니다.

 

빌헤름텔 서곡의 피날레를 들어 보면 빰빠라밤빰 트럼펫이 웅장하게 울려퍼집니다. 그러면 호른이 묵직한 소리로 트럼펫의 연주를 받쳐주지요. 노래가 더 웅장해지면 이제 심벌즈가 박수라도 쳐주듯 곁들죠. 이런 악기들 간의 서로 서로의 조화와 연합으로 아름다운 서곡이 만들어집니다. 하나님의 구원의 이야기도 마찬가지입니다. 내가 행하고, 옆에서 추임새를 넣어주고 뒤에서 밀어주면서 힘을 얻어 가는 것입니다. ‘나 혼자서 무엇을 할 수 있겠어?’ 라는 그런 비관적인 생각은 떨쳐내십시오. 나부터 먼저 시작해야 합니다. 나라도 하나님의 뜻을 행하며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바를 순종하며 걸어가야 합니다. 하나님은 반드시 여러분들에게 엘리사벳과 같은 이들을 붙여 주실 겁니다. 함께 손잡고 일어설 수 있는 동역자이자 동반자들을 붙여 주시는 것이죠. 작은 점들이 모여져 선이 되는 것이고 선이 모여져 역사의 한 면을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우리의 순종은 결코 작은 것이 아닙니다. 십대 소녀 마리아의 순종이 인류의 역사를 이렇게 바꿔 놓았지 않습니까?

 

5.     엘리사벳의 환대를 생각하며

엘리사벳의 환대는 마리아가 주님의 뜻을 순종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마리아와 엘리사벳이 함께 연주해가는 예수님 탄생 이야기의 서곡에서는 환대가 만들어갈 아름다운 세상을 우리에게 보여줍니다. 예수님께서 죄인들과 창녀, 그리고 세리와 같이 인간 이하의 취급을 받는 이들에게 보여주신 환대를 맛보기로 보여주는 것입니다. 예수가 이뤄갈 세상이 이런 세상이란 것을 우리는 미리보기로 볼 수 있는 것이고요. 환대는 하나님의 나라를 이 땅 위에 세워 나가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우리 교회 공동체와 목장 안에서 이뤄지는 환대를 통해 하나님의 나라는 구체화 됩니다. 또한 우리가 직장 안에서 그리고 우리 로컬 안에서 만나는 이들에게 베푸는 환대 또한 이 땅 위에 하나님의 나라를 이뤄가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도종환 시인의 담쟁이라는 시와 함께 오늘 설교를 마무리하겠습니다.

 

<담쟁이>                도종환

 

저것은
어쩔 없는 벽이라고 우리가 느낄
그때,
담쟁이는 말없이 벽을 오른다

방울 없고,
씨앗 살아남을 없는
저것은 절망의 벽이라고 말할
담쟁이는
서두르지 않고 앞으로 나아간다

뼘이라도 여럿이 함께
손을 잡고 올라간다
푸르게 절망을 덮을 때까지
바로 절망을 놓지 않는다

저것은 넘을 없는 벽이라고
고개를 떨구고 있을
담쟁이 하나는
담쟁이 개를 이끌고
결국 벽을 넘는

 

나 한 명으로 무엇을 할 수 있겠어? 라는 탄식 대신 우리 서로 손을 잡고 저 세상의 절망과 마주 섭시다. 우리는 마리아와 엘리사벳처럼 보 잘 것 없는 사람들일지 모릅니다. 하지만 우리가 서로 손을 잡는다면 하나님의 놀라운 일을 만들어 갈 수 있습니다. 예수님이 꿈꾸신 사랑과 환대의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 우리 함께 손 잡고 저 절망의 벽을 넘어 봅시다. 주님께서 우리의 길을 격려하시고 힘을 주실 줄 믿습니다.

 

 

Sermon Scripture: Luke 1:39-56

Title: The Overture of Nativity of Jesus

Translated by Ji-Yun Kang

1.    Overture from the Gospel of Luke

Have you ever seen an opera or a musical? An opera usually has something called an overture. The overture can also be called a taster (a small sample of food to taste) that condenses the entire contents of the opera. Many of Rossini's musical overtures are quite magnificent. In the case of <William Tell Overture>, which dramatizes the story of 'William Tell', it is a great piece with a running time of 12 minutes. The finale of the overture begins at the last 3 minutes and 30 seconds, and the music changes majestically with the sounds of trumpets and trombones. William kills the tyrant Gessler and restores the city with true freedom. The overture is full of charm in that it gives a preview of how the entire storyline will flow.

Today's text, Luke's Gospel, begins with the story of the birth of Jesus. The story of Jesus' birth can be seen as a prelude to the Gospel of Luke. The story of the birth plays the role of a prelude or prelude to give a taste of the story that Jesus will unfold in the future. Unlike the other gospels, the story of the birth in Luke's gospel features many people who have been waiting for the Messiah for a long time. They were consistently marginalized and powerless in Jewish society. Elizabeth, Simeon, and Anna were old people. Mary, Joseph, and the shepherds were villagers in Galilee and outcasts in Bethlehem. Through the story of the birth of Jesus these people are creating, Luke wanted to show us what kind of story will unfold in the future through Jesus Christ. The story of salvation made by the powerless at the time, represented by young children, women, and the elderly, is contained in the overture that Luke wanted to tell. Luke wanted to show the possibility of what great and amazing things could happen when those powerless people are met with God's work of salvation.

2.    It takes two to tango.

The text we read today shows the scene where Elizabeth and Mary appear. This scene can be described as the highlight of Luke's birth story. Out of all the birth episodes, the story of Mary is comparable to the yolk of an egg. It is said that the average age of marriage for girls at the time of Jesus was 12 to 13. Men got married between the ages of 18 and 22. When a woman starts menarche, it was considered that they reached the right age to marry. When Jairus' daughter was told that she was about to die at the age of 12, you should not be thinking of an elementary school child. A woman who reached the age to marry has died. So was Mary. Mary was a betrothed woman who was only 12 or 13 years old. For reference, the name Mary was another expression of Miriam, the name of Moses' sister. Mary was a woman who grew up in a small country village on the Sea of ​​Galilee called Nazareth. One day an angel came to this woman. The angel God sent was Gabriel, the highest archangel among the angels. Gabriel was sent to Mary on an important mission. It was the news that Mary would conceive the Son of God.

If we were to express this part with music, it would be appropriate to express the anguish through a thick stringed instrument. To Mary, this news was like a bolt from the blue. Even today, it is not a small issue that a virgin gets pregnant, but what would it have been like back then? Besides, Mary had a betrothed future husband, Joseph. If Mary's pregnancy were to be known, Mary could have reached the point where she had to be stoned to death according to the law.

In this situation, Mary would have had no choice but to have fearful feelings. In verse 30, Gabriel says to Mary, who was astonished at the appearance of an angel. Do not be afraid.. Mary was in a situation where she couldn't help but be afraid. The angel informs her that Elizabeth, Mary's relative, is pregnant even at an old age, and tells her that conceiving Jesus is actually possible. The angel firmly proclaims that Nothing is impossible with God (v. 37).

 Mary's response to this is in verse 38. I am the Lord's servant. May it be to me as you have said" Mary is praying that the wonderful truth the angel had told her would come true. She feels honored that she can be used in God’s work of salvation, and she accepts it with faith. There is an old idiom, “the palms of your hands must come together to make a sound. God sent his son to this earth. No matter how amazing and great the plan, to send and save mankind in sin would have been difficult if there were no people who accepted and obeyed the plan. But Mary silently suppressed all fear and anxiety and decided to give a high five to God's outstretched hand. She decided to tango with God to his rhythm.

3.    Elizabeth's hospitality

Despite Mary’s faith and determination, there was no way to shake off the anxiety that gripped her. She needed some reassurance. Mary remembered Elizabeth, the relative mentioned by the angel, and decided to visit her. Elizabeth became pregnant six months before Mary was. Mary visits her and is taken aback by her unexpected hospitality. It is likely that Mary traveled all the way to the mountains of Judea with a distraught mind, wondering about the appearance of the angel. For your reference, it was a long way from Nazareth to the hills of Judea near Jerusalem, and it took a woman to walk three days. Elizabeth's reaction to Mary, who must have been exhausted physically and mentally, was extraordinary.

 Elizabeth shouts loudly. In fact, even in the Greek Bible, it is expressed as shouting with “mega”. Elizabeth is supporting Mary with all her strength and heart. Elizabeth's loud message to Mary would have comforted Mary's heart. You are a very blessed woman. How is the baby in your belly? I can't believe this fact. Is the mother of my Lord visiting me like this? Is it a dream or is it real?

My beloved congregation! Is there anybody who would not be encouraged with this level of hospitality? It would be odd if Mary were not encouraged to the fullest. For reference, the Greek word Kyrios, expressed as Lord, was a title given to the Roman emperor. What Elizabeth did was to honor Mary by saying, "I see the mother of Kyrios”

 As a result, amazing praise comes from Mary's mouth. Mary's hymn, which begins with My soul praises the Lord, is a hymn called Magnificat, which is still often sang as a Christmas oratorio. This hymn is called the Magnificat because it begins in Latin with Magnificat anima mea Dominum (My soul praises the Lord). Mary sings praise to God with strong conviction. There is no sign of anguish from the past in her hymns. Mary sings what kind of world will unfold by the child conceived in her. She sings that lowly people like herself will be taken care of and exalted. The rich and the great dignitaries who sit on high places will be brought down to a lowly place. She sings of hope for the new world that Jesus will bring, saying that the poor and the marginalized will be satisfied with good things. Mary is singing like a prophet that an amazing reversal will come from her son Jesus.

It was none other than Elizabeth's support that brought out this beautiful Magnificat of Mary. Elizabeth's sensibility stands out when she responded with a big hand-to-hand response towards Mary who was dispiritedly reaching out to give herself a high-five. Seeing Mary's drooping shoulders, she encourages her with a loud voice. It explains how she is taking on an amazing role. One person's encouragement and support is enough to give us strength. To Mary, Elizabeth must have been like an army of ten thousand horses. It was a hope that shone like a lamp on what would be the rough and rugged future path of her faith.

 

This is why the story of Mary and Elizabeth is the highlight of the birth story of Jesus. One was a weak-looking woman who had just begun menarche, and one woman was a poor woman well past menopause. The union and companionship of these two opened wide the prelude to a new era. The unity of those who have received the same calling, the companionship of those who walk the same path, and their hospitality are beautiful stories that decorate the beginning of the story of the birth of Jesus Christ.

 4.    What can one person like me do?

We often think about what one person can do in this huge world. Sometimes it feels like hitting a rock with an egg. Then, before you know it, you will live in compromise with the world. We must pay attention that God's great story of salvation for the entire universe started from a very small location called Nazareth. This story of salvation is being created from a very weak 12-year-old girl named Mary. And with the support and encouragement of many who stand on the same path, God's plan of salvation has become a reality on this earth.

Would it be any different now? Even now, the story of God's salvation can bear fruit on this earth because of the little ones who obey God's will. As I said last week, the kingdom of God begins with very small beings like mustard seeds that grow big. Don't think, 'What can I change in this big world as a single person?' When there is a collection of obedience that was started by one individual, this world can change into the world God dreams of.  God gave us a community because we cannot stand on our own. We desperately need a community that encourages us with You are on the right path., Your obedience is so beautiful. Your sharing is so sacred.. One person is enough. It is enough for one person to tell me that my obedience with all my heart, mind, and strength is so valuable and precious.

 If you listen to the finale of the William Tell Overture, you will hear the trumpet resounding magnificently. Then the horn supports the performance of the trumpet with a heavy sound. As the song gets grander, the cymbals accompany it like a round of applause. A beautiful prelude is created by the harmony and union of these instruments with each other. The story of God's salvation is the same. It is what an individual does, which gains strength by cheering from the side and pushing from behind. Shake off the pessimistic thought of 'What can I do alone?'. You must start with yourself first. You must do God's will and walk in obedience to what God wants. God will surely give you people like Elizabeth. God gives you partners and companions who can stand together hand in hand. Small dots collectively create lines, and lines gather to create a side of history. So our obedience is never small. Didn't the obedience of the teenage girl Mary change the course of human history like this?

5.    Thinking of Elizabeth's hospitality

Elizabeth's hospitality played a decisive role in helping Mary obey the will of the Lord. The prelude to the story of the birth of Jesus played by Mary and Elizabeth shows us the beautiful world that hospitality will create. It is to give a taste of the hospitality that Jesus showed to sinners, prostitutes, and those who are treated as less than human, such as tax collectors. We can see in advance that the world that Jesus establishes is this kind of world. Hospital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establishing God's kingdom on earth. The kingdom of God is embodied through hospitality within our church community and our small groups. Also, the hospitality we give to those we meet at work and in our local community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building God's kingdom on earth.

I will end today's sermon with a poem called Ivy by poet Do Jong-hwan.

 <Ivy>              Do Jong-hwan

At times when we feel that

it is a wall, just a wall,

then

without a word ivy goes climbing up the wall.

