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베라는 남자>

사회성이 없다고 평가 받는 노인이 있다.  그는 사브만 타왔고 볼보나 독일차를 타는 사람들을 경멸한다. 그는 흑백으로 이뤄진 남자다. 그의 아내는 색깔이었다. 그녀는 그가 가진 색깔의 전부였다. 그는 숫자를 좋아했고 수학만 좋아했다. 그의 어머니는 화학공장에서 일한 것이 원인이었는지 그가 여덟 즘에 세상을 떠났다. 아버지는 말이 없는 분이셨는데 그의 어머니가 그나마 남아 있는 아버지의 단어들을 가져가 버렸는지 말이 더욱 없어졌다. 그가 고등학생일때 아버지마저 세상을 떠났다. 그의 삶이 흑백일 밖에 없는 이유였다. 그는 무뚝뚝했다. 어느날 기차를 기다리며 만난 그녀는 그의 삶에 위로였다. 남자는 40 동안 그의 삶을 채색했던 아내가 죽자 삶의 의미를 잃고 자살을 시도한다. 그러나 그의 삶에 짓궂은 이웃들이 끼어들며 그의 계획은 엉망이 되어 간다. 전혀 계획이 없이 이웃들과 엮이면서 그의 삶은 다른 색깔로 채워진다. 무뚝뚝하고 인간미가 전혀 없어 보이는 따뜻한 남자는 오베라는 남자이다. 

 

지난 주에 <오베라는 남자>라는 스웨덴 작가의 소설을 읽었습니다. 이렇게 감동과 눈물을 책은 오랜만입니다. 먼저 항상 외국 소설을 읽을 저의 흥미를 끄는 점은 그들도 우리 사는 것과 똑같다는 생각입니다. 미네소타의 이주민 중에 스웨덴 같은 북유럽인들이 많다보니 흥미를 갖고 봤는데 한국 사람들의 희노애락과 크게 다를 것이 없어 보입니다. 그러면서 나의 이웃에 사는 코카시안들도 내가 갖는 기쁨과 절망, 환희, 슬픔 등의 감정 가운데 살아가고 있겠구나라는 이해가 훨씬 깊어진 듯합니다. 두번째 책에서 흥미로운 점은이웃로컬이라는 의미입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이웃을 주셨고 이웃들이 우리 삶에 어떤 환희와 기쁨을 선물해 있는지 우리는 망각하며 살아갈 때가 많습니다. 아니 애써이웃 우리 사전에서 지우려하고골칫덩어리 고쳐 읽으려는 경향까지 있습니다. 곁가지일 있지만 저와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과일은두리안입니다. 두리안은 겉에 딱딱한 갑옷이 쌓여 있는 과일입니다. 갑옷에다 가시까지 겉면을 싸고 있어서 여간 부담스러운 겉모양이 틀림 없습니다. 그런데 겉면을 벗기면 우리를 더욱 당혹스럽게하는 사차원의 향기는 과일을 더욱 멀어지게 합니다. 그러나 과육을 사람은 과일의 진가를 압니다. 오베라는 남자가 두리안같은 이웃이었습니다. 그의 이웃들에게 딱딱하고 가시 돋은 말을 하는 그였지만 그는 따뜻한 사람이었습니다. 이웃들은 그의 진가를 알아보고 그와 어울리기를 기뻐합니다. 우리네 삶에도 이런 이웃 사랑의 기쁨이 회복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봅니다. 두리안 처럼 부담스럽고 다가가기 힘든 존재가 이웃이지만, 그들은 무미건조한 우리 삶에 색과 맛을 줄게 분명하기 때문입니다. 우리 동네에도 다른 오베가 있을테니까요.

Posted by speramus

본문: 마태복음 201-16

제목: 불편한 포도원

 

1.

예전에 농촌에서는 농번기가 되면 일할 사람을 구하려고 이 집 저 집 찾아가 물어 봐야 했습니다. 누구네 집이 모 심는다고 하면 동네에서 일 좀 하는 사람들이 일을 도와주죠. 그리고 도움을 받은 농부는 일을 도와준 사람이 도움이 필요할 때 그 집 일을 도우며 자신이 진 빚을 갚습니다. 이것을 품앗이라고 부르죠. 우리 조상들은 품앗이로 서로서로 도와가며 일손이 모자란 것을 메꿨습니다.  지금도 어린 시절 모내기를 할 때 열 명 정도 되는 어른들이 큰 논에서 허리를 숙이고 모를 심던 모습이 생생하게 기억납니다.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달라 붙지 않으면 1.5에이커 넘는 논에 모를 심는 것은 쉽지 않았습니다. 저야 뭐 모내기 할 때 줄만 잡는 역할이었지만 그 넓은 논이 몇 시간 만에 푸른 벼 모종으로 심겨지는 것을 보면 신기했습니다. 품앗이는 노동으로 갚아 주어야만 했습니다. 그렇지만 일한 일꾼들에게 주어지는 또 다른 보상은 맛있는 새참과 막걸리였습니다. 아침과 점심 중간에 10시쯤 되면 주인 집 아주머니는 큰 대야나 바구니 한 가득 맛있는 밥과 반찬을 머리에 이고 옵니다. 그리고 논두렁에 비닐 포장을 깔고 다같이 참을 먹습니다. 일꾼들은 ~’ 소리를 연발하며 막걸리를 들이킵니다. 주인이 일꾼들에게 해줄 수 있는 가장 큰 호의가 바로 맛있는 새참이었던 거죠.

 

본문 말씀을 보면 예수님 당시 팔레스틴에는 품앗이라는 것이 없었나 봅니다. 포도원에 포도 수확철이 되어 일손이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포도원 주인은 일꾼을 찾기 위해 이른 아침 집을 나섰습니다. 몇 사람을 만나 한 데나리온 주겠다는 약속을 하고 포도원으로 보냅니다. 한 데나리온은 당시 노동자들의 하루 품삯이니 적당한 가격이었던 거죠. 그리고 몇 시간이 흘렀습니다. 아침 9시가 되자 주인은 일꾼이 더 필요했는지 시장으로 나가 보기로 했습니다. 여기에 시장이라고 번역된 헬라어는 아고라’(γορά)입니다. 고대 그리스에서 아고라는 도시의 중심에 위치한 넓은 광장였습니다. 이곳에서 장도 열리고 정치적인 모임도 가졌습니다.  9시는 지금 우리 시간으로 아침 9시이구요. 어떤 성경에는 헬라어 성경 그대로 3시로   표시되기도 합니다. 그것은 유대인들의 시간 계산을 따랐기 때문입니다. 유대인들은 해가 지는 시간인 6시를 0시로 여겼고 하루의 시작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유대인들의 시간을 지금의 시간으로 바꾸려면 6시간을 더해주어야 합니다. 아무튼 주인은 오전 9시에 아고라에 나가 빈둥거리며 있는 사람들을 발견합니다. 주인은 그들에게  적당한 품삯을 주겠다며 포도원에서 일하도록 합니다. 주인은 12시와 오후 3시에도 나가서 빈둥거리는 사람들에게 일을 시켰습니다. 그것이 마지막이 아니었죠. 있으면 해가 지는 오후 5시가 되어서 주인은 아고라로 나갑니다. 주인이 서있는 사람들에게 묻습니다. “당신들은 종일 이렇게 하는 없이 빈둥거리고 있소?” 일꾼들이 대답합니다. “아무도 우리에게 일을 시켜주지 않아서 이러고 있습니다.”

 

예전에 인력시장이란 곳이 있었죠. 아침 5 30분경에 나가서 대기하고 있으면 사람들을 골라서 건설현장으로 보내는 곳이었습니다. 하루 하루 막노동하는 사람들이 거기에 몰려들었죠. 그런데 어떤 날은 일이 없어서 헛탕치고 집에 그냥 돌아가야 하는 날도 있었습니다. 그런 날은 정말 허무하고 기분이 좋지 않습니다. 가족들의 생계가 달린 가장이라도 된다면 그런 상황이 정말 난감하죠. 아마도 5시에 아고라에 있던 사람들은 하루 종일 그런 기분으로 신세 한탄을 하고 있었는지도 모릅니다. 시간 후면 해가 지는데 시간에 그들이 일을 찾고 돈을 버는 것은 불가능했습니다. 시간에 어떤 바보 같은 사람이 그들에게 일을 시킨단 말입니까? 그런데 포도원 주인은 그들을 고용했고 저녁까지 시간 됐지만 일할 기회를 것이죠.

 

본문에서 여기까지는 그래도 이해가 되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이후에 일과를 마치고 품삯을 계산하는 데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주인은 청지기에게 시켜서 나중에 사람, 그러니까 오후 5시에 사람부터 아침 일찍 사람 순서로 품삯을 치르게 합니다. 청지기는 오후 5시에 사람들에게 데나리온을 주었습니다. 아침 일찍 처음 사람들은 은근히 기대했습니다. ‘우리는 일을 훨씬 많이 했으니 훨씬 많은 돈을 받겠지?’ 그런데 결과는 어땠습니까? 그들에게도 똑같이 데나리온이 주어진 겁니다. 아침 일찍 사람들이 주인에게 투덜거리기 시작합니다. “ 사람들은 시간 밖에 일하지 않았는데도, 하루 종일 수고한 우리들과 똑같이 대우하십니까? 너무 부당한 아닙니까?” 그러자 주인이 사람에게 말합니다. “이보시오, 나는 당신을 부당하게 대한 것이 아니오. 당신은 나와 데나리온으로 합의하지 않았소? 사람에게 똑같은 돈을 주는 것은 뜻이오. 당신 것이나 챙겨서 돌아가시오.”

 

2.

오늘 날의 상식으로도 주인의 이런 행동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본문은 무엇을 말씀하려고 하는 것일까요? 먼저 본문은 마치라는 말로 시작하면서 비유라는 것을 말해줍니다. “하늘 나라는 마치 포도원 주인의 사정과 같다 하면서 포도원 주인의 마음과 사정을 이해할 하늘 나라를 이해할 있다는 암시를 우리에게 줍니다. 그리고 마지막절  이와 같이 꼴찌들이 첫째가 되고, 첫째들이 꼴찌가 것이다.”라는 문장은 비유를 마디로 정리해 주는 역할입니다. 그러니까 본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인의 마음을 먼저 이해해야 하고, 다음에 꼴찌된 자들과 첫째된 자들의 순서가 바뀌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를 알아야 합니다.

 

본문에서 첫째 이들 헬라어로 프로토이Protoi’(those who are ahead) 하고 있구요꼴찌 이들 에스카토이Escatoi’(those who are last)입니다. 그런데 프로토이와 에스카토이가 20장의 바로 앞장 마지막 절인 19 30절에도 나옵니다. “그러나 첫째된 사람들이 꼴찌가 되고, 꼴찌가 사람들이 첫째가 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v. 30).” Protoi Escatoi 되고,  Escatoi  Protoi 된다는 순서를 보십시오. 본문 20 16절은 순서가 반대로 도치가 되어 있습니다. 문장의 순서를 바꿔주는 문학장치를 통해 비유의 주제인 순서의 뒤바뀜 표현하는 것입니다. 또한 수미상관(inclusio)라는 샌드위치 기법을 통해 주제를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성경에는 이런 문학적인 장치들을 통해 주제를 나타내곤 합니다. 중요한 것은 본문의 이야기들이 본문과 잇대어 있음을 있다는 거죠.

 

18장에는 하늘 나라에서 누가 큰지에 관한 주제가 먼저 등장합니다. 18 10절에서는 작은 이들을 업신여기지 것에 대해 말씀하는데 본문과 이어지는 주제라 있죠. 19장으로 넘어오면서 예수님이 요단강을 건너 유대 지방으로 가셨다는 내용이 시작됩니다. 그러니까 예수님이 본격적으로 예루살렘으로 올라가는 여정을 시작하신 것이죠. 예수님이 예루살렘에는 올라가시는 거죠? 십자가를 지시기 위해, 고난을 당하시기 위해 올라가시는 겁니다. 예수님의 대적인 바리새파 사람들이 여러 가지 곤란한 질문으로 예수님을 괴롭히기 시작합니다. 바리새파와 함께 등장하는 인물이 바로 부자 청년입니다. 우리가 알다시피 부자 청년은 부족한 것이 없는 사람입니다. 그는 재산 뿐만 아니라 율법을 지키는 것에도 부족함이 없다고 생각한 사람이었죠.

 

본문 다음에 이어지는 내용은 예수님이 본격적으로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시는 길을 언급합니다. 길에서 세배대의 어머니가 자신들의 아들들을 달라고 청탁하는 내용이 나옵니다. 자신의 아들들을 으뜸이(프로토이) 되는 자리에 앉게 해달라는 부탁이었습니다. 그러니까 본문에 이은 이야기도 첫째 자리와 자라는 모티브를 사용하여 본문과 일치한 주제로 나아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있습니다.

바리새인들과 부자 청년은 하나님 나라를 이해하는 것처럼 보이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자신의 신분과 조건 그리고 행실로 하늘 나라에 가장 우선으로 들어갈 있는 것처럼 착각하는 사람들이었죠. 첫째 자들이란 뜻의 프로토이들은 사회 계급 상으로, 지위로, 권력으로, 경제적으로 모두 앞선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마태가 복음서를 유대인들 대상으로 것을 이해한다면 프로토이들은 유대인들이었습니다. 프로토이들은 자신들이 하늘 나라의 상석에 앉아야만 하고 그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예수님은 그것이 뒤집어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프로토이와 에스카토이는 언제든 뒤집어질 있다는 거죠. 그러면 뒤집는 근거는 무엇입니까?