 

At times when we say that

it is a wall of despair

with no drop of water, where not one seed can survive,

unhurrying, the ivy advances.

 

Hand in hand, several together, it climbs on, a span’s breadth at least.

Until the despair is all covered in green

it grasps the despair and will not let go.

 

At times when we lower our heads, saying that

the wall cannot be climbed,

one ivy leaf at the head of thousands of ivy leaves

finally climbs over the wall.

 

What can I do as one person? Instead of lamenting, let us hold hands and face the despair of the world. We may be insignificant people like Mary and Elizabeth. But if we hold each other's hands, we can make God's wonderful works. Let us join hands and overcome that wall of despair to create a beautiful world of love and hospitality that Jesus dreamed of. I believe that the Lord will encourage and strengthen our paths.

 

Posted by speramus

본문: 마태복음 13 31-32

제목: 작게 은밀하게 하지만 강력하게

 

1.     작아서 좋은 것들.

대림절 두 번째 주일입니다. 우리는 지난 주일 간절히 바라던 기적과 같은 일들을 접하며 함께 기뻐했습니다. 응급실에서 산소호흡기로 연명하던 유주현 형제님이 의식을 찾아 병상에서 일어난 후 우리에게 연락했죠. 그리고 고국 대한민국이 월드컵 예선에서 정말 기적적으로 16강에 진출하며 국민들에게 기쁨을 주었습니다. 무언가 간절히 원하고 바라는 것을 우리는 기다리게 됩니다. 대림절은 기다림의 시즌입니다. 우리는 그리움 때문에 기다리기도 하지만 간절함 때문에 기다리기도 합니다. 여러분은 무엇을 간절히 바라고 계시나요? 그 간절한 바람이 대림절 기간에 부디 이뤄졌으면 좋겠습니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큰 것을 좋아합니다. 키도 작은 것보다 컸으면 하구요. 눈도 작지 않고 저처럼 크길 바라죠^^ 보유 자산도 컸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자동차도 배기량이 아주 큰 차를 타고 싶어 하죠. 집도 매우 큰 스퀘어 핏에서 살면 좋아 보입니다. 제가 신혼 때8(22제곱미터) 집에서 살다가 2년 만에 12(39제곱미터) 임대 아파트에 당첨되었습니다. 조금 더 큰 집으로 이사 간 것 뿐인데 첫 느낌에 거실이 운동장처럼 느껴지더라구요. 일단 긍정적이고 좋은 것들은 크면 좋습니다. 용기, 자신감, 믿음, 소망, 사랑…. 이런 보이지 않은 것들도 긍정적인 것들이기에 크면 좋습니다.

 

그렇다면 반대로 작거나 적으면 좋은 것들은 뭐가 있나요? 나이? 나이가 작으면 좋나요? 머리숱이 적으면 좋습니다. 저처럼 빛이 나거든요^^;; 일단 부정적인 것들은 적거나 작으면 좋습니다. 예를 들면, 스트레스, 미움, 다툼, 불평, 불만, 욕심, 피해의식, 상처, 오해 기타 등등 좋지 않은 것들은 작거나 적으면 좋은 것이죠. 그런데 하나님의 나라는 매우 작고 적은 것으로부터 시작된다고 성경은 말합니다.

 

대림절은 예수님의 낮아지심과 겸손함을 기억하는 시즌입니다. 예수님은 우주보다 더 크신 하나님이신데 마리아의 자궁 속에 들어가셨습니다. 예수님은 우리에게 오시기 위해 극단적으로 작아지셨던 겁니다. 대림절은 바로 작아지고 낮아지신 예수님을 바라보는 시즌인 거죠. 자신을 낮추고 인간의 모습으로 작아진 주님은 하나님 나라가 이렇게 작게 시작될 수 있고 작아진 자들의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2. 천국은 마치 작은 겨자씨와 같이 보잘 것 없이 시작된다.

마태복음13장 전체가 예수님의 비유로 가득합니다. 그 중에 겨자씨의 비유와 누룩의 비유는 매우 비슷한 비유로 앞 뒤에 놓여 있습니다. 두 비유의 공통점은 아주 작은 시작이 그리고 아주 작은 원인이 상상하지도 못하는 매우 큰 결과를 만들어 낸다는 것을 얘기해 주고 있습니다. 물론 그것은 천국을 가리킵니다. 천국은 마치 이와 같다는 것이죠. 31~32절 말씀을 함께 읽어 봅시다. “31 예수께서 또 다른 비유를 들어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하늘 나라는 겨자씨와 같다. 어떤 사람이 그것을 가져다가, 자기 밭에 심었다. 32 겨자씨는 어떤 씨보다 더 작은 것이지만, 자라면 어떤 풀보다 더 커져서 나무가 된다. 그리하여 공중의 새들이 와서, 그 가지에 깃들인다."”

 

겨자씨가 얼마나 작은 줄 아시나요? 너무 작아서 이 씨앗에서 새순이 나올 수 있을지 의심이 들 정도입니다. 새 순이 막 터올 때까지 이것이 유채씨인지 무우씨인지 겨자씨인지 구분이 안 갑니다. 어릴 적 저희 집에도 여러 가지 씨앗들이 많았는데 어떤 씨앗들은 겉으로 구분이 안됩니다. 하지만 싹이 나고 점점 커져갈수록 확연히 구분이 됩니다. 씨앗은 작지만 그 씨앗이 자라 나무가 되고 그 나무에서 수없이 많은 열매들을 거둬 드리게 되죠.

우리 예수님은 하나님 나라의 일이 이와 같다고 말씀하십니다. 하나님 나라는 매우 작아 눈에 보이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따르는 사람들도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 나라는 일단 심겨지기만 하면 자라기 시작합니다. 점점 자라나 결국엔 엄청난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본문의 나무는 하나님 나라를 상징합니다. 하나님의 나라는 겨자씨와 같이 연약한 우리들로부터 시작됩니다. 여러분들은 작아 보이지만 하나님의 나라는 여러분들처럼 작은 이들로부터 시작됩니다.

 

3.  자기를 응축시킨 작은 이들을 통해 시작되는 하나님 나라

하나님 나라의 운동력은(movement)  강력한 정당 조직이나 우렁차고 당당한 군대 행진 속에서 진행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매우 작은 겨자씨같이 극도로 작아진 인격들로부터 시작됩니다.

하나님의 나라는 겨자씨처럼 자기 자신을 부정하고 축소시킨 한 개인으로부터 시작되는 나라입니다. 예수님이 그랬던 것처럼 자신을 극도로 응축시킨(condense) 자 속에 하나님 나라의 변혁력이 꿈틀대며 진행되어 가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대림절은 바로 예수님의 낮아지심, 겸손, 자기 부인을 배워가야 하는 절기입니다.

 

나 한 사람, 그리고 우리는 아주 적은 자, 작은 자인지 모릅니다.

하지만 우리 자신을 부정하고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나를 축소시키고 응축시킬 때에만 우리를 통해 하나님의 나라는 자라기 시작합니다.

비록 우리는 작고 적더라도 놀라운 파급 효과를 내며 하나님 나라의 성장의 원동력이 되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아들은 아기씨 크기로 작아지셔서 여자의 뱃속에서 자라셨습니다. 예수님은 갈릴리의 작은 마을에서 숨은 듯이 성장하셨습니다. 그는 가문도 초라했고 가진 것도 없는 목수에 불과 했습니다. 그는 매우 초라한 삶을 살다 갔고, 삶보다 더 초라한 죽음으로 이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가 길러낸 제자들도 정말 초라한 사람들이었고, 별 볼일 없는 사람들이었습니다. 게다가 한 명의 배신한 제자를 제외하면 11명의 제자만을 남겨두고 예수님은 하늘로 올라가셨습니다. 도대체 11명으로 무엇을 할 수 있다고 그냥 가신 것일까요? 그러나 성경은 그 11명의 사람들을 통해 하나님의 나라가 급속도로 퍼져 나간 것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커져간 하나님의 나라는 300년 만에 로마를 지배하게 되죠. 그리고 2000년이 지난 지금 세계 곳곳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이들이 수 없이 많습니다.

 

4. 하나님의 나라의 특징

겨자씨 비유를 통해 알 수 있는 하나님 나라의 특징은 무엇입니까? 첫번째 특징은 하나님의 나라는 매우 작게 시작된다는 것입니다. 세계를 변화시키는 구원은 개인 구원에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개인 구원 없이 사회 구원이나 사회 변혁도 있을 수 없습니다.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겨자씨가 되어 자라갈 때 하나님의 나라는 이 땅 위에서 커 나갈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랑으로 변화된 한 사람 한 사람이 씨앗으로 성장하여 사회를 변혁시켜 나가는 것이지요. 그런 의미에서 여러분이 예수 그리스도를 주로 영접하고 그리스도인이 된 것만큼 놀라운 일도 없는 겁니다.

한 사람이 예수님을 영접하고 그 마음에 하나님 나라를 맛본 사건은, 세속적인 역사 속에서 눈에 띌 만큼 대단한 사건이 아닐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한 알의 겨자씨가 땅에 떨어진 사건입니다. 겨자씨가 땅에 떨어져 감춰져 있을지 모르지만 때가 되면 성장하고 부풀어 올라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 나라의 두번째 특징은 눈에 보이지 않게 성장한다는 것입니다.

과연 커 가고 있는가, 라는 의구심이 들 정도로 그 성장이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지요. 씨앗의 성장이 그렇잖습니까?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자라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나라는 인격의 속도로 자란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하나님 나라는 아주 느리지만 천천히 계속해서 진행되어가고 있습니다.

하나님 나라는 세상의 급진적인 혁명이나 정치적 권력 또는 무력으로 변화되어가지 않습니다.

인격적인 변화로 감화시키며 천천히 세계를 잠식해 가고 있는 것이지요.

예수님의 삶을 보십시오. 그는 30년간 거의 눈에 띄지 않게 갈릴리 황무지에 뿌려진 한알의 겨자씨였습니다. 그분은 감춰진 누룩과 같았습니다.

그러나 그분 속에 있는 사랑이 싹을 틔우고 자라, 때가 이르자 그는 드러났고 폭발적인 사랑과 에너지로 온 이스라엘을 변혁의 도가니로 몰아 넣었습니다.  땅에 떨어져 감춰진 것 같고,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씨앗은 자라고 있습니다. 때가 이르면 그 성장은 놀랍게 이뤄지며, 거기서 뿜어지며 방출되는 선한 에너지와 열매들로 말미암아 세상은 변화되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비록 작지만 실은 작지 않습니다. 여러분 안에 있는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이 있기 때문입니다. 겉 보기에는 세상 사람들과 다를 바 없어 보이지만 우리 속에는 예수님의 사랑이 있고, 변화된 인격이 있습니다. 그 사랑과 인격이 이 세상 속에서 아름답게 열매 맺을 것입니다. 그러한 인격의 열매들을 통해 하나님의 나라는 천천히 보이지 않게 이 세상을 변화시켜가고 있습니다. 뭔가 대단한 인물이 아니어도 좋습니다. 뭔가 고급진 인생이 아니어도 좋습니다. 초라할지라도 여러분 안에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이 있다면 여러분을 통해 아름다운 열매들이 맺혀갈 것입니다. 여러분의 그늘 아래 많은 사람들이 와서 쉬어 갈 것입니다. 많은 이들에게 안식과 평화를 주는 인생이지요. 우리는 겨자씨처럼 우리 자신을 더욱 겸손하게 낮추고 우리 거친 자아를 은밀하게 감춘다면 아름다운 열매를 맺을 수 있습니다. 열매 가득한 우리 삶을 통해 하나님의 나라가 이 땅 위에 강력하게 세워져 갈 것입니다. 여러분은 작지만 숨겨져 있는 듯 보잘 것 없어 보이지만 하나님의 나라를 만들어가는 귀한 씨앗들이십니다.

 

Korean Church Translate 3.docx

Scripture: Matthew 13
Sermon: Things That Are Good Because They Are Small

Translated by Ji-Han Park

1.
It's the second week of Advent. Last week, we encountered many miraculously delightful things. Brother Yoo Joo-hyun, who was surviving on a ventilator in the emergency room, regained consciousness. After waking up from the hospital bed, he contacted us. It was like a miracle. Also, The Republic of Korea miraculously qualified for the World Cup round of 16, bringing joy to the nation. We eagerly wait for something we deeply want and expect. Advent is a season of waiting. We wait because of longing, but also because of earnestness. What are you longing for? I hope that your earnest wish becomes true during the Advent season.

People generally like big things. Being tall rather than short. Having big eyes rather than small eyes (like me). Big assets are also nice. Driving an expensive car more than a cheap one. A big fancy house. As a newlywed, I used to live in a 22 square meter house, then moved to a 39 square meter house in 2 years. Moving into a house with almost double the square footage, I felt like the living room was a gymnasium. Generally speaking, good and positive things are better when they are big. Even things that are concepts, such as courage, confidence, faith, hope, love... are better when they are big.

On the contrary then, what are things that are good when they are smaller or fewer? Age? Is it better to be younger? Hair thickness is better when thinner. Otherwise, you will have a shining head like me. In general, negative things are better in smaller quantities. For example: stress, hatred, quarrel, complaint, dissatisfaction, greed, victim mentality, hurt, misunderstandings, etc. But the Bible says that the kingdom of God started with something very small.

Advent is a season to remember the lowliness and humility of Jesus. He is bigger and mightier than the universe itself but he entered the womb of Mary. Jesus became much smaller so that he could come to us. Advent is the season of looking at the much smaller and lowly Jesus.

2.
Heaven begins insignificantly small, like a mustard seed.
Matthew 13 is full of parables of Jesus. Among them, the parables of the mustard seed and the yeast are very similar. Both parables tell of a very small cause or start and end with that cause becoming significantly bigger, producing unimaginable results. Heaven is just like this. Let’s read verses 31-32 together. “
31 He told them another parable: “The kingdom of heaven is like a mustard seed, which a man took and planted in his field. 32 Though it is the smallest of all seeds, yet when it grows, it is the largest of garden plants and becomes a tree, so that the birds come and perch in its branches.”

1

Do you know how small a mustard seed is? It is small enough that sprouting new shoots from the seed seems kind of questionable. Until new shoots are emerging, it is hard to tell whether it is a rapeseed, radish seed, or mustard seed. When I was young, we also grew many seeds, but it was impossible to tell them apart. However, as the seeds sprout and grow, the different seeds become distinguishable. The seed is small, but through that seed, a tree of enormous size is born, and from that tree you can reap a countless amount of fruits.

Jesus says that the kingdom of God works like. God's kingdom is very small, seemingly unnoticeable. And not many people follow it. But once that country is planted it begins to grow. It grows and grows and eventually exerts a huge influence. The tree in the parable symbolizes the kingdom of God. The kingdom of God is like a mustard seed - it starts with us being small. And although we seem small, the kingdom of God starts within people like us.

3.
The kingdom of God begins through the small people who have condensed themselves. The movement of the kingdom of God is neither like a strong political party organization nor a loud and imposing military march. Rather, it starts small, like a mustard seed. The kingdom of God begins with an individual who, like a mustard seed, denies and humbles himself. Just as Jesus condensed himself, individuals who follow in his footsteps will feel the transformative power of God’s kingdom wriggling and progressing within. So Advent is the season to learn about lowness, humility, and self-denial, like Jesus.

We don’t know if we are small, humble. But only when we deny ourselves and reduce and condense ourselves in Jesus Chirst can the kingdom of God begin to grow. And even though we are small, we create an amazing ripple effect that becomes the driving force in the growth of the kingdom of God.

Jesus was reduced to the size of a baby seed (sperm) and grew up in a woman's belly. He grew up in a small hidden village in Galilee. His family wasn’t very wealthy or influential as his father was a carpenter. He lived a very poor life, and had an even worse death before leaving this world. The disciples he raised were also not very special people - people with not much to see. Excluding the disciple who betrayed Jesus, Jesus left 11 disciples behind, ascending into heaven. What in the world were a

2

mere 11 people supposed to do? However, the Bible tells us that the kingdom of God spread rapidly through those 11 people. The kingdom of God eventually grows so much that in 300 years it dominates Rome. And now, 2000 years, followers of Jesus Christ are all over the world, in innumerable amounts.

4. Characteristics of God's Kingdom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ngdom of God that can be known through the parable of the mustard seed?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at the kingdom of God begins very small. Transformation for the salvation of the world begins with individual salvation. There can be no community salvation or community transformation without individual salvation. When each of us becomes a mustard seed and grows, the kingdom of God too grows on this earth. The community is transformed by individuals who receive and are transformed by the love of Jesus Christ. In that sense, there is nothing more amazing than accepting Christ as Lord and becoming a Chrsitian. One person receiving Jesus and getting a glimpse of the kingdom of God may not stand out in history as an amazing feat, but it is like a mustard seed falling to the ground. The seed may be hidden in the ground, but when the time comes it will grow and swell and make a big impact.

The second characteristic of the kingdom of God is that it grows noticeably. It is sometimes to the point where we ask ourselves, is it really growing? But isn’t that like a seed? The growth of a seed is not visible. But it is growin. There is a saying that God’s kingdom grows at the speed of character. It grows very slowly but continuously. The kingdom of God is not transformed by a radical revolution in the world or by a strong political power or force.

The growth is not visible enough to raise doubts about whether it is really growing. That's it. Seed growth is like that, right? It is unnoticeable. But it's growing.
There is a saying that the kingdom of God grows at the speed of character.
The kingdom of God is very slow, but it continues to progress slowly. It will not be transformed by a radical revolution in the world or by some major political power or force. His kingdom will be changed through individual character changes that slowly but surely encroach and transform the world.

Look at the life of Jesus. He spent 30 years in the Galilee wastelands unnoticed, like a grain of mustard seed. He was like hidden yeast. But the love within him sprouted and

3

grew, and eventually that love burst and exploded out, driving all of Israel into a crucible of change. The seed may not be hidden in the ground, and not look like it is growing. But when the time comes, the seed will grow exponentially and radiate good energy into the world, bringing about positive change.

Although you may seem small, you are not small. That is because Jesus Christ is within you. On the outside, we seem no different from the secular people of the world, but inside, the change of personality because of Jesus’s love is evident. That love and personality will bear fruit beautifully in this world. Through the fruits of such character, the kingdom is slowly and surprisingly growing. You don’t have to be amazing. You don’t have to live a luxurious life. Even if you are shy, Jesus Chrsit is within you, bearing beautiful fruit through you. Many people will come to rest under your shade. You will give rest and peace to many. I hope you all live beautiful lives like this. A life that bears wonderful fruit and transforms the lives of many.

4

Posted by speramus

본문: 마태복음6:24-34

제목: 몸이 중한가, 옷이 중한가?

 

1.

오늘은 교회력으로 대림절 첫 번째 주일입니다. 대림절이라고도 하고 대강절이라고도 하는 절기는 교회력으로 한 해를 시작하는 절기입니다. 그러니까 교회 달력으로 오늘은 한 해를 여는 시간입니다. 대림이란 말은 기다릴 대()와 임할 임()자가 합해져 만들어졌습니다. 이 절기를 시작하며 우리는 아기 예수로 이 땅에 오신 예수를 기다리고, 다시 오실 재림의 예수를 간절히 기대하며 기다립니다. 우리가 다시 오실 주님을 기다리는 삶을 산다는 것은 예수님이 꿈꿔 왔던 세상을 우리도 함께 꿈꾼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기도(the Lod’s Parayer)에서 우리가 고백하듯이 아버지의 나라가 이 땅에 임하고 하늘의 뜻이 이 땅에 이뤄지기를 간절히 바라는 삶을 꿈꾸는 것입니다.

 

우리는 모두 각자 나름의 이야기를 써가고 있는 저자(authors)들입니다. 우리는 인생을 살아가며 수 없이 많은 이야기들을 들으면서 어떤 이야기의 일부로 살아갈 것인지를 고민합니다. 여러분이 하나님을 창조주로 믿고 예수 그리스도를 나의 구세주로 믿는다는 것은 하나님의 구원의 이야기의 일부로 살아가겠다고 결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 말은 또한 내 인생의 주인을 하나님으로 삼고 살겠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내가 원하고 내가 욕망하는(desire)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욕망하는 이야기를 살고자 결심하는 것입니다. 본문의 말씀은 한 사람이 두 주인을 섬기지 못한다고 말합니다. 세상은 두 가지 길 밖에 없습니다. 하나님을 섬기는 길 아니면 돈을 섬기는 길 이 두가지 뿐입니다. 세상의 어떤 대단해 보이는 명분도 하나님을 섬길 것인가? 돈을 섬길 것인가?” 하는 이 양단(兩端))의 갈등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돈을 주인으로 섬기는 이야기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것을 최고로 여깁니다. 자본주의 사회가 그렇듯이 이윤을 창출하고 이익을 만들어 내는 것이 가장 중요한 가치로 여겨집니다. 돈을 주인으로 섬기는 이야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소비입니다. 내가 어떤 옷을 입고 어떤 차를 타고 어떤 백을 매고 다니느냐가 그 사람의 가치를 매기는 기준이 됩니다. 실용적이지 않아 보이는 인간성이나 품성의 개발 같은 것은 가치 없는 것으로 취급됩니다. 소비가 미덕이 된 사회에서는 하나님의 형상을 많이 구현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으로 많이 닮아 간다고 세상에 무슨 쓸모가 있냐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런 소비사회는 인품이나 성품이 미덕이 되기 힘듭니다.

 

2.

그러나 하나님은 그와는 정 반대의 길을 우리에게 알려주시고 그 이야기를 따라 살라고 하십니다. 여러분 몸이 중요할까요 아니면 그 몸 위에 걸치는 옷이 중요할까요? 몸은 목숨이자 생명을 의미합니다. 생명이 중요합니까, 생명을 위해 필요한 음식이나 옷이 중요합니까?  몸이 중요하고 생명이 중요합니다. 몸이 없고 생명이 없으면 음식이 무슨 소용이며 옷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성경은 말합니다. 우리의 몸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빚어졌다구요. 우리는 하나님의 이미지대로 만들어진 존재입니다. 그러기에 우리의 생명은 하나님의 형상을 구현할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하나님의 형상을 좀 더 보편적인 말로 표현하자면 인간성, 성품, 품성 등이 될 것입니다.

 

하나님의 형상으로 만들어졌다는 것은 우리가 조금 더 따뜻하고 인간적인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옷이 아무리 아름다워도 옷을 입은 사람의 인간성이 일그러져 있으면 전혀 아름답지 않을 것입니다. 옷을 입은 사람의 삶이 귀신처럼, 좀비처럼 엉망이라면 그 사람 위에 아무리 아름다운 옷을 입혀 놓은 들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연봉의 차이는 옷의 차이를 만들어 냅니다. 연봉이 많은 사람은 좋은 옷을 살 수 있겠죠. 그렇지만 그 사람의 가치를 결정하는 것은 옷에 있지 않고 그 사람의 인간성에 있습니다. 인간성이 일그러져 야수처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구찌를 입혀 무엇하며 루이비통을 걸쳐 무엇 하겠습니까?  

옷이 중요합니까? 몸이 중요합니까? 옷을 입을 몸과 목숨이 훨씬 중요한 것입니다. 여기에서 우리 삶의 길이 정해져야 합니다. 여기에서 우리 삶을 디자인할 이야기가 정해져야 하는 것이죠. 기독교는 목숨에 관한 종교입니다. 하나님의 길을 간다는 것은 몸과 생명에 관심을 기울이며 사는 삶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몸과 생명을 돌보는 삶은 어떤 삶일까요? 본문의 말씀은 우리에게 어떻게 살아가는 삶이 몸과 목숨을 아름답게 가꾸는 삶이라고 말해주고 있나요?

 

3.

몸과 목숨을 돌보는 삶을 위해서 먼저 하나님을 창조주로 믿고 살아가야 합니다. 하나님을 창조주로 믿는다는 것은 내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어진 아름다운 존재임을 믿는 것입니다. 시편 13913-14절에서는 주님께서 내 장기를 창조하시고, 내 모태에서 나를 짜 맞추셨습니다. 내가 이렇게 빚어진 것이 오묘하고 주님께서 하신 일이 놀라워, 이 모든 일로 내가 주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내 영혼은 이 사실을 너무도 잘 압니다.” 나를 바라보며 신묘막측하게 지어진(fearfully and wonderfully made) 것을 느껴보신 적 있습니까? 신묘막측이란 표현은 하나님께서 내 존재를 지으신 것을 느끼며 두려울 정도로 놀라워 한다는 말입니다. 우리 말로는 경탄(驚歎)하다는 표현을 쓰지요. 경탄은 몹시 놀라 감탄하다(feel wonder and admiration)’라는 뜻입니다. 내가 하나님에 의해 만들어진 사실에 놀라는 겁니다. 자주 거울에 비친 여러분의 모습에 경탄하시길 바랍니다. “내가 이렇게 아름다웠어? 하나님이 나를 이렇게 멋지게 만드셨다고? 이런 걸작품이 다시 나올 수 있을까?” 이런 말들을 해가시면서 하나님의 창조하심을 기뻐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자기 자신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아름답게 창조되었음을 믿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아름답게 만들어졌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압니다. 사람들 뿐만 아니라 작은 들풀을 보면서까지 경탄할 줄 압니다. 왜냐면 그러한 미물들도 하나님이 만드신 작품임을 알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나의 주변의 모든 사물을 귀하게 여기고 모든 생명체들을 감격하며 바라보게 됩니다. 나를 아름답게 바라볼 줄 알고, 하나님의 창조의 신비를 깨달은 사람들에게 이러한 경탄의 능력이 주어집니다.