 

3.

본문을 이해하기 위해 가지 도구들이 필요합니다. 그러니까 프로토이와 에스카토이가 어떻게 뒤집어질 있는지 근거를 찾기 위해 가지를 이해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첫째는 당시 사회 문화적인 가치와 개념입니다. 예전에 불의한 청지기비유에서 말씀드린 있는 호혜(reciprocity)’ 가치입니다. 호혜란 부족 사회에서 행해지는 물물교환을 배경으로 생긴 것이라 했죠. 주는 것이 있으면 받는 것이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부유한 사람들이 가난한 이들을 위해 경제적인 혜택(favor) 주었을 가난한 자들은 그에게 영예(honor) 돌려주는 방식으로 호혜는 행해졌습니다. 본문에서는 포도원 주인이 찾아간 사람들은 일용직 노동자(toiler)였습니다.

당시에 사회의 가장 밑바닥에 있는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들에게는 하루 벌이 일이라도 감사한 것이었습니다. 그런 그들에게 일을 주면서 한 데나리온을 약속한 주인의 행위는 매우 자비가 넘치는 행위였던 거죠. 이 주인의 행위에 대한 일꾼들의 반응은 그에게 감사하고 영예를 돌려드리는 것이 당연한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이 노동자들이 주인에게 투덜거렸다는 것은 선을 넘는 몰상식한 행위였습니다.

 

두번째 본문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모티브는 포도원 주인의 계산법입니다. 이 계산 법은 세상의 계산법과는 너무 다르고 이상합니다. 많이 일한 사람이 많이 받고 먼저 온 사람이 더 많이 받는 세상의 계산법이 완전히 무시 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계산 법에서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는 단어가 2절과 13절에 쓰인 합의하다라는 단어입니다. 헬라어로는 쉼포네오(symponeo)’인데 함께라는 뜻의 (syn)’소리(voice)’라는 뜻의 포네(phone)’가 합쳐진 말입니다. 주인의 계산법은 약속한대로 주겠다는 겁니다. 그리고 그 약속은 주인의 뜻에 따라 결정된 것입니다. 이 계산법을 통해 우리는 언약(covenant)관계라는 개념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유대인들은 하나님과 언약 관계를 갖고 있는 민족이었습니다. 하나님의 일방적인 사랑과 은혜에 대해 이스라엘 백성들은 언약적인 신실함을 그들의 삶을 통해 드러내야 했습니다. 유대인들은 하나님과 언약적인 관계에 먼저 들어간 사람들이었죠. 그런데 이 언약관계는 언제든 뒤집어질 수 있는 것이었습니다. 그들이 언약적으로 신실하게 행하지 못할 때 나중 된 사람들에 의해 뒤집어질 수 있는 것이 언약관계 였습니다.

 

그런데 이 언약관계를 이해하는 핵심 포인트는 주인의 마음을 이해하는 것이었습니다. 본문의 깊은 이해를 위해 15절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내 것을 가지고 내 뜻대로 할 수 없다는 말이오? 내가 후하기 때문에, 그것이 당신 눈에 거슬리오?' 하였다.” 후하다는 말은 선하다, 착하다라는 뜻을 가진 아가또스 (agathos)’라는 단어입니다. 주인이 베푸는 은혜와 favor를 말합니다. 먼저 된 자들의 마음에는 주인이 후한 것이 걸림돌입니다. 주인이 그렇게 안 했으면 좋겠다는 거죠. 왜 나중 온 사람들에게 그렇게 잘 해주냐는 겁니다. 그들은 한 데나리온도 받을 가치가 없는 사람들인데 왜 잘 해주냐는 거죠. 이런 프로토이들에게 주인은 이렇게 말합니다. “당신 눈에 거슬리오?” 헬라어 성경에서는 너의 눈이 아픈 거(hurtful) 아닌가? 너의 눈이 악하구나(evil).” 라는 뜻입니다. 그러니까 당신들이 제대로 된 눈이 있다면 주인의 마음을 읽을텐데, 그것을 못 읽어 내고 있으니 눈이 악하다는 겁니다. 주인은 자신의 선함에 반하는 프로토이들의 무례함이 불편합니다. 그들의 시선은 주인의 마음에 향해 있지 않고 온통 자기에게 향해 있기 때문입니다. 그들에게 이곳은 불편한 포도원이 되어 버렸습니다. 먼저 된 자들이 다른 이들이 얼마 받았는지에 관심을 끄고 자기가 받아야 할 돈만 받았다면 불평이란 있을 수 없었을 겁니다.

 

4.

이제 이 본문이 무엇을 말하는 지 우리는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늘 나라는 포도원 주인의 마음과 그의 사정과 같습니다. 포도원 주인의 마음이 어떤 마음입니까? 후하고 너그럽고 은혜로운 마음입니다. 가장으로서 자신의 가족을 책임져야 하는 자들을 향해 안타까워 할 줄 아는 마음입니다. 아고라에서 빈둥빈둥 서 있으면서 신세 한탄만 하는 이들을 안타까이 여겨 자신의 포도원에서 일할 기회를 주고 싶어하는 너그러운 마음입니다. 이것이 우리 하나님의 마음이죠. /세상 모든 사람들이 하늘 나라라고 표현되어지는 하나님 나라에 들어와 살아가기를 바라시는 마음입니다. 한 명도 소외되지 않고 그 나라의 통치 가운데로 들어와 은혜를 누리며 살아가길 바라는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을 우리는 이해해야 합니다. 하나님은 세상 어떤 사람도 소외되지 않고 인간다운 삶을 살아가기를 바라십니다. 포도원 주인이신 하나님은 태초에 만들어진 포도원이었던 에덴에서 아담과 하와가 누렸던 그 평화롭고 아름다운 삶을 세상 모든 사람들이 누리기를 간절히 바라십니다. 이 세상에 이 하나님의 너그러운 마음에서 제외될 사람은 한 사람도 없습니다.

 

포도원 주인의 마음이 아고라를 향해 있는 것처럼, 우리의 마음도 세상을 향해야 합니다. 세상 속에서 소외되고 난처한 상황에 빠진 사람이 누구인지 우리는 살펴야 합니다. 왜냐면 우리 주님의 마음이 그런 사람들을 향해 있기 때문입니다. 바리새인과 부자 청년 그리고 유대인들은 하나님의 선한 마음을 깊이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과 맺은 언약이 변하지 않을 거라 믿었지만 그 언약은 주인의 뜻에 의해 언제든 뒤바뀔 수 있는 것이었습니다. 주인의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는 자들은 언제든 그 은혜의 언약 관계에서 소외될 수도 있었던 것을 그들은 몰랐습니다.

 

여러분은 어떻습니까? 이미 나의 구원은 흔들림 없으니 걱정할 것이 없습니까? 하나님의 마음과 잇대어질 때에만 하나님의 다스림 가운데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부자 청년처럼 자신의 욕망을 채우는 것에만 모든 관심을 쏟는다면 언제든 우리의 구원은 뒤집어질 수 있습니다. 바리새인처럼 종교적인 우월감과 종교적인 실천에서 오는 비교의식이 가득하다면 하나님의 마음과 잇대어지기 너무나 힘들어집니다. 내가 하나님으로부터 누리고 받고 있는 것들은 당연한 것들인가요? 교회에서 더 많이 봉사하고 더 더 많은 헌금을 내는 사람들이 대우를 받는 것이 당연할까요? 나와 함께 포도원에 들어와 있는 이들이 받는 은혜와 내 것을 비교하지 마십시오. 오히려 포도원 바깥에서 신음하고 괴로워 하는 이들을 향해 눈을 돌리십시오. 오늘 본문은 먼저 되고 첫째 된 우리 프로토이들을 향한 하나님의 경고의 말씀일 수 있습니다. 포도원 주인의 너그럽고 후한 마음을 사모하십시오. 그 마음을 나도 갖기를 갈망하십시오. 온통 내가 받아야 할 것이 얼마인지에만 마음이 쏠려 있던 먼저 된 자들이 되지 마십시오. 내가 얼마를 받든 하나님은 여러분에게 충분할만큼 이미 주셨습니다. 최근에 어떤 책을 읽었는데 비교 암, 염려 독이라는 말을 하더라구요. 비교는 우리 내면에 암과 같은 것이고 염려는 독과 같은 것이라는 뜻이죠. 남의 인생과 비교할 이유가 하나도 없습니다. 여러분의 인생을 사십시오. 누가 연봉이 얼마고, 어떤 차를 타고, 몇 스퀘어핏의 집에 살고, 그의 자식들이 어떻게 된 것이 나와 무슨 상관이 있습니까? 나보다 앞서가는 이들과 나를 비교하면 불행해 집니다. 오히려 나보다 뒤쳐져 있는 이들, 나보다 나중 된 사람들에게 마음을 쏟고 그들을 돌보는 것이 행복해지는 지름길입니다. 하늘 나라는 그렇습니다. 먼저 된 이들이 아니라 나중 된 이들을 돌보면서 행복해지는 나라입니다. 포도원 주인의 마음은 먼저 된 이들이 아니라 나중 된 이들에게 온통 쏠려 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5.

<불편한 편의점>이라는 소설이 한국에서 매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서울 용산구 청파동의 작은 편의점을 배경으로 한 소설입니다. 그 소설의 주인공 염영숙 여사는 고등학교 역사 선생님으로 은퇴를 한 70대 초반의 노파입니다. 그녀는 동네 교회에서 열심히 신앙생활을 해 오고 있는 기독교인이기도 합니다. 소설의 전반부에 그녀는 부산으로 가는 KTX 열차 안에서 자신의 지갑과 중요한 물품이 들어 있는 파우치를 분실했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그리고 잠시 후 02로 시작되는 서울 지역번호의 낯선 번호로 전화가 옵니다. 말을 더듬는 수상한 상대로부터 염영숙씨냐는 질문을 받게 되고 그가 서울역에서 자신의 파우치를 습득한 것을 알게 됩니다. 독고(Dokgo)라는 50대 초반의 곰처럼 큰 체구의 노숙자를 통해 지갑을 되찾게 된 영숙씨는 그에게 보답하고 싶어합니다.  배고픈 그를 위해 청파동에 운영하는 자신의 작은 편의점으로 그를 데리고 가 도시락세트를 먹입니다. 그리고 언제든 배고프면 와서 도시락을 먹으라고 호의를 베풉니다. 이야기는 흘러 흘러 독고라는 남자가 영숙씨의 편의점 야간 알바로 취업하게 됩니다. 이후에 독고씨를 거둬들인 영숙씨의 호의가 어떻게 나비효과가 되어 많은 이들에게 좋은 영향을 미치는지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펼쳐지게 됩니다.

 

약간 스포일러 같아 조심스럽긴 하지만 독고는 실은 압구정역에서 꾀나 큰 성형외과에서 수술을 담당하던 페이 닥터였습니다. 의사의 삶도 망가지면 노숙자로 전락할 수 있는지를 소설에서 자세히 묘사해 주고 있습니다. 저희 교회의 특성상 의사분들이 많이 있기에 전직의사로서 독고의 행동에 주목해 보았습니다. 그는 어떤 충격적인 일로 인해 알콜 중독에 빠집니다. 그리고 자신의 기억들을 몽땅 잃어버리죠. 편의점 알바를 통해 그는 조금식 기억을 되찾게 됩니다. 그리고 편의점에 드나드는 많은 이들의 삶에 좋은 영향력을 끼치기 시작하죠. 그의 선행을 통해 그가 좋은 사람이란 걸 알았던 영숙의 호의에서 시작된 나비효과는 그야말로 어마어마했습니다. 사회에서 아웃사이드로 몰린 이들이 이 불편한 편의점을 통해 새 희망을 찾아가는 이야기는 큰 감동을 줍니다.

 

저는 이 소설을 읽으며 염영숙 집사님인지 권사님인지 그분이 마치 포도원 주인과도 같아 보였습니다. 그녀는 교사 연금만으로도 넉넉하게 살아갈 수 있는 사람이었지만 굳이 편의점을 통해 일자리를 만들기로 합니다. 그 일자리에 기대어 힘겹게 살아가는 사람들을 위해 매출이 적자인 편의점을 굳이 끌고 온 것이었죠. 그러나 그 불편한 편의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새 힘을 얻게 됩니다. 독고는 또 다른 포도원 주인이 되어 편의점을 들락날락하는 소외된 인생들을 어루만지기 시작합니다. 실재로 독고의 관심을 통해 많은 이들이 그들의 삶에 답을 찾게 되고 다시 일어설 용기를 얻게 된다는 따뜻한 소설입니다.