 

이러한 경탄은 정말 느릿느릿 자신의 인생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선물이기도 합니다. 서두르고 재촉하는 삶 가운데서는 경탄할 여유가 없습니다. 제가 훈련해 온 수년 간의 새벽기도는 천천히 해찰하며 걷기였습니다. 해찰한다는 것은 일에 마음을 두지 아니하고 쓸데없이 다른 짓을 한다(do something else while one is at work)’는 뜻이죠. 우리는 일에서 좀 떠나서 천천히 걷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정말 느린 걸음으로 주변의 만물들의 소리를 들으며 걸어야 합니다. 정말 천천히 걷다 보면 새 소리는 물론이고 꽃들의 소리도 들리기 시작합니다. 켈리포니아의 1월의 정원들을 해찰하며 걸으며 그 겨울에도 피어 있는 장미들과도 인사하고 새싹들과도 인사하며 그들의 소리를 듣습니다. 그러면서 경탄하는 것이죠. 하나님이 그 모든 만물들의 소리 가운데서 제게 말을 걸어오시는 것을 느낍니다. 하찮은 들꽃도 이름을 불러줄 때 나에게 의미로 다가옵니다. 우리는 너무 바쁘게 살아가는 나머지 해찰할 여유 없이 살아갑니다. 시속 55마일의 속도에 길들여지다 보니 천천히 걷는 속도가 답답하기만 합니다. 이곳 로체스터에 와서 차에 치어서 길 위에 널부러져 있는 생명체들을 많이 봅니다. 누군가 길 가로 치워주지도 않고 차에 밟혀 비참해지는 생명채들을 보며 참 안타깝습니다. 자동차는 인간에게 속도를 선물로 주었지만 그 속도 때문에 너무나 많은 것들이 희생을 당하고 있습니다. 그 속도는 우리에게서 해찰과 경탄의 감각을 빼앗아 가버렸는데 이것이 속도가 주는 가장 큰 손실일 겁니다. 천천히 걸으며 내 주변을 응시하고 귀기울일 때에야 비로소 경탄할 감각들이 개발되리라 믿습니다.

 

4.

아담이 하나님이 만드신 에덴 동산에서 했던 일이 무엇입니까? 그에게 다가오는 동물들과 식물들의 이름을 불러주는 일이었습니다. 하나님이 명령하신 일은 아니었습니다. 아담은 아마도 그 동물들과 식물들에 경탄하며 자연스레 그들의 이름을 불러준 것 같습니다. 이름을 불러준다는 것은 그를 의미 있는 존재로 여긴다는 뜻 아니겠습니까? 그러니까 인간이 가장 먼저 뱉었던 말은 다른 피조물에 대한 경탄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아담은 자신의 뼈와 살로 채워진 여자를 처음 바라보며 경탄합니다. “이는 내 뼈 중의 뼈요 살 중의 살이로다.” 어떤 목사님이 그러시더라구요. 인간의 입에서 가장 먼저 뱉어진 문장은 싯귀였다구요. 여자를 바라보며 내 뱉은 아담의 첫 문장은 여자의 존재를 경탄하며 감격한 것이었습니다. 하나님 또한 자신이 만들어 놓으신 만물을 바라보시며 경탄하셨습니다. “~ 보기에 심히 좋구나.” 하나님이 자기 형상으로 만든 우리를 너무 귀하게 여기셨기 때문에 그의 독생자 아들을 이 땅에 보내신 것 아닐까요?

 

경탄할 줄 아는 사람들만이 하나님께 진정한 감사를 드릴 수 있습니다. 하나님이 나를 창조하셨다는 것을 깨닫는 것은 큰 복입니다. 창조하다는 히브리 단어는 바라라는 말입니다. 축복을 뜻하는 히브리 말 바라크는 이 바라라는 말에서 나왔습니다. 창조가 복인 것입니다. 내가 하나님으로부터 창조되었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축복입니다. 내가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 자체가 복입니다. 내가 오늘 숨을 쉬고 이곳에 있는 것 자체가 복이자 신비입니다. 어찌 어찌 하다 로체스터라는 작은 도시에 흘러 온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이곳에 우리를 두신 것입니다. 저와 여러분이 로체스터에서 서로 만날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신비롭고 복된 일입니까? 한인 교회가 이곳에 있다는 것이 놀랍고 감사한 일입니다. 주일마다 함께 예배를 드릴 수 있다는 것이 신비로운 것이구요. 모두가 경탄에 마지 할 일입니다.

 

5.

사랑하는 여러분! 하나님이 세상을 창조하셨다는 고백을 할 때 그 창조 속에는 내가 포함되었다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내 존재가 하나님의 걸작품이듯 세상 모든 사람들이 하나님의 걸작품입니다. 하나님의 창조를 믿음을 통해 우리는 세상의 모든 것들과 연결되어집니다. 내 목숨이 소중하 듯 다른 이들의 목숨과 생명이 소중합니다. 내 목숨이 소중하듯 들풀 하나도 소중한 것입니다. 솔로몬의 옷보다 들풀 하나가 더 소중하고 아름답습니다. 왜냐면 그 들풀은 하나님의 작품이고 하나님이 지금도 돌보시는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공중에 나는 새는 그냥 목적 없이 저 창공을 날아다니는 것이 아닙니다. 창조주 하나님의 보살핌 가운데 비상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창조를 믿는 사람들은 공중의 새와 들의 핀 꽃을 보며 영감을 얻습니다. 공중의 새와 들꽃은 우리에게 있는 염려를 덜어줍니다. ‘저 새와 들꽃도 먹이시고 입히시는 하나님이 하물며 나를 그대로 내버려 둘까?’ 하는 감각이 생기는 겁니다. 돈을 사랑하는 마음은 결국 우리를 염려로 몰아 넣습니다. 우리의 목숨과 생명에 관심을 두지 못하게 합니다. 오히려 옷이나 음식과 같은 몸과 목숨의 부속물들에 더 큰 관심을 갖게 만들죠.

 

오늘은 한 해의 감사 제목들을 돌아보며 온전한 감사를 하나님께 드리는 추수감사 예배이기도 합니다. 올 한 해 내가 거둬들인 한 해 농사는 하나님의 보호와 은총 없이 되어진 것이 없습니다.  내가 여기 지금 숨 쉬고 있는 것이 은혜입니다. 내가 창조되어 지금 이 자리에 있다는 것이 큰 복입니다. 하나님이 먹이시고 입히시는 복을 누리면서 우리가 무엇을 더 바라고 무엇을 더 욕망해야 할까요? 목숨보다 더 소중한 것이 없습니다. 하나님을 믿는 신앙은 몸과 목숨에 관한 것을 따르는 길입니다. 창조주 하나님을 믿는 신앙은 인생을 온전하게 만들어줍니다. 목숨을 성하게 만들고 온전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바로 이 믿음입니다.

 

대림절과 추수감사절을 동시에 지나는 오늘 예배를 통해 하나님은 여러분에게 묻습니다. 여러분은 지금까지 어떤 이야기의 일부로 살아왔습니까? 여러분은 앞으로 어떤 이야기의 일부로 살아가고 싶습니까? 몸과 목숨이 아닌 그것을 위한 옷과 음식을 갈망하는 이야기의 일부로 살기 원하십니까? 아니면 몸과 목숨을 온전히 돌보고 성하게 하는 창조주 하나님을 향한 믿음으로 나가길 원하십니까? 이것은 근본적인 우리 삶의 갈등인 동시에 믿음으로 살아가고자 하는 사람들의 결단을 요구하는 질문이기도 합니다.  하나님의 형상은 옷을 통해 발현되지 않습니다. 몸과 목숨 속에 담겨 있는 인간성과 성품을 통해 다른 이들의 삶을 아름답게 만드는 삶입니다.

 

우리가 만들어가는 이야기는 무엇을 중하게 여기는 이야기인가요? 여러분에게 질문해 보십시오. 목숨과 의복 중에 무엇이 소중합니까? 무엇을 좇으며 추구하는 이야기의 일부가 되시겠습니까? 그리스도를 따르기 원하신다면 여러분은 반드시 이 질문에 답을 해야 합니다. 돈을 따라 맘몬이 주인 되는 이야기를 따를 것인가? 아니면 하나님이 주인되어 이웃들과 주변의 만물들과 함께 경탄하며 감사하는 삶을 따를 것인가? 두 길의 중간은 없습니다. 여러분의 선택은 무엇입니까?

Text: Matthew 6:24-34
Title: What is more important, the body or the clothes?

Translated by Hur Min-Jun

1.
Today is the first Sunday of Advent according to the church calendar. Advent (Daerim-jul in Korean) is the season that begins the year. So, according to the church calendar, we open the year today. The word Daerim is made up of two characters: waiting (Dae, 待) and coming (Rim, 臨). As we begin this season, we wait for Jesus who came to this earth as the baby Jesus, and we also eagerly anticipate His Second Coming. Waiting for the Lord to come again means that we too dream of the world that Jesus dreamed of. As we confess in the Lord's Prayer, we earnestly hope that the Father's kingdom will come to this earth and that Heaven's Will be done on this earth. 

We are all authors, each writing our own story. As we go through life, we hear countless stories and think about what kind of story we will live as a part of. When we believe in God as our Creator and Jesus Christ as our Savior, it means we are determined to live as part of God's story of salvation. It also means that we will make Him as the owner of our lives. We decide to write the story of God’s desire, not my desire. Today’s Scripture says that one cannot serve two masters. The world has only two paths: to serve God or to serve money. Even a great-looking cause in the world comes down to “Will you serve God? Will you serve money?” 

The story of serving money as the master considers efficiency and making profits the most important value. In this story, consumption is the best value. What kind of clothes you wear, what kind of car you ride, what kind of bag you wear becomes the standard in determining a person’s value. Humanity and development of character, which seem impractical, are considered worthless. In a society where consumption has become a virtue, you think about what use it is to the world if you embody the image of God and become a lot like Jesus Christ. In this consumer and capitalist society, it is difficult for character or dignity to be a virtue.

2. 
But God teaches us the opposite way and tells us to live the story of life. Does your body matter or do the clothes on top of the body matter? The body means life. Is life important, or is food or clothing that we consume for life important? The body and life is what is really important. What good is food and what good are clothes if there is no body or life? The Bible says our bodies are made in the image of God. We are beings made in the image of God. Therefore, our life was created for the purpose of embodying the image of God, or in more general terms, humanity, character, and personality of God. 

Being made in the image of God also means that we have to be a little warmer and more humane. No matter how beautiful the clothes are, they will not be beautiful at all if the wearer is cruel and coldhearted. If the life of the person is messed up like a ghost or a zombie, what is the use of wearing beautiful clothes? The difference in salary makes a difference in clothes. A person with a higher salary will be able to buy better quality clothes. However, it is not the clothes, but the person’s personality, that ultimately determines a person's worth. What would Gucci or Louis Vuitton be good for if we are living like beasts?  

Are clothes important? Or is the body important? A body and life are far more important than clothes. Here, we need to determine the path of our lives and decide on the design of our lives. Christianity is a religion about life. Walking the way of God means living a life paying a special attention to one's body and life. Then, what kind of life is a life that takes care of the body and life? What kind of life does today’s Scripture teach us about?

3. 
In order to lead a life that takes care of your body and life, you must first believe in God as the Creator. To believe in God as the Creator is to believe that we are beautiful being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Psalm 139:13-14 says, “For you created my inmost being; you knit me together in my mother’s womb. I praise you because I am fearfully and wonderfully made; your works are wonderful, I know that full well.” Have you ever looked at yourself and felt that you were fearfully and wonderfully made? This means that we are so amazed to the extent that we are afraid. We use the Korean word kyung-tan, which means “wonder and admiration.” This means we are amazed at the fact that we were created by God. I hope you often marvel at your reflection in the mirror. “Am I this beautiful? Did God make me this cool? Can a masterpiece like this come out again?” As you say these words, I hope you will rejoice in God's creation.

Those who believe that they are created beautiful in God's image naturally know that other people are also made beautiful. They know how to marvel not only at people, but also at the little grasses of the field. It is because they know that even such insignificant creatures are the works of God. These people value all things around them and look at all living things with admiration. This ability to kyungtan, or to admire, is given to those who realize the mystery of God's creation and know how to look at themselves beautifully. 

Admiration is also a gift to those who enjoy their life really slowly. There is no room for amazement when you rush from one thing to the next. During my morning prayers, for many years, I have been trying to walk slowly and practice Haechal. Haechal is a Korean word which means “do something else while one is at work.” We all need some time away from work so that we can walk slowly. Also, while we are walking slowly, we have to listen to the sounds of all things around us. When we walk really slowly, we start to hear the sounds of flowers and birds. 