 

저는 교회가 이런 불편한 편의점 같아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희망을 잃고 나락으로 떨어져 가는 이들에게 교회는 손을 내밀어야 합니다. 아직 그대들의 인생은 살만하고 가치 있다고 알려주어야 합니다. 자기 인생이 오후 세 시나, 다섯 시라도 된 것처럼 다 끝났구나!’라고 포기해버린 이들에게 아직 포도원 문은 열려 있고 희망은 있다는 포도원 주인의 마음을 전해 주어야 합니다. 다하나 교회는 불편한 편의점처럼 없는 것이 많습니다. 교육부서도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고 조직도 엉성합니다. 여러 모로 부족하고 모자란 것이 많은 불편한 편의점 같을지라도 이곳에 와서 사람들이 쉼을 얻고 하나님 나라에 대한 소망을 품게 된다면 그것만큼 소중한 것이 어디 있을까요? 여러분들이 각자의 삶의 자리에서 포도원 주인의 마음으로 살아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이 사회에서 뒷쳐져 힘겨워 하는 이들이 누군지 살피며 그들을 따뜻하게 돌봐주는 여러분 되시면 좋겠습니다. 여러분의 삶의 현장과 직장은 주님이 주신 아고라입니다. 그곳에서 만난 이들을 소중히 여기고 그들을 하나님의 포도원으로 인도하는 포도원 주인의 삶을 살아가십시오. 예수님은 그의 수난이 시작되기 직전 어떤 이들에게는 좀 불편할 수도 있는 포도원 비유를 드시며 그가 걸어갈 길을 미리 제시해 보여주셨습니다. 우리도 주님을 따라 나중 된 이들을 위해 우리 삶을 드리는 귀한 삶이 되기를 소망해 봅니다.

Sermon Title: Inconvenient Vineyard                                                                               

Scripture: Matthew 20:1-16

Translated by Melody Lee

 

1.

In the past, in rural areas, during the farmers’ busiest season, people had to go door to door and ask for workers. If a farmer was planting rice seedlings, some people in the neighborhood would help with the work. In exchange, the farmer paid off his debt to them by helping them around the house or with other needs they may have. This was called an exchange of labor; ‘pumasi’. Our ancestors made up for the lack of resources by helping each other through pumasi. Even now, I vividly recall watching the sight of about 10 adults bending down and planting rice in a large field. It would be a difficult task to plant rice over 1.5 acres without the teamwork of so many people. As a child, my only task was to hold rope while the others planted the rice, but it was amazing to see that vast rice field planted with green rice seedlings in a few hours. To make up for this hard labor, the farmer would provide a midmorning snack and makgeolli to the workers. Midmorning, between breakfast and lunch around 10, the farmer’s wife would bring a large basin filled with delicious food and side dishes atop of her head. She’d lay a plastic mat on the edge of the rice field and the workers would eat and rest together. Workers would sip makgeolli while shouting “Kyaa~” in satisfaction. The greatest favor the farmer could provide the workers was a delicious midmorning meal.

 

Looking at the scripture, it seems that there was no such thing as ‘pumasi’ in Palestine during the time of Jesus. It seems that there was a lack of hands in the vineyard during the grape harvest season. The owner of the vineyard left early in the morning to find workers. He met some people and sent them to the vineyard with a promise to give them a denarius. One denarius was a day's wages for workers at the time, so it was a reasonable price. And hours passed. At 9 o'clock in the morning, the owner decided to go to the market to see if there were more workers. The Greek word translated market here is 'agora' (γορά). In ancient Greece, the agora was a large square located in the center of a city. Markets were held here and political meetings were held. 9 o'clock in the scripture is 9 o'clock in the morning our time. In some Bibles, such as the Greek bible, it is translated as three o'clock. This is because it followed the Jewish reckoning of time. Jews considered the time when the sun went down, 6 o'clock(pm), as 0 o'clock and the beginning of the day. So, to change the Jewish time to the current time, we need to add 6 hours. Anyway, the owner goes out to the agora at 9:00 am and finds people standing idle. The owner tells them he would pay them a fair wage, and he sent them to work in the vineyard. The owner went out at 12:00 and 3:00 p.m. and found idle people to work. That wasn’t his last time though. Soon after, the owner goes out to the agora again at 5:00 PM, right before the sun is about to set. He asks the people standing around. “Are you sitting around all day doing nothing?” The workers respond. “We’re doing this because no one is hiring us for work.”

 

In Korea, there used to be a place called the “labor market”. People would head over there around 5:30 in the morning, and they would wait around to pick up jobs at construction sites. Hard working people flocked there every day. But there were also days when there was no work, and those people had to go home empty handed. Those days would be disappointing and crushing. If you are the breadwinner of your family, that situation is really embarrassing and may feel hopeless. Perhaps the people standing in the agora at 5 o'clock were lamenting their lives in such a mood all day long. The sun was setting in an hour, and it was impossible for them to find work and make money at that time. What kind of stupid person would hire them to work at that hour? But the owner of the vineyard hired them and gave them a chance to work, even though there were only a few hours remaining until evening.

 

Up to this point in the scripture, it is a reasonable story. However, soon after that, the story turns unreasonable  when calculating the wages of the workers at the end of the workday. The owner instructs the steward to pay the wages in the order of those who came last, that is, those who arrived at 5:00 PM and those who arrived early in the morning last. The steward gave a denarius to those who came at 5:00 PM. The first people who came early in the morning secretly looked forward to their wages. ‘We did a lot more work, so we should get paid a lot more.’ But what was the result? The same denarius was given to them. The workers who arrived early in the morning started complaining to the owner. “How can you treat us the same as those who only worked an hour? Isn’t that too unfair when we’ve been working all day?” Then the master said to one of them. “Look, I am not treating you unfairly. Didn't you agree with me to work for a denarius? It is my will to give this man the same money. Take yours and go home.”

 

2.

Even using today's common sense, we cannot explain the owner's behavior. What is the scripture trying to tell us? First, the scripture begins with the word 'is like(Greek-Homoia)' and tells us that it is a parable. “For the kingdom of heaven is like a landowner who went out early in the morning to hire workers for his vineyard,” hinting to us that we can understand the kingdom of heaven once we understand the heart and circumstances of the owner of the vineyard. And the last sentence, “So the last will be first, and the first will be last” serves to summarize this parable in one sentence.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xt, we must first understand the mind of the owner, and then we must know what it means to change the order of those who were last and those who were first.

 

In the main text, ‘the first’ is called ‘Protoi’ (those who are ahead) in Greek, and ‘those who came last’ is ‘Escatoi’ (those who are last). However, ‘Protoi’ and ‘Escatoi’ also appear in chapter 19 verse 30, the last verse before chapter 20. “But many who are first will be last, and many who are last will be first” (Matthew 19:30). Look at the order in which ‘Protoi’ become ‘Escatoi’ and ‘Escatoi’ become ‘Protoi’. In Matthew 20:16, this order is reversed. Through a literary device that changes the order of sentences, it is to express the theme of this parable, the ‘reversal of the order’. In the Bible, the theme is often expressed through these literary devices. The important thing to know is that the stories in front of today’s scripture are connected to the main text.

 

In Matthew chapter 18, the subject of who is greatest in the kingdom of heaven comes up first. In Matthew 18:10, it talks about not despising the little ones, which is a theme that continues with the main text. Moving on to Matthew chapter 19, the story of Jesus crossing the Jordan River and going to Judea begins. Thus, Jesus started his journey to Jerusalem in earnest. Why was Jesus going to Jerusalem? He is heading there to suffer and bear the cross. At this time, Jesus' enemies, the Pharisees, begin to harass Jesus with many difficult questions. The character that appears with the Pharisees is a rich young man. As we well know, a rich young man lacks nothing. He is a person who believes that he lacks nothing in his personal wealth and his ability to keep the law.

 

What follows after today’s scripture refers to the way Jesus went up to Jerusalem in earnest. On the road, the mother of Zebedae asks him to take good care of her sons. She asked that her sons be placed in the chief (Protoi) position. So, you can see that the story following today’s scripture carries the motif of ‘first place’.

 

The Pharisees and the rich young man appeared to understand the kingdom of God well. They were mistaken as if they could enter the kingdom of heaven first with their status, conditions, and conduct. ‘Protoi’, which means first-born, were people who thought they were superior in terms of social class, status, power, and economy. The ‘Protoi’ were the ones who thought it was their right to sit on the throne of heaven. But Jesus is saying that it can be reversed. ‘Protoi’ and ‘Escatoi’ can be reversed at any time. So what is the basis for reversing ‘Protoi’ and ‘Escatoi’?

 

3.

To understand today's scripture and the rationale of how ‘Protoi’ and ‘Escatoi’ can be reversed, we need to understand a few concepts.

 

First, is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s ​​and concepts of the time. This is the value of ‘reciprocity’ that I have mentioned before in the parable of the ‘unjust steward’. Reciprocity was said to have arisen against the backdrop of barter in tribal societies. If there is something to give, there must be something to receive. Reciprocity was done in such a way that when socially and economically wealthy people gave economic favors to the poor, the poor returned honor to them. In today’s scripture, the workers in the vineyard were daily laborers.

 

They were people at the bottom of society at the time. Even a day's work was something they were grateful for. The owner who promised ‘one denarius’ while giving them work was a very merciful act. The reaction of the workers to this vineyard owner's conduct should be to thank and honor him. However, instead these workers complained to the owner, and those actions crossed the line and made no sense.

 

Second, to understand today’s scripture we need to understand the reasoning of the vineyard owner’s method of payment. This payment calculation completely ignores our common knowledge, that those who work the most or those who arrive to work earliest get paid the most. The important word we see used in this payment is the word “agree” written in verse 2 and 13. The Greek word is ‘Symphoneo,’ which is a combination of “syn,” meaning “together,” and “phone,” meaning “voice.” It means the owner’s payment will be given as promised and that promis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will of the owner. Through this promise of payment, we can think of the concept of 'covenant relationship'. The Jews were a nation that had a covenant relationship with God. For God's one-sided love and grace, the Israelites had to reveal covenantal faithfulness through their lives. The Jews were the first to enter into a covenant relationship with God. However, this covenant relationship could be overturned at any time. It was the covenant relationship that could be overturned by those who came later when they did not act faithfully in a covenantal way.

 

However, the key point to understanding this covenant relationship is to understand the heart of the owner. It is very important to grasp the meaning of verse 15 for a deep understanding of the scripture. “Don’t I have the right to do what I want with my own money? Or are you envious because I am generous?” The word generous comes from the word “Agathos(γαθς),” which means “good.” It refers to the grace and favor bestowed by the vineyard owner. In the minds of those workers who came first, the owner's generosity is unreasonable. They cannot understand why the owner would be so generous to those who came later. These workers thought those late arrivals don’t deserve a denarius, so why is the vineyard owner so generous? To these ‘Protoi’, the master says: “Are you envious because I am generous?” The Greek Bible says, “Don’t your eyes hurt?” which is a way to say, “Your eyes are evil”.  So, if these workers had good intentions, they w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 owner's intention, but since they cannot read it, they have evil intentions. The master is uncomfortable with the rudeness of the ‘Protoi’ against his goodness. Because their intentions could not see their owner’s intentions and could only focus on themselves. If those who came first had paid no attention to how much others received and only received what they deserved, there would have been no complaints.

 

4.

Now we can begin to understand today’s scripture. The kingdom of heaven is like the mindset and circumstances of the vineyard owner. What is the mindset of the vineyard owner? His mindset is generous and full of grace. The owner is aware of those workers in need who are the head of their household and who take on the responsibility for providing for their families. He feels pity for those workers who are standing idle in the ‘agora’ lamenting their lack of work, and through his generous intentions provides them an opportunity to work in his vineyard. This is the mindset of God. It is the intention that every person in the world lives in the kingdom of God, which is expressed as the kingdom of heaven. We must understand the mindset of our Heavenly Father who wants no one to be left behind and for all to experience God’s grace in his kingdom. God, the owner of the vineyard, longs for all people in the world to enjoy the peaceful and beautiful life that Adam and Eve enjoyed in Eden, the vineyard that was created in the beginning. There is no one in this world who is excluded from this generous heart of God.

 

Just like the vineyard owner's mindset toward the ‘agora’, our minds must also look toward the world. We must look for those who are marginalized and are struggling in the world. Because the heart of our Lord opens towards such people. The Pharisees, the rich young man, and the Jewish people did not deeply understand God's good intentions. They believed that the covenant with God would not change, but the covenant could be changed at any time by the will of the owner. They did not know that those who did not understand the owner’s heart could always be removed from the covenant relationship of grace.

 

Reflect upon yourself. Is your salvation already unshakable, such that you have nothing to worry about? Only when we connect with God's good intentions can we gain true peace. If, like the rich young man, we focus all our attention on fulfilling our own desires, our salvation can be overturned at any time. If you are filled with a sense of religious superiority and a sense of comparison that comes from religious practice like the Pharisees, it will be very difficult to get in touch with God's good intentions. What made me good enough to become a pastor? What made me stand out from other people to become an official? There is nothing to compare. Do not pay attention to those who have entered the vineyard with you. Rather, turn your eyes to those who groan and suffer outside the vineyard. Today's text can be God's word of warning to our ‘Protoi’, who are first and foremost. Adore the generosity of the owner of the vineyard and long to have that mindset. Don't be the ones who came first, whose mindset is focused only on how much they deserve. No matter how much you get, God has already given you enough. I read a book recently and it used the terms ‘comparison cancer’ or ‘anxiety poison’. Comparison is like cancer inside us, and worry is like poison. There is no reason to compare your life to anyone else's. Live your life. Who cares what salary they have, what car they drive, how many square feet they live in, and how their children have grown up? Comparing ourselves to those who are ahead of us makes us unhappy. Rather, committing our mindset to those who are behind us, who come later than us, and taking care of them is the shortcut to happiness. The kingdom of heaven is like that. It is a kingdom where people become happy by taking care of those who come later, not those who come first. We must remember that the heart of the owner of the vineyard is not for those who come first, but for those who come last.

 

5.