I walk through the gardens of California in January, said hello to the roses still blooming in the winter, and listened to the little buds’ voices. And then I admire, or kyungtan. I feel God speaking to me in the midst of all the voices of creation. Even insignificant wild flowers come to me with meaning when I call them by name. We live such a busy life that we don't have time to haechal, or to reflect. When we are used to the speed of 55 miles per hour, the walking pace is frustrating. After coming to Rochester, I see a lot of creatures on the road that have been hit by cars. It's really sad to see the creatures being left on the road and trampled on. Cars have given humans speed as a gift, but too many things have been sacrificed for that speed. The speed has robbed us of our sense of wonder and admiration. This is probably the biggest loss because of the speed. Only when we walk slowly, stare at things, and listen to the surroundings, we will be able to develop our sense of wonder and admiration.

4.
What did Adam do in the Garden of Eden? He called the names of animals and plants that approached him. It was not what God commanded. Adam was probably amazed at the animals and plants and naturally called them by name. Doesn't calling someone by name mean you consider that person a significant being? So, we can see that the first words a human uttered were admiration for other creatures. 

Also, Adam marveled at the woman filled with his own flesh and bones. “This is now bone of my bones and flesh of my flesh” (Genesis 2:23). One pastor said that the first sentence that was spit out of a human mouth was a poetic verse. Adam’s first word was a word of admiration and thrill at the woman's existence. God also marveled at the things He had created. "Hmm~ It's very nice to see." Could it be that God sent His only begotten Son to this earth because He so much valued us, who were made in His image?

Only those who know how to marvel at and admire things can truly give thanks to God. It is a great blessing to realize that God created us. The Hebrew word for creation is “bara.” The Hebrew word “barak,” which means blessing, comes from this word “bara.” Creation is a blessing. It is a blessing to realize that we are created by God. It is a blessing that we exist in this world. The very fact that we are breathing and being here today is a blessing and a mystery. We didn't somehow end up in this small city called Rochester, but God placed us here. How mysterious and blessed it is that you and I can meet each other in Rochester? It is surprising and thankful that there is a Korean church here. It is marvelous that we can worship together every Sunday. 

5. 
When you confess that God created the world, do not forget that you were included in that creation. Just as my existence is God's masterpiece, everyone in the world is God's masterpiece. Through faith in God's creation, we are connected to everything in the world. Just as my life is precious, so are the lives of others. Just as my life is precious, every wild grass is precious. Wild grass is more precious and beautiful than Solomon's clothing, because the grass is God's work and God is still taking care of it. The birds of the air don't just fly aimlessly across the sky. They are under the care of God the Creator. 

Those who believe in God's creation find inspiration in the birds of the air and the flowers of the fields. They relieve our anxiety because they make us wonder, “God feeds and clothes even them, how would He leave us alone?” The love of money eventually drives us to worry. It shifts the focus away from our lives to the accessories of life, such as clothes and food. 

Today is also a Thanksgiving service. We look back on our year with gratitude and give our full thanks to God. None of the crops we harvested this year were possible without God's protection. It is God’s grace that we are breathing here and now. It is a great blessing that we were created to be here now. While enjoying these blessings, what more should we hope for and what more should we desire? There is nothing more precious than life. Faith in God is following the story of the body and life. Faith in God the Creator completes our life. It is this faith that makes our lives thrive and flourish. 

Through today's service, which is both Advent and Thanksgiving service, God is asking you. What stories have you been a part of? What kind of story do you want to live as a part of? Do you want to live as part of a story where you crave clothes and food, not your life? Or do you want to go out with faith toward God the Creator who fully takes care of your body and life? This is a fundamental conflict in our lives, and at the same time, it is also a question that requires the determination of those who want to live by faith. The image of God is not expressed through clothes. It is manifested by the humanity and character embodied in life that makes other lives beautiful.

What values do we pursue in our stories? Ask yourself. What is more important, life or clothing? What are you chasing? If you want to follow Christ, you must answer this question. Will you follow money and make mammon the owner of your life? Or will you follow God, let Him become your master, and lead a life of wonder and gratitude with your neighbors and all things around you? There is no middle ground between the two paths. What would you choose?

Posted by speramus

본문: 시편 34:1-22

제목: 주의 선하심을 맛보아 알라

 

1.     고난이 갖는 역설 (The paradox of suffering)

     지난 한 주 로체스터에 많은 눈이 내렸습니다. 겨울 왕국에 와 있구나 실감이 나더군요. 여러분은 겨울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많은 문학 작품들은 겨울이라는 소재를 통해 인생의 시련과 고난을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인생의 어려운 시기를 혹독한 겨울에 비유하곤 합니다. 여러분의 삶은 어떠 한가요? 실제로 우리에게도 겨울과 같은 시즌이 옵니다. 겨울과 같은 춥고 고통스러운 시즌을 통과해 보지 않고 우리는 성장하기 힘듭니다. 이런 겨울의 매서운 추위를 맛본 사람만이 봄날의 따사로운 햇살에 감격할 수 있습니다.  고난이란 참으로 아이러니 합니다. 고난 당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 어디 있겠습니까? 하지만 고난은 우리 삶을 더욱 겸손하게 하고 하나님과 연결해 주는 도구가 되기도 합니다. 고난을 통해 하나님을 더욱 찾게 되니, 고난은 반길 수도 없으면서 감사한 손님인 것 같습니다.

     다윗이 왜 훌륭한 시인이 되었고 훌륭한 음악가가 되었을까요? 그의 인생을 통해 끊임 없이 경험한 고난과 시련 때문이었습니다.  시편 34편은 고난 가운데 하나님을 찬양하며 그분을 높이는 삶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우리에게 말해 줍니다. 다윗은 그의 삶에 경험했던 고난과 곤경 가운데 하나님을 만난 경험을 간증합니다. 그는 고난과 시련을 통해 하나님의 선하심과 인자하심을 맛보아 알았다고 고백합니다(8). 우리가 하나님의 선하심과 인자하심을 맛보아 아는 대부분의 경우는 고난과 곤경을 통해서 입니다. 1절부터 10절 말씀이 다윗이 고난과 곤경 가운데 하나님의 구원을 경험한 간증입니다. 11절부터 22절까지의 말씀은 자신이 경험한 신앙의 경험을 자신의 후대에 전하는 내용입니다. 후대에 신앙이 전수되는 결정적인 고리를 고난을 통한 구원에서 찾고 있는 것을 우리는 주목해 보아야 합니다. 다윗이 그의 삶에 고난을 통해 하나님을 맛보고 알았다면, 우리의 삶에 찾아온 고난을 통해서 우리도 하나님을 맛보아 알 수 있지 않을까요?

 

2.     아비멜렉 앞에서 미친 척하는 다윗

     다윗은 도대체 무슨 고난을 겪었길래 우리에게 함께 주님을 끊임 없이 찬양하고 그분을 높이자고 하는 것입니까? 본문의 표제(head line title)아비멜렉 앞에서 미친 체하다가, 쫓겨나서 지은 다윗의 시라고 되어 있습니다. 다윗은 도대체 무슨 사연이 있어서 아비멜렉이란 사람 앞에서 미친 척하여 살아남은 것일까요? 미친 척 하여 살아남았다는 것은 굴욕감을 감수하면서 살아남았다는 뜻이죠. 이스라엘의 왕 사울은 자신의 왕위를 넘보는 것처럼 보이는 다윗을 평생 쫓아다녔습니다. 다윗은 사울을 피해 이곳 저곳 떠돌이 생활을 했습니다. 그는 이스라엘의 원수 나라였던 블레셋까지 도망가야 할 신세였습니다. 블레셋의 시글락 성에 들어간 것은 그가 블레셋 왕이었던 아비멜렉의 용병으로 자처했기 때문입니다. 한 나라의 왕이 되어야 할 다윗이 도대체 무엇때문에 라이벌 나라의 식객이 되어야 했던 걸까요? 그는 혼자가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다윗은 수 백명의 사람과 떼를 지어 몰려 다녔습니다. 떼거리로 몰려다니는 무리들이 살아남는 방법은 두 가지였겠죠. 약탈을 하며 살든지 다른 나라의 용병이 되어 몸을 파는 것입니다. 다윗은 용병이 되어 몸을 팔기로 한 것이죠. 그런데 문제는 용병이 되어 몸을 팔려고 하다 발각이 되어 죽을 위기에 처했다는 거죠. 자신 뿐만 아니라 수 백명의 목숨이 날아갈 위기 앞에서 리더였던 다윗은 미친 척하며 굴욕감을 감수하기로 한 것입니다. 침을 질질 흘리며 헛소리를 해대며 그 위기를 모면하려는 지도자 다윗을 한 번 상상해 보십시오.

 

     여러분에게도 직장이 전쟁터와 같을 때도 있을 겁니다. 직장에서 여러 모멸감을 참아가며 마지 못해 일하기도 합니다. 어떤 이는 가족들을 위해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는 굴욕감과 모욕감을 꾹꾹 눌러가며 일해야 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다윗은 인간의 존엄성의 일부가 훼손을 받으면서도 구원의 이야기를 자랑스럽게 하고 있습니다. 왜냐면 그 과정을 통해 하나님의 선하심과 인자하심을 맛보아 알았기 때문이죠. 여러분이 고난과 곤경 가운데 처했을 때 제일 하지 말아야 할 말이 아이고 죽겠네~”입니다. 그렇게 안 해도 죽게 될 판에 굳이 죽겠다고 말할 이유가 없습니다. 대신 이렇게 하십시오. 주님 제 고난을 통해 실감은 안 나지만 시편에 있는 대로 주님께 고백하고자 합니다. 여호와께서 높아지시길 바랍니다. 내가 주님의 이름을 높이고 주님을 자랑하겠습니다. 주님께서 나를 건져 내시고 나에게 응답하실 것입니다. 내가 완전히 바닥에 떨어졌고 더이상 떨어질 곳도 없이 쓰러져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주님을 높이겠습니다.” 이렇게 고백하셔야 합니다. 나의 고난의 상황이 좋아지든 좋아지지 않든 이 고백을 하기로 의지적으로 선택하는 것입니다. 왜 이런 고백이 힘이 있는 줄 아십니까? 이 고백은 믿음의 선배들이 이미 경험한 살아있는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

 

3.     하나님의 구원의 공명(resound)

     다윗은 그의 삶에 실제로 경험한 하나님의 구원을 그의 후대 사람들에게 전하고자 했습니다. 11절 말씀을 보십시오. “젊은이들아 와서 내 말을 들어라. 주님을 경외하는 길을 너희에게 가르쳐 주겠다.” 다윗은 자신의 삶에서 실존적으로 경험한 하나님의 인자하심과 선하심을 간증합니다. 그 간증은 살아 있는 이야기이니 다른 사람에게 감동을 줍니다. 피아노로 미(Mi) 음을 치면 기타의 첫번째 줄과 여섯 번째 줄이 덜덜 떨립니다. 우리는 이걸 공명(共鳴)이라 하죠. 같은 주파수가 왔을 때 같은 음을 가진 현이 떨리는 겁니다. 간증이 갖는 힘은 바로 공명입니다. 하나님의 선하심을 맛보아 안 구원의 경험은 비슷한 고난과 곤경 가운데 있는 사람들의 삶에 울림을 줍니다.

 

     우리가 시편을 읽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여러분이 어떻게 기도할지 모르겠다면 시편을 읽으십시오. 시편은 거의 대부분이 기도문입니다. 인생의 쓴 맛과 혹독한 시련을 겪고 있는 사람들의 하나님을 향한 부르짖음이 시편이기 때문입니다. 시편을 기록한 저자들은 그들의 삶에 찾아온 고난 한 가운데서 하나님께 부르짖습니다. 때론 탄식하고 때론 한탄하기도 하며 자신들의 감정을 솔직하게 토해 내기도 합니다. 하지만 마지막에는 항상 하나님을 찬양하죠. 고난 당하는 사람들이 하나님을 찬양하기란 참으로 어려운 일입니다. 어떻게 내가 죽게 생겼는데 하나님을 찬양할 수가 있습니까? 하나님께 내 상황을 솔직하게 말하다 보면 온통 나를 사로잡았던 현실에서 눈을 돌려 하나님을 바라보게 됩니다. 기도와 찬양은 반드시 우리를 이렇게 만들어 줍니다. 현실은 변함 없지만 기도와 찬양은 우리의 시선을 현실로부터 하나님으로 돌려주도록 도와줍니다.

 

     여러분의 인생이 한겨울을 통과하고 계십니까? 혹독한 시련과 고난이 여러분을 둘러싸고 있습니까? 그럴 때일수록 하나님을 찬양하십시오.

나 오직 주님만을 자랑할 것이니, 비천한 사람들아, 듣고서 기뻐하여라.

나와 함께 주님을 높이자, 모두 함께 그 이름을 기리자

내가 주님을 간절히 찾았더니, 주님께서 나에게 응답하시고, 내 모든 두려움에서 나를 건져내셨다(2-4).”

비천한 사람2절과 6절에서 반복됩니다. 이는 히브리 말로 아니(עָנִי)’라는 말인데 Poor, humble, lowly, weak 라는 뜻입니다. 6절에 이 비천한 몸도 부르짖었더니…” 이 말의 뉘앙스는 이렇습니다. “아니 나같이 부족한 사람도 되는데 당신이라고 안 되겠어?” 다윗의 비천한 경험은 우리를 포함한 이후의 세대들에게 많은 공명을 주고 있습니다. 비천에 처했더라도 낙심하지 마시고 하나님을 찬양하십시오.