A novel called <Inconvenient Convenience Store> became very popular in Korea. This novel is set in a small convenience store in Cheongpa-dong, Yongsan-gu, Seoul. Yeom Yeongsook, the main character of the novel, is an old woman in her early 70s who retired as a high school history teacher. She is also a Christian who has been working hard in her faith life in her local church. In the first half of her novel, she realizes that she has lost her wallet and pouch containing important items on the KTX train to Busan. And after a while, a call comes from an unfamiliar number in Seoul area code starting with 02. She is asked if she is Yeom Youngsook by her suspicious counterpart, who stutters, and she learns that he acquired her pouch at her Seoul station. She gets her wallet back through a homeless man in his early 50s named Dokgo, and Youngsook wants to repay him. She takes him to her own small convenience store, which she runs in Cheongpa-dong, to feed him with her lunch box. She then tells him to come have a lunch box whenever he’s hungry. As the story flows, the man named Dokgo gets a night part-time job at Youngsook's convenience store. Afterwards, interesting stories unfold about how Youngsook's generosity, who helped out Dokgo, becomes a butterfly effect and has a good influence on many people.

 

It's a little bit of a spoiler, but Dokgo is actually a doctor in charge of surgery at a big plastic surgery clinic in Apgujeong Station. He describes in detail in the novel how a doctor can become homeless if his life is also ruined. Due to the nature of our church, there are many doctors, so I paid attention to Dokgo's behavior as a former doctor. He becomes alcoholic due to some traumatic event. And he loses all his memories. Through his part-time job at a convenience store, he begins to regain some memories. And he starts to have a good influence on the lives of many people who come and go to the convenience store. The butterfly effect that began with the goodwill of Youngsook, who knew that he was a good person through his good deeds, was truly enormous. The story of people who have been pushed to the outside in society and find new hope through this uncomfortable convenience store is very moving.

 

While reading this novel, Yeom Yeongsook seemed like the owner of a vineyard. She was someone who could live well on her teacher's pension, but decided to make her job through her convenience store. She dared to run a convenience store with poor sales for people who are struggling to live on the job. However, many people gain new strength through that uncomfortable convenience store. Dokgo becomes another owner of a vineyard and begins to take care of the marginalized people who walk in and out of the convenience store. In fact, it is a heartwarming novel where many people find answers to their lives through Dokgo's interest and gain the courage to stand up again.

 

I wondered if the church should be like this inconvenient convenience store. The church must reach out to those who have lost all hope and are at risk of falling into hell. We need to tell them that they are valued and  that their lives are worth living. We must convey the mindset of the vineyard owner to those outside who have given up at three or five in the afternoon, letting them know the vineyard door is still open and there is still hope. Like the inconvenient convenience store, there are many things that One Heart Church does not have. The education department is not properly equipped and the organization is sloppy. Even if our church is like an inconvenient convenience store with many shortcomings, if people come here to rest and have hope, what could be more precious than that? I hope you all live with the heart of the owner of the vineyard in your own place of life. I hope you will look out for those who are left behind in this society and take care of them warmly. Right before his Passion began, Jesus told the parable of the vineyard, which was a little uncomfortable for some, and showed them the way they should walk. May we also walk in the steps of our Lord and find a meaningful life in serving those who are the ‘Escatoi’ of the vineyard.

 

 

Posted by speramus

Main text: Philippians 2:6-11

Title: Self-denial and the kingdom of God / translated by Myung-Ha Kim

 

1. 

Recently, a documentary called “In the name of God” was uploaded on Netflix and became a hot topic. This is a story about the big heresies in Korea's modern history. It is a documentary that reports on Jung Myeong-Seok of JMS, Sun-Ja Park of Five Oceans, and Jae-Rok Lee of Manmin Central Church. People like Jung Myeong-Seok, Park Soon-ja, and Lee Jae-rok each claimed they were the messiah, and that people could gain salvation through their name. They used the offerings and property assets, and even the lives of the followers to fill their stomachs. Rather than being a group, they were an interest group created to satisfy their own desires. Why did these people appear? There may be many reasons, but I personally think the biggest factor is having the wrong view of salv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seudo-cult leaders spoke sweetly as if they had received salvation as a monopoly. ‘If you believe in me, you are guaranteed to go to heaven. If you give all your possessions to me, you can go straight to heaven.’ This was the logic. But that sweet lie made people fall for it.

 

Do established churches in Korea not have this problem? Korean Christians yearn for the kingdom of heaven where they die, and they are very interested in personal salvation. Korean Christians sometimes thought of pastors as people who could secure their tickets to heaven. Therefore, it has been true that even if the pastor has moral flaws to some extent, followers had no problem covering up for the pastor. Even if the pastor's son embezzled church money or the pastor had some scandals with women, people turned a blind eye to it, saying that it wasn’t that significant. Pastors have used this to pretend that they have received the monopoly of salvation. The temple system in the days of Jesus is like that of the high priests who said the forgiveness of sins and salvation is accomplished only in the temple. Jesus said to those who were paralyzed or with withered hands, “I have forgiven your sins. Live freely now.” He has released the forgiveness of sins and salvation that were locked up in the temple. Monopoly is a word that is fitting to be used for commodities and crops such as tobacco or ginseng, but it is not appropriate to use it for salvation. Some pastors showed a tendency to distort and interpret the Bible to secure their vested interests as special occupational groups with the monopoly of salvation. Of course, I know it's hard to generalize about all pastors. There are many pastors who live such pure and beautiful lives. However, we cannot deny the fact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Korean church's view of salvation. In the Korean church, ordinary believers still understand salvation as an escape from this world. We understand salvation by escaping with Jesus to the world of the other side, somewhere in Andromeda. With the mindset of, “This sinful world is not my home,” believers often dream of the vague kingdom of God that we all go to someday, and heresy and pseudo-science are digging into this point.

 

However, the expressions describing the world after death in the Bible are less than 1%. Rather, the Bible says that salvation is to renew the earth. Heaven is not going but coming and arriving. This is the content of the gospel that Jesus cried out in Mark 1:15. "The time is fulfilled. The kingdom of God is at hand." It expresses that the kingdom of God has come close to us (Greek-γγζωEnggizo, come near). Jesus himself proclaimed that it was the gospel that came to establish a new heaven and a new earth. The state of salvation is when all things become new, and God's reign prevails over the earth. Salvation is the state of true shalom, in which all creatures are reconciled with God, and greed and sin disappear. Salvation is not about getting a ticket to heaven where you don't know where you are. I think the misunderstanding that led to this wrong view of salvation began with a misunderstanding of justification by faith. “Justification by faith” means that salvation is obtained through faith. However, there is a wrong tendency in Korean churches to understand that the subject of this 'faith' is obtained with my faith. When we say that we are justified by faith, the subject of faith is not me, but Jesus Christ. Righteousness is given to me through the atonement of Jesus Christ. When we accept Jesus as our savior, we are clothed with the righteousness of Christ. It is not that we are justified by our faith, but that we rest on the righteousness of Christ. The door of salvation opens in our lives as we lean on the faithfulness of Jesus Christ. It is not a one-time event that you will go to heaven by accepting Jesus as your Savior. The door to salvation has only been opened by accepting Jesus, but after that, salvation must be completed.

2.

In that sense, I understand salvation as “coming into the reign of God.” In this world, two forces are sharply opposed. It is the power of God and the power of darkness. Receiving salvation is a change of status. It is a change of citizenship moving from a kingdom ruled by Satan to a kingdom ruled by God. What makes this change of status possible is the atonement of Jesus Christ on the cross. We become children of God by putting on the righteousness accomplished by Jesus Christ. This is the beginning, not the ending. Being a child of God means accepting God's reign and coming into God's reign.

 

In a place invisible to our eyes, the reigns of God and Satan are sharply opposed. Ephesians 6:12 describes Satan's rulers as "rulers, authorities, the power of this dark world." In the old Bible, it was expressed as “principalities, powers, the rulers of the darkness of this world.” These are terms taken from the feudal order. Feudal society refers to a system in which lords govern their lands autonomously under a king. The land governed by a feudal lord is sometimes referred to as a feudal tenure or a duchy. The person in charge of the dukedom was called a duke. Understanding Satan's reign as principality, authority, and ruler came from the worldview that understood the kingdom of God as an extension of the feudal system.

 

By such a worldview, Jude 6 records how the rulers of darkness were born. “And I remind you of the angels who did not stay within the limits of authority God gave them but left the place where they belonged. God has kept them securely chained in prisons of darkness, waiting for the great day of judgment.” This verse i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book of Enoch, which is an apocryphal book. God gives Michael, Rafael, and Lucifer each a third of the kingdom of God. So, God's created world was divided into the feudal territory of these three angels. However, one-third of the angels led by Lucifer rebelled and rejected God's rule. The angels who rebelled with Lucifer are called principalities, authorities, and rulers of the world.

 

The forces that are within the territory of God the King, but not under God's rule, are called principalities, authorities, and rulers. They have ruled the world very systematically. One of the purposes of Jesus' coming to this earth is to subdue these groups who reject God's reign. Satan, the devil, ghosts, principalities, and authorities, these expressions are spiritual realities that exist. Just looking at the work of Jesus, Satan, and demons appear a lot. Jesus was tested by Satan in the wilderness. Mark 1:34 ‘Jesus healed many people who were sick with various diseases, and he cast out many demons. But because the demons knew who he was, he did not allow them to speak.’ The Bible tells us that the demons knew who Jesus was. “Go away! Why are you interfering with us, Jesus of Nazareth? Have you come to destroy us? I know who you are—the Holy One of God!” (Luke 4:34)." Jesus did not destroy them, but only drove them out. They are doomed to annihilation on the last day. The process of restoring God's territory that was taken away by the forces of darkness is the 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heaven. Jesus came to this earth to start a fierce battle to restore God's territory that had been taken away by Satan.

 

3.

A question arises then, how will the kingdom of God expand? This text is an important word that tells us the principle of how Jesus' reign is expanding on this earth. Today’s main text shows Jesus' self-emptying and lowliness. Jesus is God who shares the same essence as God. However, Jesus, who shared the essence of God, left the heavenly throne, and came to put on a human body. He had to put on a human body to save humans. Jesus obeyed Heavenly Father to the point of death, and death on the cross was the result. The death on the cross revealed the extreme self-denying and humbleness of Jesus.

 

Verses 8 and 9 teach us a very important principle. “He humbled himself in obedience to God and died a criminal’s death on a cross. Therefore, God elevated him to the place of highest honor and gave him the name above all other names.” God speaks of the principle that He will exalt those who obey Him even unto death on the cross. In other words, it is the principle of exalting those who have lowered themselves a lot. The kingdom of darkness, that is, the kingdom of Satan, is the opposite of this. It is a nation that seeks to expand in a way that exalts itself, disobeys, and rebels, revealing its own name, not the glory of God. Jesus humbles himself endlessly and empties himself endlessly. By doing so, God rather puts Jesus in the highest place in the world. He exalted Jesus by placing him at the right hand of God's throne. Jesus did not exalt himself. He was raised by God. But Satan's method is self-exaltation. It's a way to elevate yourself. It's the opposite of God's principle.

 

Adam's failure began with trying to become like God himself. Like God, he tried to judge good and evil for himself. Furthermore, Adam and Eve crossed the line to have divine immortality. A slightly more advanced way of this is the way of the Tower of Babel in Genesis 11. Then they said, “Come, let’s build a great city for ourselves with a tower that reaches into the sky. This will make us famous and keep us from being scattered all over the world.” (v. 4). It is to expand in a way that raises oneself and raises one's own name. It is completely contrary to the way of God's kingdom. What did God promise to Abraham, who was chosen as an alternative to the Tower of Babel? “I will make you a great nation. I will make your name big”. Abraham had to give up even deciding where to go and follow God in obedience. In the sermon last week, he had to show even the extreme obedience of giving up his own son. His way of emptying himself and following God is a characteristic of God's kingdom compared to Satan's. This principle of lowering oneself and exalting those who obey is a very important principle in the kingdom of God. Jesus is the representative model of this principle.

 

Look at verses 10-11 of the text. “That at the name of Jesus, every knee should bow,
    in heaven and on earth and under the earth” (v. 10). All beings in these three realms will kneel before the name of Jesus. First, heaven is the realm where the “principalities, powers, and rulers of this world of darkness,” are located. The kingdom of Satan, which holds the power of death and rules this world, will eventually perish and kneel before Jesus. Colossians 2:15 describes this part like this: “
In this way, he disarmed the spiritual rulers and authorities. He shamed them publicly by his victory over them on the cross.”

 

The people on earth represent all the nations of the world. Those under the earth mean the souls of the people who have already died. In 1 Peter 3, it is said that after Jesus died on the cross and was resurrected, he went to the underworld (Sheol, Hades). He descended to proclaim the gospel to dead souls. There is a deleted part in the Korean language Apostles' Creed, but it is the contents of Jesus going down to Sheol after being buried. Those under the earth mean the dead. What do all beings in heaven and on earth and under the earth kneel before the name of Jesus and confess? They confess, “Christ is Lord,” and glorify God. The Lord is 'Kurios', which was the title of the emperor of Rome. So, all confess that the Lord is the Ruler. It is an acknowledgment of the sovereignty of the Lord. It expresses the state in which all the realms are under God's rule by restoring the territory God had given away to Satan.

 

4.

I have explained the way God's reign expands. It is a way of nailing yourself to the cross and denying yourself. The kingdom of God expands in such a way as to increase the number of people who submit to the name of Jesus by lowering oneself, humility, and destroying the Tower of Babel of vain desires in the name of Jesus. The church is the body of Christ that extends God's reign on earth. To do so, what the church needs to secure is potential energy. Falling from above has energy. Because of the law of universal gravitation, the formula for the potential energy of gravity is MgH. A falling object develops a force as it falls at 9.8 m/S2. The way to subdue evil spirits is to have high potential energy.

 

Colossians 3:1-2 explains this principle this way: “Since you have been raised to new life with Christ, set your sights on the realities of heaven, where Christ sits in the place of honor at God’s right hand. Think about the things of heaven, not the things of earth (Colossians 3:1-2).” What does it mean to seek the things above? It means to pay all attention to the expansion of Jesus’s reign in this world. The way we subdue Satan is to secure high spiritual potential energy. The way to subdue the spirits that work among the sons of disobedience is to follow the way of Jesus, the son of obedience. Jesus' method, as explained earlier, is the method of completely denying myself and obeying God's will. This is because God exalts those who obey and humble themselves even to the point of carrying the cross. As Jesus Christ showed us, we must have the high spiritual energy to overcome Satan. We must raise the altitude of holiness, love, and righteousness. The prayers you pray without securing a spiritual height are powerless. Would Satan be alerted by a person who prays yet lives a life indulged in sin? When you long for a more holy life, your prayers will have power and your words will have power. We must practice the extreme love shown to us in the Sermon on the Mount. You must give your right cheek to the one who strikes you on the left cheek, go 10 miles with the one who asked to go 5 miles with, and you must practice a high degree of love by giving even your coat to those who ask for your shirt. The words of a person with high spiritual heights have power, and their actions bear fruit.

For our life to be meaningful life, use it to further the reign of Christ to the whole world. Again, to seek the things above means to give all your attention to extending the dominion of Christ. When we are buried in our busy lives, we often forget the reality we are in. We are living in the middle of a spiritual battlefield right now. We must struggle to regain the territory of God that has been taken away by principalities, powers, and rulers of this world of darkness. Jesus taught us the art of that fight. We gain strength when we secure a high degree of obedience, high purity of love, extreme righteousness, and, thus, a pure and holy life.

4.

To summarize, today's message can be said to be about Christian metaphysics. On the third Sunday of Lent, we need to draw a bigger picture of why Jesus Christ came to this earth. Jesus did not carry the cross simply to save each of us and take us to heaven. God does not stop at saving us, making us citizens of God's kingdom, and changing our status as God's children. Expanding the kingdom of God through us is His big picture. We are in the midst of a spiritual battleground. We must fight against the trend of the world that does not give glory to God. To do so, you must pursue the things above. Thinking of the expansion of God's reign, we must maintain a higher spiritual altitude. We must live more holily, live more lovingly, and live more righteously. The only way to secure spiritual altitude is to go low even further. Because God exalts those who are humbled. Lent is a period to look back on ourselves and reflect on the lives we have lived without finding the things above. It is time to reflect on the life I have lived following my desires like the children of darkness and to reorient my life in God's great vision. I hope you realize this amazing secret of God's kingdom that exalts the lowly. I hope that the fruits of humility will be borne in your daily life. Lastly, I pray in the name of the Lord that through our lives, God would expand his beautiful kingdom wherever we may be.

Posted by speramus

본문: 창세기 221-12

제목: 신실하신 하나님

 

1.

한국에서 초등학생들의 엉뚱한 시험 답안이란 것이 유행한적 있습니다. 학교 시험 문제를 초등학생들이 달아 놓은 답들인데 엉뚱해서 엄청 웃깁니다. 예를 들면 이런 문제입니다. “불행한 일이 거듭하여 일어난다.”라는 뜻을 가진 사자성어는 무엇인가? 답은 설상가상이잖아요? 답안지에는 OO”이라 나옵니다. 초등학생의 답은 설사가또였습니다. “엄마 아빠로 사행시를 지으시오.” 답은 , 엄마는 마,마덜 아,아빠는 빠, 빠덜”. 하나만 더 하면요. “술에 취해서 거리에서 큰 소리를 지르거나 노래를 부르는 것을 사자성어로 무엇이라고 하는가?” 정답은 고성방가인데 제시어는 끝말 만 주어집니다. “OOO아이의 답은 아빠인가?” 그에 대한 선생님의 코멘트도 인상적입니다. “아빠가 힘드신가 보다. 위로해 드려!” 어린이들의 엉뚱하면서도 위트가 넘치는 답들입니다.

 

저는 어린 시절 시험 기간을 좋아했습니다. 왜냐면 시험보고 학교가 빨리 끝나고 놀 시간이 많으니 좋더라구요. 그리고 시험 성적이 어떻게 나올지 기대가되기 때문이기도 했습니다. 고등학생이 되고서는 시험을 보는 것이 부담스럽고 힘들긴 했지만 앞의 이유 때문에 시험기간을 기다리곤 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시험을 힘들어 합니다. 여기 계신 분들 중에 시험을 좋아하시는 분 계세요? 시험이라면 운전면허 시험도 지긋지긋하신 분이 계실 겁니다. 어린이들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시험을 자주 봅니다. 학교에서는 왜 시험이라는 것을 만들어 놓았을까요? 두 가지 이유일 겁니다. 첫째는 시험 준비하면서 리마인드도 하고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주려고 그럽니다. 둘째는 자신이 어느 정도 실력인지 평가해 보라는 것입니다. 제가 미국에서 아이들의  성적표에서 인상적이었던 것은 등수가 없는 것이었습니다. 한국 성적표에는 몇 명중에 몇 등이 꼭 들어가잖아요. 등수가 없으니 그냥 내 실력만 볼 수 있고 비교하지 않게 되어 좋은 것 같아요. 나 자신만 평가하는 거니 좋은 것이죠.

 

2.

그런데 우리가 예수님을 믿고 신앙을 갖게 되면 시작되는 것이 Test입니다. 어느 누구도 예외는 없습니다. 모든 사람이 시험을 만나게 되고, 신앙이 성장할 수록 시험의 강도도 높아집니다. 시험에는 세 가지 시험이 있습니다. 하나는 내가 잘못된 선택을 해서 오는 시험입니다. 엄마에게 거짓말하는 것을 선택했다고 해봅시다. 그러면 그 거짓말 때문에 또 다른 거짓말을 하게 되고 계속 일이 꼬여가게 됩니다. 마음이 괴로워져요. 이것은 누구 잘못입니까? 내가 잘못된 선택을 했기 때문에 오는 시험이예요. 둘째 시험은 사탄이 인간을 넘어뜨리기 위해 시험해(temptation) 오는 것이예요. 예수님도 광야에서 사탄에게 시험을 받으시잖아요. 세번째 시험은 하나님께서 우리를 테스트하십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테스트하신다고? ? 이해가 잘 안 가는 분들도 계실 거예요. 하지만 사실입니다. 하나님은 가끔 우리를 테스트하세요.

 

본문의 이야기는 아브라함의 시험(test) 이야기입니다. 어느 날 아브라함이 하나님이 자기를 부르시는 소리를 듣습니다. 그가 하나님을 처음 만나고 30년이 넘게 하나님의 음성을 들었기 때문에 하나님의 음성이 익숙했을 겁니다. 그런데 하나님이 깜짝 놀랄 쇼킹한 명령을 내립니다. “너의 아들 이삭을 번제물로 바쳐라.”라는 명령이었습니다. 번제(burnt offering)는 제물을 전부다 태워서 바치는 제사예요. 아들을 죽여서 전부 태워서 하나님께 바치라는 명령입니다. 여러분 하나님이 이해가 되시나요? 하나님은 분명히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셨었잖아요. 사라의 몸에서 태어날 아들이 너의 대를 잇게 될 거야. 그 아들이 또 다른 아들을 낳고 너는 큰 민족의 조상이 될거야 라고 하셨잖아요. 그리고 이삭이 어떻게 낳은 자식입니까. 아브라함의 나이 100, 그리고 사라의 나이 90살에 낳은 너무나 귀한 아들이잖아요. 그 아들을 죽여서 제사를 드리라구요? 지금까지 진행해온 하나님의 계획을 전부 지워버리는 이해할 수 없는 계획입니다. 만약에 이삭이 없어진다면 하나님의 약속은 어떻게 되는 것일까요?

 

그런데 더 이해가 안되는 것은 아브라함의 반응입니다. 다음 날 아침 아브라함은 두 종과 아들 이삭과 함께 넷이서 모리아산을 향해 떠납니다. 모리아산은 지금의 예루살렘이 있는 곳이었어요. 아브라함은 삼 일이 걸리는 길을 걸어가며 무슨 생각을 했을까요? 여러분이 아브라함이었다면 어떤 생각이 들었겠어요. “내가 하나님의 음성을 제대로 들은 것이 맞을까? 하나님 너무하시는 거 아니야? 아니 주실 때는 언제고, 이렇게 다시 가져가는 게 말이 돼? 하나님도 가나안의 다른 신들이랑 다를 게 없구만.” 이런 마음이 자연스럽게 들었겠죠? 하지만 오늘 말씀에 나와 있는 아브라함의 태도를 보면 놀랍습니다. 그는 순순히 하나님의 뜻에 따르기로 합니다. 아브라함은 모리아 산에 도착하자 종들에게 말합니다. “이제 너희들은 여기서 기다리고 있어라. 지금부터는 나랑 이삭만 올라간다. 우리는 저 위에 올라가서 예배를 드리고 올거야. 우리가 돌아올 때까지 여기 기다려라.” 여기 쓰인 모든 동사들의 주어가 우리입니다. 우리는 아브라함과 이삭이겠죠. “우리가 갔다가 올게아브라함은 이삭을 죽이러 올라가지만 이삭과 함께 돌아올 것을 이미 알고 있었던 걸까요? 그 깊은 마음까지는 잘 모르지만 아브라함은 하나님을 신뢰하고 있었던 것은 분명한 것 같아요.

이삭은 제사에 태울 장작을 등에 지고, 아버지는 불과 칼을 가지고 오르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아버지를 뒤따라 가던 이삭이 궁금해지기 시작합니다. “아부지~ 불과 칼만 가지고 가시네요. 번제로 드릴 어린 양은 어디에 있어요?” 아브라함은 당황하면서도 마음이 찢어지게 아팠을 겁니다. “얘야, 번제로 바칠 어린 양은 하나님이 손수 마련해 주실거야. 걱정하지마(8).”  아브라함이 이렇게 하나님을 완전히 믿고 따라가듯이, 이삭도 그의 아버지 아브라함을 완전히 믿고 따라갑니다. 우리는 여기서 이 이야기의 주제가 믿음과 신뢰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어린이 여러분은 여러분의 아버지가 여러분을 데리고 이렇게 산을 올라간다면 도망가시겠어요 아니면 계속 따라가시겠어요? 아버지가 좋은 분이라는 것을 진심으로 믿는 어린이라면 아버지를 따라가겠죠. 아브라함도 하나님이 선한 분이고 하나님의 명령에는 이유가 있을거라는 것을 의심하지 않았던 것 같아요. 그래서 끝까지 하나님을 따라가보기로 한 겁니다.

 

우리는 이 이야기의 결론을 너무나 잘 압니다. 아브라함이 장작을 모두 세팅하고 아들 이삭을 도망가지 못하게 끈으로 묶습니다. 그리고 장작 위에 올려 놓습니다. 칼을 높이 들어 이삭에게 내리치려는 그 때, 하늘에서 천사의 목소리가 들립니다. “아브라함아 아브라함아천사가 얼마나 급했으면 아브라함의 이름을 두 번 연속 부릅니다. 당장 멈추라는 거죠. “그 아이에게 손대지 마라. 이제 됐어 아무것도 하지마. 너의 외아들까지도 아끼지 아니하니, 네가 하나님 두려워하는 줄을 내가 이제 알았다.”

여기서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이 어려운 시험을 하신 이유를 우리는 알게 됩니다. 하나님은 아브라함이 하나님을 신뢰하고 하나님을 두려워하는지 알고 싶으셨던 겁니다. 하나님은 아브라함을 위해 어린 양을 미리 준비해 두었어요. 이삭을 죽일 필요가 없었던 겁니다. 이렇게 아브라함의 시험은 해피앤딩으로 마무리됩니다.

 

3.

이 이야기에서 하나님은 처음에는 Tester였다가 마지막에는 Provider로 바뀝니다. 그래서 14절 말씀에는 하나님의 이름을 여호와 이레(Yahweh Jireh)”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원래 이레는 보다(See)”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풋노트에는 주님의 산에서 준비되어진다라는 것이 주님의 산에서 보여진다.”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고 나오는 겁니다. Provide는 라틴어 Pro(before, previous)video(see)가 합쳐진 말입니다. ‘미리 보고(pro-video)’ 준비하시는 것이 ‘provide’인 겁니다. 하나님이 얼마나 신실한 분인지를 말해주는 단어예요. “divine guidance or care”라는 뜻을 가진 providence(섭리)라는 단어도 여기서 유래했습니다.

우리는 시험을 당할 때 하나님이 우리를 보지 않고 외면하고 있다고 오해합니다. ‘하나님이 나에게 이러셔도 되?’라며 막 따지기도 하죠. 하지만 잊지 말아야할 한 가지 사실은 하나님은 신실하시다.”라는 겁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삶을 미리 보시고(pro-video) 미리 아십니다. 그리고 우리 삶에 필요한 것을 공급하시는(provide)하시는 신실하신 하나님이십니다. 우리가 당하는 시험에는 하나님의 분명한 섭리가 있답니다.