7절의 표현을 보십시오. 주님의 천사가 주님을 경외하는 사람을 둘러 진을 치고, 그들을 건져 주신다.”

둘러 진친다라는 히브리 말은 군대가 둘러 싸서 빠져 나갈 곳이 없이 완전히 포위해버린 상태를 말합니다.

고난이 사방으로 우겨 싸서 움츠러들게 할지라도(고후4:8), 주님의 천사가 오히려 그 고난을 포위 시켜 버리고 해체 시켜 버린다는 거죠. 고난 가운데 하나님을 높이는 자들의 삶에 하나님은 천사를 보내시고, 그의 비천한 삶을 들어 올리신다는 겁니다.

 

4.     두려움과의 싸움

     여러분의 삶에 찾아 온 고난은 오히려 간증이 되어 많은 비천한 사람들에게 힘을 주는 이야기가 될 것입니다. 두려움에 정복당하지 마십시오. 우리가 하나님을 따르며 가장 경계해야 할 대상이 바로 이 두려움입니다. 사탄은 아담과 하와에게 다가갈 때 두려움을 가지고 그들을 의심가운데로 빠지게 했죠. 사탄이 우리를 미혹케 하기 위해 가장 자주 사용하는 무기가 바로 이 두려움입니다. 두려움은 하나님을 온전히 신뢰하지 못하게 하고 의심 가운데로 빠져들게 하는 힘을 갖고 있습니다.  온전한 사랑은 두려움을 내어쫓지만, 온전한 두려움은 사랑을 내어쫓습니다.” 그러니까 두려움이 우리 마음 속에 계신 사랑이신 하나님을 내어쫓게 만든다는 겁니다.

     여러분의 삶에 짙은 안개가 끼어 계신 분이 계시다면 오늘 다윗의 노래를 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의 삶이 혹독한 시련으로 점철되어(series of hardship) 있다면 다윗과 함께 이런 노래를 불러 보시기 바랍니다. 그의 노래를 들어 보십시오. 나는 내 노래에 여러분을 동참시키려고 합니다. 여러분 내 개인적인 스토리에 귀를 기울여 보세요. 나는 곤고한 자였습니다. 나는 이스라엘의 국경에서 망명하여 쫓기는 개와도 같았습니다. 이스라엘 국경 남단을 슬피 울며 방황했습니다. 저는 국제 난민이었습니다. 나는 갈 곳이 없었습니다. 내가 피할 곳은 주님 밖에 없었죠. 나는 광야에서 한 없이 주님을 찾고 찾았습니다. 하지만 나는 그곳에서 하나님의 선하심과 인자하심을 맛보아 알았습니다.”

 

     저는 여러분이 다윗처럼 고난 한 가운데서 하나님의 선하심과 인자하심을 맛보길 기도합니다. 다윗이 하나님의 선하심에 대해 미각을 사용한 것은 정말 놀랍다 생각됩니다. 맛은 우리 삶에 가장 원초적인 본능인 식욕을 해결하게 도와줍니다. 맛을 통해 우리는 에너지를 공급받고 살아갈 힘을 얻게 되죠. 우리 인생 인생을 견인해 가는 근본적인 힘은 하나님의 선하심을 양식으로 먹는 것을 통해 생기게 됩니다. 우리가 고난을 이길 힘은 하나님의 선하심과 인자하심을 맛보는 것을 통해서 입니다. 젊은 사자들이 굶주릴 가능성은 몇 퍼센트라고 생각하세요. 젊은 사자들은 힘이 있기에 절대 굶주리지 않습니다. 젊은 사자들이 굶주릴 정도라면 기근이 너무나 심한 상황이겠죠. “젊은 사자들은 먹이를 잃고 굶주릴 수 있으나, 주님을 찾는 사람은 복이 있어 아무런 부족함이 없을 것입니다(10).”

 

5.     공동체에서 나눠져야 할 이야기

     다윗의 이야기가 오늘 우리의 고난에 공명을 줄 수 있다면 우리들의 이야기 또한 서로에게 울림을 줄 수 있습니다. 이것이 공동체의 힘입니다. 우리가 공동체로 하나님 앞에서 예배를 드리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서로의 이야기가 서로에게 자극을 주는 것이지요. 11절 말씀처럼 특별히 믿음의 선배들의 이야기는  우리에게 큰 힘과 자극을 줍니다. 젊은이들아, 와서 내 말을 들어라. 주님을 경외하는 길을 너희에게 가르쳐 주겠다.” 여러분의 친구와 이웃들에게 그리고 자녀들에게 여러분이 고난 가운데 하나님을 찾은 이야기를 들려 주십시오. 여러분의 인생의 혹독한 겨울을 통과하며 직접 맛보고 경험했던 하나님의 선하심과 신실한 이야기를 들려주십시오. 그것이 신앙의 전수의 연결고리를 만들어 줄 것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아이들을 교회 교육부서에 맡기는 것만으로 신앙의 전수가 됐다고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여러분의 믿음의 이야기를 아이들에게 직접 들려주십시오. “아이들아 내 말을 들어라!” 여러분의 가정에서 식탁 앞에서 믿음의 이야기가 나눠지게 하십시오.

 

     그런 면에서 오늘은 저의 이야기를 잠시 나누고자 합니다. 저는 대학시절, 하나님의 사명을 따라 사는 소명자가 되겠다고 다짐을 했었습니다. 그렇게 선교사로, 목회자로 헌신하고 지금까지 살아왔습니다. 제가 어릴 적부터 하나님 앞에서 저 자신을 훈련해 온 것은 “Faith Mission”이었습니다. 하나님이 보내셨으면 하나님이 모든 삶을 책임지신다는 것을 믿는 삶이 페이스 미션입니다. 하나님께서 여러 통로를 통해 필요를 채우시고 공급해 주시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걱정하지(염려하지) 말고 부르심을 따라 하나님의 사역을 하라고 의도된 삶인 것이죠. 성경의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살았습니다. 다윗, 엘리야, 바울 같은 사람들이 하나님의 공급하심을 믿으며 믿음으로 살아갔죠. 물론 예수님의 삶도 그러했습니다. 저도 이들의 삶처럼 믿음 선교로(페이스 미션) 살기로 용기를 냈고, 정말 그런 믿음의 삶이 작동하는 것을(working) 경험했습니다.

 

     제가 중국선교를 나갈 당시, 의지적으로 선교편지에 후원계좌를 명시하지(showing) 않았습니다. 선교지에서도 믿음의 삶이 작동하는지 경험하고 싶었습니다. 하나님의 선하심을 경험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정말 주님은 일하셨습니다.

     최근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지난 6월에 사역하던 교회를 사임했고 9월 초 이곳에서 사역을 시작하기까지 약 3개월 정도 무직이었습니다. 그런데 그 기간동안 정말 놀랍게도 여러가지 방법으로 채우시는 하나님의 일하심은 놀라웠습니다. 말 그대로(literally) 하나님의 선하심과 인자하심을 맛보았습니다. 통장계좌가 거의 0으로 되면 기적들이 일어났습니다. 몇 달 전에 신청해 놓은 어느 교회의 장학금에 선발됐다고 메일이 오고 곧이어 체크 우편물이 날아왔습니다. 한국에 있는 아내의 친구가 퇴직금의 일부라며 입금을 해주기도 했습니다. 기숙사 디파짓이 입금되기도 하고, 여러 손길들을 통해서 일용할 양식을 공급해 주셨습니다. 오히려 주님은 그 시간 속에서 그분을 찬양할 일들을 만들어 주셨습니다. 하나님의 선하심과 인자하심을 맛보아 알았습니다.

  최근에 눈길에 두 번 정도 미끌어졌는데 주변 분들이 스노우 타이어를 해야 한다고 정보를 주셨어요. 사실 스노우 타이어를 살 형편이 안됐는데, 몇일 전 한국에서 지인이 필요한 것에 사용하라고 송금을 해주셨는데 그것을 확인하고 웃음이 났습니다. 마치 저의 상황을 안 것처럼 스노우 타이어의 비용이었기 때문입니다. 때로는 주님은 저에게 이렇게 유머러스 하게 다가오시기도 합니다. 믿음으로 살아가는 삶은 우리에게 기쁨과 희망 그리고 용기를 가져다 줍니다. “믿음으로 사는 자는 하늘 위로 받겠네~”라는 찬송처럼 하나님은 그분을 의지하고 끝까지 신뢰하는 사람들의 삶을 결코 외면하지 않으십니다.

 

     제 이야기를 솔직하게 나눈 이유는 하나님이 부르짖는 자들의 삶에 응답하신다는 것을 말씀하기 위함입니다. 모두 다 저와 같은 극적인 경험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여러분의 삶의 형편에 맞게 맞춤형 써비스로 하나님은 응답하실 겁니다. 다윗의 삶을 통해 우리가 배우는 것은 시련과 고난 가운데 우리의 의지할 바는 오직 하나님 뿐이라는 겁니다. 주님은 우리를 두려움 속에서, 환난 속에서도 건져 주십니다. 추운 겨울의 눈보라 속을 걷는 것과 같은 시련 가운데 계신 분들의 삶을 격려하고 싶습니다. 이 혹한의 시간이 지나면 어느새 따뜻한 봄날이 다가올 것입니다.  

    

경제적인 어려움, 진로나 이직, 질병, 인간관계, 출산과 양육 등 어느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 시련이자 고난입니다. 여러분은 지금 그 가운데 서 계십니까? 여러분은 그 고난을 어떻게 마주하고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오늘 여러분에게 말씀하십니다. 만약 고난 가운데에 있다면 하나님을 찬양하고 하나님을 높이는 여러분이 되시길 빕니다. 그 고난 속에서도 하나님은 나를 만나주시고 건져 주시고 그분의 일하심을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여러분 각자 나의 구원의 이야기를 만들어 가시길 바랍니다. 고난을 통해 하나님의 인자하심과 선하심을 직접 맛보아 아는 여러분 되시길 축복합니다.

 

     더 나아가 그 구원의 스토리를 여러분의 자녀에게, 친구, 이웃들에게 증거하십시오. 특별히 비천함에 처한 이웃이 있는지 주의 깊게 살피고 그에게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 주십시오. 여러분이 경험한 구원의 이야기를 들려 주십시오. 그래야만 우리 삶에 찾아온 불청객 같았던 고난이 축복으로 변하게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구원의 이야기가 우리 다하나 교회와 성도님들의 삶 가운데 더욱 넘쳐났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17-19절의 말씀을 통해 하나님의 마음을 되새기며 오늘 말씀을 마무리 하고자 합니다.

 의인이 부르짖으매 여호와께서 들으시고 그들의 모든 환난에서 건지셨도다
  여호와는 마음이 상한 자를 가까이 하시고 충심으로 통회하는 자를 구원하시는도다
  의인은 고난이 많으나 여호와께서 그의 모든 고난에서 건지시는도다

 

Scripture: Psalms 34:1-22

Sermon: Taste and See That the Lord is Good

Translated by Melody Lee

 

  1. The paradox of suffering

It snowed a lot in Rochester this last week. I felt like I was in a frozen kingdom. What images come to mind when you think of winter? Many literary works have expressed the trials and tribulations of life through the topic of winter. We liken life's difficult times to a harsh winter. How was your life? In fact, a season like winter is coming to us too. It's hard for us to grow without going through a cold and painful season like winter. Only those who have tasted the bitter cold of winter can be thrilled with the warm sunlight of spring. Suffering is ironic indeed. No one likes to suffer. However, suffering can also become a tool that makes our lives more humble and connects us with God. Through hardships, we find God more. Thus, while we cannot welcome suffering, we are thankful for it.

 

Why did David become a great poet and a great musician? It was because of the hardships and trials he constantly experienced throughout his life. His 34th Psalm tells us how precious it is to praise God and exalt Him in the midst of suffering. David testifies to the experience of meeting God in the midst of hardships and difficulties he experienced in his life. He confesses that he has tasted and known God's goodness and mercy through hardships and trials (v. 8). Most of the time we taste and know God's goodness and lovingkindness through hardships and difficulties. Verses 1 through 10 are David's testimony of God's salvation in the midst of hardships and difficulties. The words from verses 11 to 22 are the content of conveying the experience of faith that he himself experienced to his future generations. We must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salvation through suffering is the decisive link through which faith is handed down to future generations. If David tasted and knew God through the hardships in his life, shouldn't we also taste and know God through the hardships that came to our lives?

 

  1. David when he pretended to be insane before Abimelech

What on earth did David go through so he asks us to constantly praise the Lord and exalt him? The head line title of the main text reads, “Of David. When he pretended to be insane before Abimelech, who drove him away, and he left.” What did David endure that he had to pretend to be insane in front of a man named Abimelech to survive? Surviving by pretending to be crazy means surviving by enduring humiliation. King Saul of Israel pursued David, who seemed to be trying to overthrow his throne, all his life. David lived a wandering life from place to place, avoiding Saul. He had to flee to the Philistines, Israel's enemy country. The reason he entered the Philistine castle of Ziklag was because he offered himself as a mercenary to Abimelech, the Philistine king. Why did David, who was supposed to be the king of a country, have to become a guest of a rival country? Because he wasn't alone. David went around in groups with hundreds of people. There must have been two ways for the people to survive. Either live by plundering or sell yourself as a mercenary in another country. David became a mercenary and decided to sell his body. But the problem is that he was caught trying to sell himself as a mercenary and was in danger of dying. In the face of the risk of losing not only himself but also hundreds of lives, David, the leader, decided to pretend to be crazy and accept the humiliation. Imagine for a moment the leader David, drooling and talking nonsense to escape the crisis.

 

There will be times when our workplace is like a battlefield. Some work reluctantly while enduring various humiliations at work. Some have to work for the sake of their families while suppressing their sense of pride and enduring humiliation. However, David proudly tells the story of salvation even though it’s humiliating to people. Because through that process he tasted and experienced God's goodness and lovingkindness. When you are in the midst of hardship and trouble, the first thing you should not say is “Oh, I’m going to die.” There is no reason to say that you will die if you do not do so. Instead say, “Lord, though I cannot comprehend it through my suffering, I want to confess to you as in the psalms. May the Lord be exalted. I will exalt your name and praise you. Lord, you will deliver and answer me. Lord, I have fallen completely and can fall no further, but I will exalt the Lord.” We must confess this. We must voluntarily make this confession whether or not the circumstances of our suffering improve. Do you know why this confession is so powerful? Because this confession is a living story that those of faith have already experienced.

 

  1. The Resonance of God's Salvation

David wanted to pass on the salvation of God that he truly experienced in his life to his descendants. Look at verse 11. “Come, my children, listen to me; I will teach you the fear of the Lord.” David testifies to God's lovingkindness and goodness as he has experienced existentially in his own life. Because that testimony is a living story, it touches others. When you play “e” (mi) on the piano, the first and sixth strings of the guitar vibrate. We call this resonance. Strings with the same pitch vibrate when the same frequency comes. The power of testimony is resonance. The experience of salvation through tasting God's goodness resonates in the lives of people in similar hardships and predicaments.

 

This is why we must read the Psalms. If you don't know how to pray, read the psalms. The psalms are almost always prayers. Because the psalms are the cry to God of people who are going through the bitterness and severe trials of life. The authors of the psalms cry out to God in the midst of the hardships that have come into their lives. Sometimes they sigh, sometimes lament, and express their feelings honestly. But in the end, they always praise God. It is very difficult for those who are suffering to praise God. How can we praise God when we are about to die? When we tell God honestly about our situation, we turn our eyes away from the reality that has caught us and look to God. Prayer and praise must make us like this. Reality doesn't change, but prayer and praise help us turn our gaze from our circumstances to God.

 

Is your life in the middle of winter? Are severe trials and tribulations surrounding you? Praise God whenever that is the case. “I will glory in the Lord; let the afflicted hear and rejoice. Glorify the Lord with me; let us exalt his name together. I sought the Lord, and he answered me; he delivered me from all my fears.” (verse 2-4). “The afflicted / this poor man” is repeated in verses 2 and 6. This is the Hebrew word 'no (עָנִי)', which means poor, humble, lowly, weak. In verse 6, “This poor man called,” The nuance of these words is as follows. “No, even a person like me is lacking, but can’t it be you?” David's humble experience resonates a lot with us and later generations.

 

Even if you are in low places, don't be discouraged and praise God. See the expression in verse 7. “The angel of the Lord encamps around those who fear him, and he delivers them.” The Hebrew word for “encamps around”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army is completely surrounded and has nowhere to escape. Even if hardships come in all directions and we are hard pressed on every side (2 Cor. 4:8), the angel of the Lord surrounds our hardships and dissolves them. God sends angels to the lives of those who exalt God in the midst of suffering, and lifts up their lowly lives.

 

  1. The fight against fear

The hardship that came into your life will instead become a testimony and a story that gives strength to those suffering. Don't be overcome by fear. It is fear that we must be most vigilant of as we follow God. When Satan approached Adam and Eve, he pulled them into doubt using fear. Fear is the weapon Satan most often uses to deceive us. Fear has the power to prevent us from fully trusting God and lead us into doubt. “Perfect love casts out fear, but perfect fear casts out love.” So fear drives God, the love in our hearts.

 

The hardship that came into your life will rather become a testimony and a story that gives strength to many lowly people. Don't be overcome by fear. It is this fear that we must be most vigilant of as we follow God. When Satan approached Adam and Eve, he brought them into doubt with fear. Fear is the weapon Satan most often uses to deceive us. Fear has the power to prevent us from fully trusting God and lead us into doubt. “Perfect love casts out fear, but perfect fear casts out love.” So fear drives God, the love in our hearts.

 

Those who feel as though there is a thick fog in your life, please listen to David's song today. If your life is marked by a series of hardships, try singing this song with David. Listen to his song “I want to get you to join me in my song. Listen to my personal story. I was a wretched man. I was like a dog being chased in exile on the borders of Israel. I wandered weeping along the southern tip of the Israeli border. I was an international refugee. I had nowhere to go. My only refuge was the Lord. I searched endlessly in the wilderness for the Lord. But there I tasted and knew God’s goodness and lovingkindness.

 

            I pray that you, like David, will taste God's goodness and mercy in the midst of suffering. It's amazing how David used his taste for God's goodness. Taste helps us solve the most primal instinct in our lives, our appetite. Through taste, we are supplied with energy and gain the strength to live. The fundamental power that drives our life comes through eating God's goodness as food. The strength we have to overcome hardships is through tasting God's goodness and lovingkindness. Think of the percentage chance that the lions will starve. The lions are strong and never go hungry. If the lions are starving, the famine must be too severe. “The lions may grow weak and hungry, but those who seek the Lord lack no good thing.” (v. 10)

 

  1. Stories to share with the community

If David's story can resonate with our hardships today, our stories can also resonate with each other. This is the power of community. It is also the reason why we worship in front of God as a community. Our stories inspire each other. As in verse 11, especially the stories of seniors in the faith give us great strength and stimulation. “Come, my children, listen to me; I will teach you the fear of the Lord.” Tell your friends, neighbors, and children the story of how you found God in trouble. Please tell us the story of God's goodness and faithfulness that you tasted and experienced firsthand through the harsh winter of your life. Because it will make the link of the transmission of faith. In particular, we should not think that simply entrusting children to the church Sunday School will pass on the faith. Tell the story of your faith directly to your children. “Children, listen to me!” Let the story of faith be shared at the table in your home.

 

In that respect, I would like to share my story for a moment today. When I was in college, I made a resolution to become a vocational person who lives according to God's mission. That's how I devoted myself as a missionary and a pastor, and I've lived until now. It was the “Faith Mission” that I have been training myself in front of God since I was young. The faith mission is to believe that God is in charge of every life if God has sent it. God fills and supplies needs through various channels. That's why it's a life intended to do the ministry of God according to the call without worrying (do not worry). Many people in the Bible lived like that. People like David, Elijah, and Paul believed in God's provision and lived by faith. Of course, the life of Jesus was like that too. I mustered up the courage to live as a faith mission like their lives, and I really experienced that kind of life of faith working.

 

When I went on missionary work in China, I voluntarily did not look at the support account in the mission letter. I wanted to experience how the life of faith works in the mission field. I wanted to experience the goodness of God. But really, the Lord worked.

 

Even recently I experienced this. I resigned from the church I was ministering at last June, and I was unemployed for about 3 months until I started ministering here in early September. But during that period, it was amazing how surprisingly God filled it in various ways. I literally tasted the goodness and mercy of God. Miracles happened when bank accounts nearly zeroed. A few months ago, I received an email saying that I had been selected for a church scholarship that I had applied for, and soon after I received a check mail. My wife's friend in Korea said that it was part of her severance pay and deposited it. The dormitory deposit was deposited, and through various hands, they provided daily bread. Rather, the Lord created things to praise Him in that time. I tasted and knew God's goodness and mercy.

 

I recently slipped on the snow twice, and people around me informed me that I needed snow tires. Actually, I couldn't afford to buy snow tires, but a few days ago, an acquaintance in Korea sent me money to use for something I needed, and I laughed when I checked it out. It was because the amount sent was the cost of the snow tires, as if they knew of my situation. Sometimes the Lord comes to me in a humorous way. A life lived by faith brings us joy, hope and courage. Just like in the hymn, “Those who live by faith will receive it from above,” God never turns away from the lives of those who rely on Him and trust Him to the end.

 

The reason I share my story honestly is to tell you that God answers the lives of those who call upon Him. Not everyone has to have the same dramatic experience as I did. God will respond with services tailored to the circumstances of your life. What we learn from David's life is that in the midst of trials and tribulations, the only thing we can rely on is God. The Lord delivers us from fear and from tribulation. I want to encourage the lives of those who are in the midst of trials like walking through a snowstorm in a cold winter. After this harsh time, warm spring days will soon arrive.

 

            Hardship can find any of us, such as economic difficulties, career or job change, illn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hildbirth and parenting. Are you standing in the middle of hardship now? How are you facing it? God is speaking to you today. If you are in the midst of hardship, I hope you will praise God and exalt God. Even in the hardship, God will meet me and deliver me, and I will experience his work. I hope each of you will create your own story of salvation. I bless you to know God's lovingkindness and goodness through hardships.

 

Furthermore, testify the story of salvation to your children, friends, and neighbors. Watch out for a neighbor who is particularly struggling, and tell them your story. Please tell us the story of salvation you have experienced. It is because only then can the hardships that seemed like uninvited guests in our lives turn into blessings. I hope that the story of God's salvation will overflow even more in the lives of our church and believers. Finally, I would like to wrap up today's message by reflecting on God's heart through verses 17-19.

The righteous cry out, and the Lord hears them; he delivers them from all their troubles. The Lord is close to the brokenhearted and saves those who are crushed in spirit. The righteous person may have many troubles, but the Lord delivers him from them all

 

 

 

Posted by speramus

쌀 한 톨의 무게는 얼마나 될까

내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무게를 잰다

바람과 천둥과 비와 햇살과 

외로운 별 빛도 그 안에 스몄네

농부의 새벽도 그 안에 숨었네

나락 한 알 속에 우주가 들었네

버려진 쌀 한 톨 우주의 무게를 

쌀 한 톨의 무게를 재어본다.

 

세상의 노래가 그 안에 울리네

쌀 한 톨의 무게는 생명의 무게

쌀 한 톨의 무게는 평화의 무게

쌀 한 톨의 무게는 농부의 무게

쌀 한 톨의 무게는 세월의 무게

 

쌀 한톨의 무게는 우주의 무게

 

- 홍순관 “쌀 한 톨의 무게”의 노랫말-

 

 

세상의 모든 피조물은 하나님의 작품입니다. 우리 또한 하나님이 창조하신 작품이기에 우리는 모든 피조물들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나를 지으신 하나님에 감격하는 사람들은 쌀 한 톨을 보면서도 감격합니다. 이런 사람들에게는 내 주변의 자연과 주변 환경이 감사로 다가옵니다. 풀 한 포기에서도 창조주의 손길을 느끼며 들꽃 한 송이에서도 창조주의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센스를 가진 사람들에게 이웃 사랑의 길은 조금 더 수월하게 열립니다. 나의 주변의 이웃들 또한 하나님이 만드신 놀라운 걸작품이고 그들 가운데 하나님이 지금 일하신다는 감각을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로체스터라는 도시에 머물며 사는 것은 우연이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나를 이곳에 두셨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내 주변 사람들을 포함한 모든 피조물들이 나를 통해 복을 누리길 원하십니다. 우리가 복의 통로가 되기 위해서는 창조주 하나님을 향한 믿음이 필수적입니다. 히브리 말로 창조하다는 말 ‘바라’와 축복하다는 말 ‘바라크’는 같은 뿌리를 갖고 있는 말입니다. 하나님이 나를 창조하시고 내 주변의 이웃을 창조하시고 자연의 만물을 창조하셨다고 믿는 것이 복입니다. 그런 감각을 가진 사람들은 쌀 한 톨에서 우주를 발견하고 들꽃 한 송이에서 창조주를 봅니다. 우리에게 이런 감각이 있어 복된 인생으로 살아가길 원합니다. 