 

(Job)이라는 사람은 하나님으로부터 가장 큰 시험을 받은 사람으로 알려진 사람입니다. 그는 자녀들도 많고 엄청난 부자였지만 하루아침에 모든 것을 잃어버렸어요. 그리고 몸에는 심각한 피부병이 생겨 깨진 그릇 조각으로 자기 몸을 긁어야만 했죠. 그는 하나님 앞에서 이렇게 고백했어요. “나는 엄마 뱃속에서 알몸으로 태어났어요. 이 땅에 태어날 때 아무것도 가지고 있지 않았죠. 하나님이 주셨으니 하나님이 가져가실 수도 있어요. 오직 하나님이 찬송을 받길 원해요(욥기 121).”

아브라함도 딱 욥과 같은 상황입니다. “주실 때는 언제고 가져가려고 하십니까?”라고 원망할 수 있는 상황이죠. 하지만 아브라함과 욥의 마음 속에는 하나님을 신뢰하는 마음이 있었어요. “주신 분도 하나님이시니  거둬가시는 것(take away)도 하나님이십니다.”

 

이런 믿음과 신뢰는 하루 아침에 하고 생기지 않습니다. 아브라함은 30년 넘는 시간 동안 하나님을 믿고 따라가는 훈련을 해 왔기 때문에 온전히 순종할 수 있었던 거예요. 어린이 여러분들도 지금부터 훈련해 보세요. 하나님을 따라가는 훈련입니다. 하나님께 순종하는 훈련입니다. 하나님은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면 하나님께서 여러분에게 주신 부모님의 말씀을 듣는 훈련을 해 보세요. 이삭처럼 아버지는 그럴 분이 아니야. 아버지는 좋으신 분이야. 난 아버지가 죽으라면 죽는 시늉이라도 할거야.’ 하는 태도를 훈련해보세요. 여러분이 아버지께 하는 태도가 하나님께 하는 태도로 발전을 할 겁니다. 부모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것부터 시작해 보세요.

4.

저는 본문의 말씀을 구약성경에서 경험하는 부활로 해석해 보고 싶어요. 예수님이 오시기 전 아브라함과 이삭은 이미 부활을 경험한 겁니다. 죽음의 자리까지 갔다가 다시 살아났잖습니까? 하나님이 공급해주신 어린양을 보며 그들은 하나님이 준비하신다는 사실을 깊이 체험할 수 있었습니다. 아브라함의 뒤에 예비되었던 어린 양은 하나님의 어린 양인 예수님을 상징하는 것이었어요. 하나님은 아브라함의 아들이 아니라 자신의 아들을 번제물로 희생할 계획을 이미 세워 놓고 계셨던 겁니다. 예수님이 오시기 전에 구약에서 힌트들을 조금씩 조금씩 보여주셨던 거죠.

하나님께 순종할 때 우리는 죽음의 자리까지 내려갈 정도로 고통스러울 때도 있습니다. 하나님을 따라가다 보면 일이 잘 안 풀려서 괴로울 수도 있구요, 병이 들어서 힘들 때도 있어요. 하지만 그 고통의 자리에서 하나님이 나를 바라보고 계시고 건져주실 것이라는 믿음을 놓지 말아야 해요. 하나님이 지금은 나에게 Tester일지 모르지만 마지막에는 Provider로 다시 일으켜 주실 거야라는 믿음을 놓지 말아야해요. 결국 오늘 본문은 아브라함과 이삭이 신실하다는 것을 우리에게 말하려는 것이 아니예요. 오히려 하나님이 얼마나 신실하신지(faithful) 말해주려고 하는 겁니다. 하나님은 신실하십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살리시기 위해서 자신의 하나뿐인 아들을 죽이시기로 하셨어요. 우리를 위해 자신의 아들을 어린 양으로 준비해주신(provide) 겁니다. 하나님이 이처럼 우리를 사랑하신 겁니다. 하나님이 주신 것을 때로는 다시 가져가시기도 하지만 하나님은 그때도 신실하십니다. 신실하신 하나님을 향해 우리도 신실한 삶으로 보답해 드리면 좋겠어요. 하나님이 어떤 말씀을 하든 순종하고 따라가는 여러분이 되면 좋겠어요. 순종은 즉시, 온전히, 기쁘게 드리는 것이라는 말이 있죠. 사순절은 우리에게 그렇게 신실하셨던 주님에게 우리도 신실함을 표현하는 시간입니다. 금식과 기도로, 말씀을 묵상함으로, 선행과 나눔으로 주님을 향한 사랑을 표현해 보세요. 마지막으로 고린도전서 1013절 말씀을 읽고 마무리합니다. “여러분은 사람이 흔히 겪는 시련 밖에 다른 시련을 당한 적이 없습니다. 하나님은 신실하십니다. 여러분이 감당할 수 있는 능력 이상으로 시련을 겪는 것을 하나님은 허락하지 않으십니다. 하나님께서는 시련과 함께 그것을 벗어날 길도 마련해 주셔서, 여러분이 그 시련을 견디어 낼 수 있게 해주십니다.” 신실하신 하나님을 우리도 신실하게 따라가길 소망합니다.

 

Scripture: Genesis 22:1-12

Sermon: God Is Faithful

Translated by Ji-Han Park

1.

In Korea, it has become popular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put wrong answers on tests, especially ones that are ridiculous and funny. For example, this question. “What is the four-character idiom that means ‘unfortunate things happen over and over again?’” The answer is ‘to make matters worse’, right? In Korean “Seol Sang Ga Sang”. But on the answer shee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swer was “diarrhea.” Another question is “what is the lion's name for shouting or singing in the street while drunk?" The correct answer is “Goseongbangga,” but the child’s answer is “Is that my day?” These are the children's wacky yet witty answers.

I loved exam week as a kid. I liked it because after the exams ended school ended early and I had a lot of time to play. And it was also because I was looking forward to seeing how the test scores turned out. After becoming a high school student, it was burdensome and difficult to take exams, but I used to wait for the exam period because of the above reasons. But in general, people have a hard time with exams. Do any of you here like tests? Even tests such as the driver’s license exam are a hassle. Children take more tests as they get older. Why do schools make tests? It could be for two reasons. The first is to remind students of the importance of studying, as they get ready for an exam. The second is to evaluate how good you are. What struck me odd about children's report cards in the US was the lack of rankings. In Korean report cards, students’ rankings out of the total student body were included. But I think it's good that there are no ranks in the US because it allows you to evaluate yourself and your own skills, and not have to worry about comparing yourself to someone else.

 

2.

 When we believe in Jesus, we also face tests. No one is an exception. Everyone faces tests, and as our faith grows, the intensity and difficulty of these tests increase. There are three tests in the test. The first is the test that comes because you make the wrong choice. Let's say you choose to lie to your mom. Then, because of that lie, you will tell another lie, and things will continue to get twisted. Your heart aches. Whose fault is this? It's a test that comes because you made the wrong choice. The second test is when Satan comes to tempt people to fall. Even Jesus was tested by Satan in the wilderness. The third test is God testing us. Is God testing us? Why? Some of you may not understand. But it's true. God tests us sometimes.

The main story of this sermon is the story of Abraham's test. One day Abraham heard God calling him. He must have been familiar with God’s voice, as he heard it for the last 30 years now. But God gave him a shocking order. “Offer your son Isaac as a burnt offering.” A burnt offering is an offering made by burning the entire offering. Abraham is commanded to kill his son and burn him as an offering to God. Does this make sense? God had made a promise to Abraham. “The son who will be born from Sarah's body will succeed you. That son will give birth to another son and you will become the ancestor of a great nation.” And how was Isaac born? He is a very precious son born when Abraham was 100 years old and Sarah was 90 years old. God wants Abraham to kill his precious son that he gave him? It is an incomprehensible plan that erases all of God's plans that have been carried out so far. If Isaac were to die, what would happen to God's promise?

But what I don't understand more is Abraham's reaction. The next morning, Abraham, his two servants, and his son Isaac set off for Mount Moriah. Mount Moriah was where Jerusalem is today. What did Abraham think as he walked the three-day road? If you were Abraham, what would you think? “Is it true that I have properly heard God’s voice? Isn't God doing too much? At times he provides, but now he is taking away from me? God is no different from the other gods of Canaan.” You must have felt this way naturally, right? However, it is surprising to see Abraham's attitude in the scripture. He is willing to obey the will of God. When Abraham arrives at Mount Moriah, he tells his servants. “You guys wait here. From now on only Isaac and I will go up. We'll go up there and worship and come back. Wait here until we return.” The subject of all the verbs used here is “we”. We must be Abraham and Isaac. ′′We'll go and come back.′′ Abraham goes up to kill Isaac, but did he already know that he would come back with Isaac? I don't know the depth of his thoughts, but I think it's clear that Abraham trusted God.

 Isaac carries firewood on his back, while his father carries fire and a knife. However, Isaac, who was following his father, begins to be curious. “Daddy, you’re only taking fire and a knife. Where is the lamb for the burnt offering?” Abraham was taken aback, but his heart must have been torn apart. “My son, God himself will provide the lamb for the burnt offering. Don't worry (verse 8).” Just as Abraham completely believed in and followed God, Isaac also completely believed in and followed his father, Abraham. We can see here that the theme of this story is faith and trust. Children, if your father were to take you up the mountain like this, would you run away or would you keep following? A child who truly believes that his father is a good man will follow him. I don't think Abraham had any doubt that God was good and that God's commands had a reason. So, he decided to follow God to the end.

We know all too well the conclusion of this story. Abraham sets up the firewood and ties his son Isaac up with ropes to keep him from escaping. And puts him on the firewood. Just as he raised his sword high and was about to strike Isaac, he heard an angel's voice from heaven. “Abraham, Abraham,” the angel called Abraham’s name twice in a row. “Stop right now. Don't touch the child. That's it. Don't do anything. Now I know that you fear God because you have not withheld even your only son.” Here we learn why God gave Abraham this difficult test. God wanted to know if Abraham trusted God and feared God. God prepared a lamb for Abraham in advance. There was no need to kill Isaac. Abraham's test ends with a happy ending.

3.

 In this story, God is first a Tester and finally a Provider. So, in verse 14, the name of God is called “Yahweh Jireh.” Originally, Jireh means “to see”. So, in the footnote, “to be prepared in the mountain of the Lord” can also be interpreted as “to be seen in the mountain of the Lord.” Provide is a combination of the Latin words pro (before, previous) and video (see). Preparing for a ‘pro-video’ is ‘provide’. It's a word that tells you how faithful God is. The word providence, which means “divine guidance or care,” also comes from here.

When we are tested, we misunderstand that God is not looking at us and is turning away. They argue, saying, ‘How can God do this to me?’ But one thing we must not forget is that “God is faithful.” God sees our lives in advance (pro-video) and knows in advance. And He is a faithful God who provides what we need in our lives. There is a clear providence of God in the trials we face.

A man named Job is known as the man who received the greatest test from God. He had many children and was extremely wealthy, but he lost everything overnight. He also had a serious skin disease on his body and had to scratch himself with pieces of broken dishes. He confessed this before God. “I was born naked in my mother’s belly. When I was born on this earth, I had nothing. God gave it, so God can take it. But God wants to be praised (Job 1:21).” Abraham was in the same situation as Job. It's a situation where you can resent, "When do you give, when do you want to take away?" However, in the hearts of Abraham and Job, there was a heart to trust God. “It is God who gives, so it is God who takes away.”

This kind of faith and trust doesn’t come out of anywhere overnight. Abraham was able to completely obey because he had been training to believe in and follow God for over 30 years. Children, please train from now on. It is training to follow God. It is training to obey God. If you can't see God well, practice listening to the words of your parents that God has given you. Like Isaac, “My father is not like that. My father is a good man. If my father tells me to die, I will pretend to die.” Try to train this type of behavior. The attitude you have toward your father will develop into the attitude you have toward God. Start by obeying your parents.

4.

 I want to interpret the words of the text as the resurrection experienced in the Old Testament. Before Jesus came, Abraham and Isaac had already experienced the resurrection. Didn't they go to the place of death and come back to life? Seeing the lamb God provided, they were able to deeply experience the fact that God is preparing them. The lamb prepared behind Abraham symbolized Jesus, the “Lamb of God.” God had already planned to sacrifice his own son as a burnt offering, not Abraham's son. Before Jesus came, He showed hints little by little in the Old Testament.

 When we obey God, there are times when we suffer enough to go down to the place of death. If you follow God, you may feel distressed because things are not going well, or you may be sick. However, I must not let go of the faith that God is looking at me in the place of suffering and will deliver me. I may be tested for now, but I must not let go of the faith that God will raise me up again as a provider in the end. After all, today's text is not trying to tell us that Abraham and Isaac are faithful. Rather, I am trying to tell you how faithful God is. God is faithful.

 God decided to sacrifice his only son to save us. He provided his Son as a lamb for us. God loved us like this. Sometimes God takes back what He has given, but God is faithful even then. I hope we can repay the faithful God with a faithful life. I hope you will obey and follow whatever God says. There is a saying that obedience is giving immediately, fully, and joyfully. Lent is a time to express our faithfulness to the Lord who has been so faithful to us. Express your love for the Lord by fasting and prayer, meditating on the Word, and doing good deeds and sharing. Finally, we conclude by reading 1 Corinthians 10:13. “You have never been subjected to trials other than those common to man. God is faithful. God will not allow you to go through more trials than you can handle. God provides a way out of the trials along with them so that you can get through them.” We hope that we will faithfully follow God who is faithful.

Posted by speramus

우리는 시간의 순환 속에서 살아갑니다. 모든 시간은 중립적이지만 어떤 시간들에 대해서 우리는 특별한 의미를 부여합니다. 예를 들어 생일은 다른 이들에게는 그저 평범한 시간에 불과하지만 생일을 맞는 이에게는 1년에 주기적으로 찾아 오는 특별한 시간이기에 그날을 기념합니다. 천지를 창조하신 하나님은 7일째의 시간을 거룩한 시간으로 특별한 의미를 두셨습니다. 그날을 안식일로 거룩하게 지키라고 하시면서 다른 새보다 무게를 갖게 하신 겁니다. 유대인들은 하루의 시작을 해질녘으로 이해했고 금요일 저녁부터 다음날 토요일 저녁까지를 안식일로 거룩하게 지켜오고 있습니다. 유대인들은 또한 1년의 순환 속에서 중요한 절기들을 정하여 기념하였습니다. 각각의 절기들에는 절기를 기념하는 활동과 음식들을 통해 절기의 의미들을 되새기게 됩니다. 절기는 그들이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정체성을 확인해 주는 중요한 의례이기 때문이었죠. 이스라엘의 삼대 절기는 유월절, 오순절(칠칠절), 초막절(장막절) 입니다. 

  특별히 유월절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절기였습니다. 왜냐면 그들 민족의 역사에서 출애굽(Exodus) 차지하는 의미가 절대적이었기 때문입니다. 보금자리가 없이 방황하며 이집트의 노예 생활을 하던 히브리인들은 약속의 땅으로의 탈출을 위한 하나님의 거대한 구원 계획을 경험하게 됩니다. 노예의 신분에서 자유인의 신분으로 전환되는 의미있는 역사적인 경험이었기 때문에 유월절은 자자손손 이어지게 중요한 절기로 자리잡았죠. 특히 유월절이라는 의미를 가져다 어린양의 피와 희생은 이절기에서 중요하게 기억되어야할 내용이 되었죠. 

  유월절은 신약시대로 넘어오면서 부활절로 새롭게 거듭납니다. 유대인들은 유월절을 의미있게 지키기 위해 유월절 전에 금식하며 경건하게 유월절을 준비하는 전통이 있었습니다. 이전통을 계승하여 부활절 40일간의 시간을 부활을 준비하는 절기로 지키게 되었죠. 40 이스라엘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숫자였습니다. 출애굽 이후 40 동안 그들은 광야 생활을 했고, 예수님께서도 공생애 시작하시면서 세례를 받으신 광야에서 40일간 세례를 받으셨습니다. 40일의 영혼의 갱생의 시간을 통과한 사람들이 맞는 부활절은 감격스러울 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니까십자가 없이 부활은 없다.”라는 중요한 명제의 실천을 위해 사순절이 행해진 것입니다. 사순절 기간은 그리스도께서 걸어가신 고난의 길을 묵상하고 따르며 나를 온전히 십자가에 못박는 경험하는 시간입니다. 그리스도와 온전한 연합과 함께 자신을 부인하고 십자가에 죽은 사람만이 부활의 감격을 맛볼 있기 때문에 사순절은 의미를 갖는 절기가 되었습니다. 사순절 순례의 여정을 통해 탐욕과 욕망으로 가득한 우리 자아를 온전히 비움으로 그리스도의 부활을 살아내는 기쁨을 맛보기를 소망해 봅니다. 사순절을 통해 예수 따름이로서 우리 정체성을 확인하길 원합니다.

Posted by speramus

본문: 창세기 1816-19

제목: 의와 공도의 하나님 나라

 

1.

오늘은 교회 켈린더로는 산상변모주일(Transfiguration of Jesus)인데 사순절 직전에 기념하는 절기입니다. 산상 변모(Transfiguration on the mountain)란 예수님께서 수난을 받으시기 전 베드로, 야고보, 요한을 데리고 기도를 하러 산에 가셨을 때 변화된 사건을 말합니다. 예수님께서 기도하실 때 그의 얼굴의 모습이 변하고 옷이 눈부시게 하얗게 빛이 났었죠(9:29). 베드로와 두 제자는 기도 안하고 졸고 있다가 깨어나 놀라운 장면을 보게 됩니다. 예수님의 유난히 빛난 모습으로 구약의 유명한 인물 두 사람과 함께 이야기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죠. 그 두 사람은 모세와 엘리야였습니다. 교회력에서 산상변모 주일이 사순절 바로 앞에 있는 이유는 변화산 사건을 기점으로 예수님이 수난 받으실 거라는 걸 말하기 시작하셨기 때문입니다.

 

왜 예수님 앞에 모세와 엘리야가 나타났을까요? 모세와 엘리야는 당시에 구약 성경으로 이해되던 모세오경과 예언서를 대표하는 사람들입니다. 지난 주 말씀 드렸던 모세오경인 토라(Torah), 그리고 예언서인 느비임(Neviim) 을 대표하는 사람 둘입니다. 무슨 말이냐면 성경 속에서 모세나 엘리야 같은 사람에 의해 그렇게 에코잉 되던 하나님의 약속이 예수님이라는 겁니다. 모세가 이끌었던 출애굽과 예언자들이 노력했던 출애굽 사건의 재현이 이제 예수를 통해 이뤄질 것이라는 얘기죠. 그래서 이제 본격적으로 예수님의 수난이 시작되기 전 하늘로부터 이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요 내 기뻐하는 자라.”라는 음성이 들려진 겁니다. 예수님의 공생애를 시작할 때 이미 하늘에서 이와 동일한 음성이 들렸었죠. 이제 예수님이 모세와 예언자들이 예언한 그 구원의 사건을 예루살렘에서 시작하시기 직전에 하나님은 예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를 표현하고 계신 겁니다.

 

그런 의미에서 누가복음 931절 말씀은 매우 중요합니다. 31절은 예수님이 모세와 엘리야와 함께 나눈 대화의 주제가 나옵니다. “그들은 영광에 싸여 나타나서, 예수께서 예루살렘에서 이루실 일 곧 그의 떠나가심에 대하여 말하고 있었다.” 개역성경에서는 떠나가심별세로 번역했고, 영어성경에서도departure 또는 decease’로 번역했습니다. 그런데 헬라어 성경에서는 예수께서 예루살렘에서 이루실 일 곧 그의 ‘Exodus’에 대해 말하였다.”라고 나와 있습니다. 예수께서 예루살렘에서 완성해야 할 일이 exodus, 그러니까 출애굽이라는 말입니다. 모세 시절 출애굽을 가능하게 했던 것은 누구의 희생 덕이었습니까? 출애굽 당시 어린양의 피가 문설주에 발라지고 저주가 넘어감으로 이스라엘 백성들이 저주를 면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이집트로부터 이끌림을 받아 새로운 언약 백성으로 거듭나게 되었던 것이죠. 예수님이 예루살렘에서 완성하실 일이 십자가 희생인데 그것은 그의 언약백성들을 새로운 약속의 땅으로 이끌어 내기 위한 희생이 될 것입니다. 그래서 요한복음 129절에서 요한은 예수님을 보고 이렇게 고백했죠. “보라 세상 죄를 지고가는 하나님의 어린 양이로다.”라구요. 예수님은 십자가 희생을 통해 빛의 자녀들을 세계 만민을 위한 제사장 역할을 위하여 이끌어 낼 것임을 말씀하고 계신 겁니다. 많은 이들을 출애굽 시키기 위해 예수께서 예루살렘에서 죽게 되는 겁니다. 이 놀라운 진실을 구약성경의 대표적인 인물인 모세와 엘리야가 나타나서 증명해 주고 있는 겁니다.

 

2.

여러분 예수님은 뜬금없이 이 세상에 등장하신 것이 아닙니다. 구약의 여러 이야기들 속에서 하나님은 구원의 역사를 진행해 오셨습니다. 그리고 계속 반복되어 드러난 하나님의 구원의지가 마침내 예수그리스도를 통해 완성될 것입니다.

구약에서 계속 echoing 되는 하나님의 구원의 이야기를 도려 내버리고 예수님의 십자가를 이해할 수 없습니다. 아브라함이라는 큰 산봉우리에서 아브라함이 소리를 지르니까 저 멀리 있는 모세에게서 똑같은 소리가 울렸습니다(Echoing). 그 모세의 소리가 이스라엘에게 울리고 세례 요한에게 울렸습니다. 그리고 예수님은 그 모든 에코를 합하여 그분의 소리를 내십니다. 쉽게 말해서 구약성경에서 누적되어 왔던 하나님의 구원의 의지와 이야기들에 대한 이해 없이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과 복음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없다는 겁니다. 그래서 구약을 읽어야 하는 겁니다. 예수님의 구원과 복음을 이해하는 깊이가 달라지니까요. 예를 들어, 소설 레 미제라블이총 다섯 권인데, 4권부터 읽는다 하면 장발장이란 인물이 원래 이렇게 착한 인물이었던 걸로 착각할 수 있겠죠? 은촛대와 은접시들을 훔친 장발장을 미리엘 주교가 무한한 용서와 사랑으로 감싸안은 이야기를 빼 먹으면 안됩니다. 장발장이 어떻게 사랑의 힘으로 극적으로 회심했는지를 1권에서 읽어야만 나머지 책에서 펼쳐지는 그의 선행의 의미들이 이해 되어지는 겁니다.

 

3.

아브라함에게 울려 퍼졌던 구원의 메아리가 무엇인지 알기 위해 오늘 본문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본문은 아브라함의 이야기 중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왜냐면 앞으로 구약 성경에서 반복되어 에코잉될 하나님이 만들어 가실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청사진이 제시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아브라함과 그의 후손들을 통해 만들어 가실 하나님 나라의 실체와 본질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이것이 중요한 것은 이 외침이 예수님에게서 동일하게 에코잉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본문은 어떤 세 명의 사람의 방문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이 세 사람은 실은 하나님이 보낸 천사들이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의 명령을 받고 소돔이라는 도시에서 들려지는 부르짖음의 실체가 무엇인지 실사하기 위해 왔습니다. 아브라함과 사라는 그들을 정성스럽게 대접합니다. 대접을 잘 받은 그들은 사라가 내년 이맘 때 남자 아이를 출산하게 될 것이라고 축복해 줍니다. 24년 동안 약속을 받고 아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던 터러 사라는 그 말을 듣고 비웃어 버립니다. 이미 그들은 자신들의 종으로부터 사내아이를 낳아 대를 잇고자 노력했지만, 하나님은 사라의 태로부터 후손이 나올 것을 거듭 확인해 주셨었죠. 하나님으로부터 여러 번 약속을 확인 받았지만 그들에겐 세월이 하나님보다 더 강력한 힘을 갖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어쨌든 사라의 잉태에 대한 기쁜 소식을 듣고 아브라함은 세 사람을 배웅합니다. 그들을 배웅하는 길에 하나님의 음성이 그들을 통해 아브라함에게 전달되는데 그것이 오늘의 본문입니다.

 

18절의 말씀은 창세기 121-3절의 반복처럼 보입니다. 핵심은 아브라함을 선택하고 그의 후손을 선택하신 이유는 모든 민족에게 복을 주시기 위함이라는 겁니다. 그런데 이 약속은 아브라함의 순종이 전제되는 복이라는 겁니다. 아브라함에게 주어진 순종의 내용은 무엇입니까? 개역개정 성경의 번역을 인용하겠습니다. 내가 그로 그 자식과 권속에게 명하여 여호와의 도를 지켜 의와 공도를 행하게 하려고 그를 택하였나니 이는 나 여호와가 아브라함에게 대하여 말한 일을 이루려 함이니라.”

쉽게 말해서 하나님께서 어떤 명령을 아브라함과 아브라함의 자손에게 주신다는 겁니다. 그 명령을 여호와의 도라고 표현하고 있구요. ‘라고 번역된 히브리말 데레크derek’는 길을 뜻하는 말입니다. 지난 주 설교했던 인생의 두 가지 길 중에 의인의 길을 의미하는 것이겠죠. 아브라함과 그들의 후손이 지켜야할 길을 두 가지 단어로 압축해서 전하고 있습니다. 그것을 개역개정 성경에서는 의와 공도로 번역했죠. 새번역에서는 옳고 바른 일’, NIV에서는 ‘right and justice’ KJV에서는 ‘justice and judgement’라고 번역합니다.

 

이 두 단어는 히브리 말로 쯔다카(צְדָקָה)’미쉬파트(מִשְׁפָּט)’입니다. 의로 번역된 쯔다카는 회복적 정의’를 일컫는 말로 자선 혹은 구제라는 뜻을 내포합니다. 어떤 사회든 사람들의 공동생활에서 발생한 잉여를 분배하는 과정을 통해 어떤 이는 부유해지고 또 어떤 이는 가난해집니다. 성경은 형편이 좋지 못한 사람들을 배려함으로써 그들이 인간다운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부자들의 의무라고 가르칩니다. 그것이 옳은 삶이란 거죠.