Posted by speramus

빌립보서 3장 18-19절에는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원수로 살아가는 사람이 많이 있습니다.그들의 마지막은 멸망입니다. 그들은 배를 자기네의 하나님으로 삼고, 자기네의 수치를 영광으로 삼고, 땅의 것만을 생각합니다.” 라는 말씀이 나옵니다. 바울은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원수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특징을 말하면서 ‘자기의 배’를 하나님으로 삼는 사람들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자신의 배고픔과 허기를 달래기 위해 하나님을 이용하려고 하고 하나님과 원수가 되기도 하는 사람들입니다. 인간에게 있어서 배고픔의 문제는 지극히 현실적인 문제입니다. 인류의 역사는 이 배고픔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투쟁으로 보아도 될 정도로 배고픔은 인간들의 근본적인 문제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사탄이 사람이 되신 예수님을 광야에서 시험할 때 첫 시험이 돌덩이를 떡덩이로 만들라는 시험이었습니다. 진로 문제, 이직 문제, 질병의 문제 등 우리 삶에 경험하는 많은 시험들이 결국에 우리의 먹고 사는 문제와 연결이 되어 우리를 염려 가운데로 인도하곤 합니다. 어릴 적 배고픔이나 결핍의 경험들은 우리의 염려를 더 강력하게 만드는 요소가 되기도 하죠. 저는 신앙의 궁극적인 목적은 나의 존재와 하나님의 존재가 하나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나와 하나님이 하나 되기 위해서는 나를 비워내야만 합니다. 그래서 예수님도 “누구든지 나를 따르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따라야 한다고 말씀하셨죠. 결국 신앙의 궁극적인 목적은 나를 비우는 데 있습니다. 나의 욕망을 하나님의 욕망으로 바꾸는 여정이 신앙의 여정입니다. 나를 비우는 삶은 영적으로 허기지게 만들어 가는 삶입니다.

 

하나님은 스스로 있는(I am who I am) 자라고 자기를 소개하십니다. 하나님은 궁극자이이시며 궁극적인 존재(Being)이십니다. 신앙은 궁극적인 존재자이시고 ‘the Being’이신 하나님을 찾는 여정이지요. 그런데 육신의 허기와 배고픔은 우리들로 Being 이 아니라 ‘beings'를 찾게 만듭니다. 피조된 존재인 beings들이 Being의 자리를 차지해 버리는 것을 ‘우상숭배’라 합니다. 소비주의 사회에서 우리의 육신의 배고픔을 채워주는 대표적인 수단인 돈이 우리의 목적이 되어버리기 쉽습니다. 돈은 우리의 수단일 뿐이지 목적이 될 수 없습니다. 하나님만이 우리의 유일하신 목적이 되어야 합니다. 아이들이 퇴근하는 아버지의 손에 들린 봉지만 바라보고 아빠의 얼굴은 쳐다보지도 않듯, 우리 또한 하나님을 그렇게 대할 때가 많습니다. 예수님은 “너희는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 그리하면 이 모든 것을 너희에게 더하시리라.”라고 말씀하시면서 목적과 수단이 바뀌면 안된다 순서가 바뀌면 안된다 경고하셨죠. 수단을 채우기 위해 하나님을 이용하지 않고 하나님만이 우리의 유일한 목적이 되는 인생이면 좋겠습니다. 

Posted by speramus
카테고리 없음2022. 11. 30. 02:36

최근 2년 동안 저는 어떤 소그룹에 소속되어 영성훈련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2주마다 한 번씩 모이는 모임이었죠. 그 모임을 인도하는 분은 항상 “지난 2 주 동안 당신에게 재밌었던 일이나 기쁜 일은 무엇인가요?”라는 질문을 던지고 모든 참가자들에게 그 질문에 답하도록 했습니다. 처음에는 이 질문에 답할 꺼리를 찾기가 무척 힘들었습니다. 그러면서 내가 무척 재미없게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죠. 재밌는 일과 기쁜 일을 찾기가 어렵다니 조금은 충격이었습니다. 그래서 다음 모임을 위해 일부러 2주 동안 재밌는 일을 만들어 보려고 노력도 해보았습니다. 그러면서 제 삶에 기쁜 일에 대한 감각이 새롭게 형성되어 가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인도했던 교육부의 어린 친구들에게도 매주 같은 질문을 해 보았습니다. “친구들은 한 주 동안 기쁜 일이나 재밌는 일이 있었나요? 무엇인가요?” 처음에는 말을 잘 안 하려던 친구들이 주가 반복될수록 자기가 즐겁게 놀았고 맛있게 먹었던 꺼리들을 자랑하고 싶어서 서로 하려고 하기도 했답니다. 여러분에게 질문해 봅니다. 최근에 여러분에게 기쁜 일이나 재밌는 일은 무엇입니까? 저에게도 한 번 자문해 보았습니다.

 

저는 공으로 하는 스포츠는 다 좋아합니다. 베드민턴을 해 본적도 있지만 공이 둥글지 않아서 그런지 금방 흥미를 잃더군요. 뭐니 뭐니해도 저의 최애(最愛)는 야구입니다. 저에게는 야구를 하고 즐기는 것이 큰 낙입니다. 아이 세 명을 낳고 이 녀석들과 캐취볼이라도 할 수 있을 것 같아 설레기도 했었죠. 그런데 인생이 영 제 마음대로 풀리진 않더군요. 아이들이 야구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 것이었습니다. 야구장에도 몇 번 데려가고 백방으로 노력해 보았지만 흥미를 보이지 않더군요. 손맛을 보여주면 끌려 오겠지 싶어 야구공 한 통을 마련했습니다. 가까이에서 살살 던져주며 베팅을 해보도록 했습니다. 효과가 있더군요. 둘째가 흥미를 보이면서 다른 아이들도 조금씩 야구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죠. 최근 큰 아들이 오른 손에 깁스(cast)를 해서 운동을 하지 못했었습니다. 지난 목요일 깁스를 푼 기념으로 저와 캐취볼을 했습니다. 제법 구속도 나오고 잘한다 칭찬을 해주었더니 피칭(투구)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더군요. 커브 볼, 슬라이더 볼 던지는 법들을 알려주니 더 흥미로워 합니다. 아들과 캐취볼이라니 저의 작은 소원이 성취되는 순간에 찐한 감동이 몰려오더군요. 나는 왜 아들들과 야구를 하면 이렇게도 기쁠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사랑하는 사람과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함께 공유하는 기쁨 아닐까요? 저의 기쁨은 이런데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여러분은 최근에 기뻤던 일이나 즐거웠던 일이 있으신가요? 여러분의 소그룹에서 그리고 여러분의 가정에서 정기적으로 이 질문을 한 번 나눠보며 서로의 기쁨을 공유해 보면 어떨까요? 분명 기쁨을 나누며 여러분의 기쁨은 배가될 것입니다.

Posted by speramus

자신의 정체성을 이해하고 내가 있는 이곳에 왜 위치해 있나를 알아가는 인생은 참으로 복된 인생입니다. 이민자들의 삶과 그들의 자녀들의 삶에있어 정체성이란 호흡과 같은 것인 듯합니다. 왜냐면 주변의 주류 사회의 문화와 조건들이 우리와는 사뭇 다르기 때문입니다. 내가 익숙한 문화와는 전혀 다른 문화 속에서 정체성이 바르게 서 있지 않으면 혼란스럽고 어지러울 수 밖에 없습니다. 어느 사회나 이민자들은 주류 사회로부터 주변화(marginalized)되기 쉽습니다. 그러기에 어떤 정체성으로 살아가는 지는 이민자들에게 참으로 중요한 문제인 것이죠.

이민진 작가의 소설 “파친코”를 읽어 보면 ‘노아’라는 인물이 등장합니다.이 소설 자체가 재일 조선인들(在日朝鮮人, 자이니치 조센진)에 대한 이야기죠. 재일 조선인들이 일본 사회에서 마주한 신분적 한계와 차별은 소설의 주요 주제입니다. TV 드라마 ‘파친코’에서는 부각된 인물이 아니지만 소설에서 ‘노아’라는 인물은 매우 중요하게 부각됩니다. 노아는 와세다 대학 영문과에 입학한 수재 청년으로서 조선인입니다. 하지만 그는 조선인으로서 자신의 한계를 직시합니다. 조선인으로 자신이 당하는 차별을 받아들이면서도 신분상승의 높은 벽에 괴로워합니다. 게다가 자신을 키워주셨던 아버지가 진짜 아버지가 아니라 대학 등록금과 생활비를 지원해주었던 야쿠자 조직의 한 남자가 실제 자기 아버지라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노아는 그 버거운 진실을 감내하지 못하고 아무도 자신을 알아볼 수 없는 곳으로 도망쳐 버리죠. 16년 동안 그렇게 자신을 감추고 살아온 노아에게 엄마가 다시 나타났을 때, 그는 권총을 자신의 머리에겨누고 생을 마감합니다. 조선인이라는 사실을 일부러 숨기고 일본인으로 가정을 이루고 살아가고 있는 그의 삶을 흔들어 놓은 것은 그의 정체성의 뿌리였습니다. 정체성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이 소설은 우리에게말해 주려는 것 같습니다. 특히 이민 세대들이 겪는 차별과 냉대 그리고 이질감 가운데 바른 정체성을 갖고 살아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말해줍니다. 노아는 조선인이라는 뿌리로부터 억지로 뽑혀 나와 새로운 삶을 살아보려 했지만 그것은 불가능한 일이었습니다. 그 한계를 인식하고 끝내 뿌리가 뽑힌 채 시들어 버린 것이지요.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는 이 땅에서 ‘나그네 된 하나님의 백성’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 정체성이 바르게 서 있지 않는 이상 우리는 이 세상 주류 사회와 성경의 가치 사이에서 혼란을 겪으며 표류할 수 밖에 없습니다. 하나님은 왜 나와 내 가정을 미국 땅에 보내셨고 나는 이곳에서 무엇을 위해 살아가고 있는지 확실한 목적의식과 정체성이 우리 삶을 이끌어 가기를 소망해 봅니다. 뿌리둘 땅을 알고 깊게 뿌리내린 나무만이 많은 열매를 맺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Posted by speramus

 10월 어느 날에 소설 ‘하얼빈’을 읽었습니다. 어릴 적 교과서에서 접했던안중근 의사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소설가 김훈은 오래전부터 안중근에 대한 이야기를 소설로 쓰고자 마음 먹었다고 합니다. 서른두 살의 젊은나이에 순국한 안중근 의사에게 빚진 마음에서 소설을 쓸 마음을 먹었다고 합니다. 소설 하얼빈은 안중근이 무직이었고 포수였으며 젊은 청년이었다는 것에 모티브를 삼고 이야기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기 일주일 전부터의 이야기와 주인공들의 심리묘사가 돋보입니다. 한 젊은이가 처자식을 뒤로하고 연해주행 기차를 탈 수밖에 없었던 그비장함을 마주하며 제 자신이 참으로 초라해졌습니다. 높은 뜻에 자신의모든 것을 걸고 투신할 수 있는 용기가 부럽기만 했습니다. 그의 거사는 무모하기만 했습니다. 안중근은 이토의 얼굴을 본적도 없었습니다. 신문 스크렙으로 얻은 이토의 사진 한 장을 들고 그는 하얼빈행 열차를 탄 것이었습니다. 하얼빈 역에 당도한 이토 일행 가운데 누가 이토인지 안중근은 알아차리기 힘들었다고 합니다. 다행히 군중들의 환호에 화답하는 이토를보고 그의 타겟을 알아낼 수 있었습니다. 그는 계란으로 바위치기라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뜻을 굽힐 수 없었습니다. 다윗이 준비한 물맷돌 다섯개처럼 그의 탄창에는 일곱 발의 총알이 장전되어 있었고 세 발이 정확히 이토의 급소를 관통합니다. 그리고 이듬해 부활절 전날 그는 형장의 이슬로사라집니다.

소설을 읽으면서 안중근이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날을 보니 10월 26일이더군요. 루터가 비텐베르크 성당에 ‘95개조 반박문’을 붙인 날을 기념하는 종교개혁 기념일이 10월 31일이니 얼추 비슷한 날에 안중근은 거사를시행했습니다. 안중근과 마틴 루터의 삶이 다른 결이긴 하지만 어두운 시대 상황을 의롭고 올곧게 돌파하고 타개해 보려는 노력에 있어 두 사람의시작점은 같다고 느껴졌습니다. 시대의 부조리에 편승하는 것이 아니라그 부조리에 불편해하고 어색해 하며 거슬러 개혁하려는 시도에서 둘은닮아있어 보입니다. 그 둘의 의로운 행동은 불씨가 되어 많은 이들에게 큰동기부여를 주었죠.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이 시발점이 되어 스위스의 즈빙글리, 프랑스의 쟝 깔뱅, 스코트랜드의 존 낙스 등의 종교개혁자들이 거대하고 왜곡된 종교 집단에 저항하여 일어났습니다. 안중근 또한 실의에빠진 조선인들에게 한 줄기 희망을 안겨주었고 많은 젊은이들로 국권 회복과 동양평화에 대한 꿈을 포기하지 않게 하였죠. 우리는 지금 어떤 결심과 행동을 통해 그들의 뒤를 따라야 하는 걸까요? 어두운 시대를 탓하지않고, 내 안에 거짓되고 헛된 욕망을 분별하여 떨쳐내고, 진리를 실천하고이웃을 사랑을 실천하는 작은 개혁을 만들어 내야겠습니다.

Posted by speram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