공도나 정의로 번역된 미쉬파트는 사법적인(juridical) 정의입니다. 재판관이 법에 따라 공정하게 일을 처리하는 것을 가리킵니다. 정의는 힘이 있는 사람들을 편들지 않고 가난한 사람이라 하여 불법을 묵인하거나 두둔하지 않습니다. 다수의 사람들이 연루되었다 하여 있는 죄를 없다고 하지 않습니다. 없는 죄를 만들어 벌을 주지도 않습니다. 사법적 정의가 바로 설 때 사람들은 공권력을 신뢰하게 되죠. 그러니까 사람의 신분이나 빈부가 판결에 영향을 미칠 수 없음을 전제하는 겁니다.

쯔다카와 미쉬파트는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어진 인간에 대한 존귀함으로부터 시작되는 개념입니다. 공동체 안에서 모두가 평등하고 모두가 동등하게 부를 나누고 소유하는 그런 자율 시민적인 가치가 바로 쯔다카와 미쉬파트입니다. 이것이 하나님 나라의 두 가지 큰 기둥입니다.

 

시편 971-2절은 이 말씀을 에코잉하고 있습니다. 주님께서 다스리시니, 온 땅아, 뛰듯이 기뻐하여라. 많은 섬들아, 즐거워하여라. 구름과 흑암이 그를 둘러쌌다. 정의와 공평이 그 왕좌의 기초다.” 하나님이 다스리는 나라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하나님의 나라의 왕좌에 두 개의 큰 기둥이 있는데 그것이 정의와 공평이라는 겁니다. 창세기 1819절에서 쓰인 쯔다카미쉬파트가 똑같이 쌍으로 쓰이고 있는데 한글 성경에서는 정의와 공평으로 다르게 번역하고 있죠.

 

중요한 건 무엇입니까? 하나님의 나라, 그러니까 하나님의 다스림의 핵심에는 이 두 가지 본질이 담겨 있다는 겁니다. 아브라함과 그 후손을 통해 앞으로 실험되고 실천될 나라는 쯔다카미쉬파트가 실현되는 나라입니다. 정의와 공평이 실현되는 나라를 아브라함은 만들어 가야 한다는 것이죠. 그런데 그의 조카 롯이 추구한 도시 문화의 본질은 이와 정 반대로 나아가는 나라였습니다. 성 안에 머물며 안전해 보이지만 실상은 그들의 이웃을 물어 뜯는 야수들의 사회와 같았습니다. 그래서 이 천사들은 아브라함의 나라와 소돔을 대조하기 위해 아브라함에게 말해주고 있는 겁니다. “내가 너에게 숨길 것이 뭐가 있겠어? 너의 나라는 저 소돔처럼 되면 안돼? 알지?”이런 뉘앙스인 겁니다. 소돔과는 대조되는 대안적인 나라를 만들어갈 숙제가 아브라함에게 주어진 것입니다.

 

4.

소돔은 미쉬파트와 쯔다카를 행하는 사람인 의인 10명이 없어 망하게 되었습니다. 본문의 다음 장인 19장에 보면 하나님이 보내신 두 명의 메신저가 롯의 집에 들어갔는데 그 도시의 남자들이 롯의 집으로 쳐들어 오려고 합니다. 남자 손님 둘을 겁탈하기 위해서 였습니다. 그 도시의 도덕적인 상황이 얼마나 심각했는지 말해 줍니다. 사람들이 왜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면서까지 죄악을 저지르는 겁니까? 왜냐면 상대방이 나랑 아무 상관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상대방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존귀하게 바라보지 않기 때문이죠. 사람을 자기의 욕망을 위한 물건 취급하기 때문입니다. 인격체로 존중하거나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나의 필요대로 상대방을 이용하는 것이죠. 구약 성경은 이런 의롭지 않기 때문에 죄라고 말합니다. 쯔다카와 미쉬파트가 결여된 상태입니다.  

 

중국에 살며 경헌한 것입니다. 중국인들은 거리에서 누가 맞고 있어도 관여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나랑 상관 없는 사람이고 괜히 관여했다가 나만 골치아파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이야기일 수 있지만 중국에 아직도 문이 없는 화장실들이 많습니다. 그 합리적인 이유 중 하나가 사람이 하도 많아서 화장실에서 마주친 사람을 다시 볼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라고 하더라구요. 나랑 아무 상관 없는 사람들로 생각하면 우리는 타인에게 신경쓰지 않습니다. 아니 함부로 하기까지 하죠. 반대로 내 이웃이 하나님의 지극한 관심을 받는 사람이고 하나님의 형상으로 만들어진 사람이라 생각되면 그에게 더 큰 관심과 사랑을 보일 수 밖에 없습니다.

 

예수님이 왜 가난하고 병들고 죄인 취급 당하는 자들에게 다가가셨습니까? 예수님은 그들을 하나의 인격체로 인정하셨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의 거친 대우로 말미암아 일그러져 있는 그들 안의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시켜 주시기 위해 다가가신 겁니다. 쯔다카와 미쉬파트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내 이웃을 향한 존중을 전제로 합니다. 우리 주변의 모든 사람들이 나와 연결된 존재이고 나에게 의미 있는 존재라는 눈이 열리게 되면 우리의 태도가 바뀌게 됩니다. 상대방이 나의 이웃이요 나의 형제 자매라고 생각하면 상대방을 존중하고 존귀하게 여기게 되는 것이죠.

 

지구 저 반대편에서 일어난 튀르키에와 시리아의 지진이 나와는 아무 상관 없어 보이지만 그들을 돕고 싶어지죠. 왜냐면 그들이 우리의 형제 자매요 우리의 이웃으로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들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아 최소한의 인간적인 삶을 사는 데 도움을 주고자 우리의 지갑을 여는 것이 아깝지 않게 됩니다.

 

5.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을 통해 꿈꾸셨던 나라는 의롭고 공정한 나라였습니다.  정의와 공평은 하나님의 통치 방식인데 사랑에 뿌리를 둡니다. 로마서 1310절에서는 사랑은 이웃들에게 악을 행하지 아니하니 그러므로 사랑은 율법의 완성이니라.” 라고 말씀하십니다.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를 주로 영접하고 그분의 가르침을 따라 살기로 결정하면 예수님은 그에게 성령을 선물로 주십니다. 그러면 생명의 성령의 법이 죄와 사망의 법에서 그를 자유케 합니다. 이제 그의 삶의 주도권을 성령님이 쥐고 다스리게 되죠. 그런데 성령의 법은 사랑을 따라 움직이고 다스리는 법입니다. 성령님에게 온전한 다스림을 받는 사람들이 많아질 때 중앙집권적인 국가는 필요 없어지게 됩니다. 왜냐면 정의와 공평이 온전하게 행해짐으로 말미암아 국가가 필요 없을 정도의 자율 통치가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문민(文民)통치란 직업군인이 아닌 일반 국민이 다스리는 나라를 말합니다. 그런데 하나님의 나라는 성령에 의한 문민 통치가 이뤄집니다. 성령의 감동을 받은 사람들이 모두가 자율적으로 사랑에 의해 움직이니 아름다운 세상이 되는 것이죠. 그 성령의 문민통치를 맛보는 곳이 교회입니다. 교회는 천국을 미리 맛보는(foretaste) 곳이라고 말합니다. 교회는 예수 믿고 성령의 다스림에 들어온 사람들이 자율적으로 사랑을 공유하는 공동체입니다. 세금 거두는 사람이 없는데도 좋은 옷 입고 와서 자발적으로 세금을 냅니다. 그리고 그 재정으로 주변의 불우하고 소외된 이웃들을 돕고자 합니다. 모든 교회가 자기가 속한 동네나 커뮤니티의 복지를 교회 스스로 책임진다면 국가는 필요 없어지게 될 겁니다. 우리가 꿈꾸는 것은 이렇게 성령의 다스림을 받는 사람들을 더 많아지는 세상입니다. 성령의 다스림을 받는 자율적인 사람들이 많아질 때 하나님의 나라는 이 땅위에 더 힘있게 세워져 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6.

말씀을 정리해 볼까요? 예수님이 수난을 당하시기 전 예수님은 모세와 엘리야를 통해 자신이 걸어가고 있는 길을 확인합니다. 구약의 길고 긴 역사와 서사 속에서 실현하려 했던 하나님의 구원의 의지를 실천하기 위해 예수님은 이 땅에 오셨습니다. 그리고 예수님의 희생은 언약 백성을 만민에게 복을 주기 위해 새로운 출애굽을 만들어 가실 겁니다. 그 출애굽은 어린양의 희생으로 열리게 되는 데 예수님은 자신이 하나님의 어린양이 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참 길과 생명을 열어주실 겁니다. 예수님이 가실 길은 구약의 많은 이야기들을 통해 이미 제시된 길이기도 했습니다. 아브라함 때부터 계속 반복하여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에코잉 되었습니다.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통해 만들어가실 나라는 정의와 공평이 기반이 되는 나라입니다. 하나님의 언약 백성들에 의해 자율적으로 통치되어질 사랑의 나라인 것이죠.

 

하나님의 나라는 저 멀리 안드로메다 어디에 있는 그런 나라가 아닙니다.하나님은 이 땅 위에 새 하늘과 새 땅을 만들기를 바라십니다. 하나님의 뜻이 하늘에서 이뤄지는 것과 같이 땅에서도 이뤄지기를 바라십니다. 그 나라를 만들어 가기 위해 가장 필요한 기초가 바로 쯔다카와 미쉬파트입니다. 하나님의 나라는 이 두 기둥 위에 세워지는 것이죠. 이런 정의와 공평은 성령의 온전한 통치에 순종하는 사람들에게 자연스럽게 주어지게 되어 있습니다. 성령의 통치를 받는 이들은 나의 이웃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존귀한 존재로 바라보는 눈이 열리기 때문입니다. 이웃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그를 사랑하는 삶이 하나님께서 그렇게 바라시는 삶이라는 것을 너무나 깊이 이해하기에 이웃을 아끼며 살아가는 사람들입니다. 그런 사람은 이 땅에 사법적인 정의가 실천되지 않는 것을 보며 안타까워 합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여전히 사법적인 정의가 무너져 있고 부의 공정한 분배를 달가워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런 세상 가운데 우리는 하나님이 바라시는 나라를 만들어 가야 합니다. 여호와를 아는 지식이 물이 바다를 덮음 같이 세상에 가득하면 해 됨도 없고 상함도 없어지게 됩니다(이사야11:9). 우리를 통해 그런 아름다운 세상이 만들어지기 소망합니다. 인간미 없는 소돔과 같은 세상이 아니라 서로 사랑하고 서로 책임지는 정의와 공평이로 세워진  하나님의 나라를 이 세상 위에서 미리 맛보기를 소망합니다.  

Text: Genesis 18:16-19

Title: A Kingdom built on the foundation of righteousness and justice

Translated by Wi Chung-Il

 

1.

Today is the Transfiguration of Jesus on the Mountain by a church calendar, which is celebrated just before Lent. The Transfiguration on the Mountain refers to the transfiguration of Jesus when he went to the mountain to pray with Peter, James, and John before he suffered. When Jesus prayed, the appearance of his face transformed, and his clothes shone dazzlingly white (Luke 9:29). Peter and the two disciples dozed off without praying and woke up to see an amazing scene. Jesus' face changed and his clothes were exceptionally shining. They also found Jesus talking with two famous Old Testament figures. Those two were Moses and Elijah. After talking with them, Jesus heard his Father's voice from heaven. The reason why the Transfiguration on the Mountain Sunday is right before Lent in the church calendar is because Jesus began to say that He would suffer from the Transfiguration on the Mountain.

 

Why did Moses and Elijah appear before Jesus? Moses and Elijah represent the Pentateuch and the Prophets, which were understood as the Old Testament at the time. These are the two people who represent the Torah, the Pentateuch of Moses, and the Neviim, the prophetic book, which I mentioned last week. In other words, the promise of God echoed in the Bible by people like Moses and Elijah is Jesus. It means that the Exodus led by Moses and the reenactment of the Exodus event that the prophets worked hard for will now be accomplished through Jesus. So now, before the Passion of Jesus began in earnest, a voice was heard from heaven saying, “This is my beloved Son, in whom I am well pleased.” At the beginning of Jesus' public ministry, the same voice had already been heard from heaven. Now, right before Jesus begins the event of salvation prophesied by Moses and the prophets in Jerusalem, God is expressing his sincere thanks to Jesus.

 

In that sense, Luke 9:31 is very important. Verse 31 is the subject of a conversation Jesus had with Moses and Elijah. “(Two men, Moses and Elijah, appeared in glorious splendor, talking with Jesus.) They spoke about his departure, which he was about to bring to fulfillment at Jerusalem.” In the Revised Bible, ‘departure’ is translated as ‘death’, and in the English Bible, it is translated as ‘departure’ or ‘decease’. By the way, the Greek Bible says, “The Exodus of Jesus was spoken of in glory.” The work Jesus had to complete in Jerusalem was Exodus. Whose sacrifice was it that made the Exodus possible in the days of Moses? At the time of the Exodus, the blood of the lamb was applied to the doorposts, and the curse passed over, so the Israelites escaped the curse. And they were led from Egypt and were reborn as a new covenant people. What Jesus will complete in Jerusalem is the sacrifice of the cross, which will be a sacrifice to lead his covenant people to the new land of promise. So, in John 1:29, John saw Jesus and confessed like this. “Behold, the Lamb of God who takes away the sin of the world.” Jesus is saying that through the sacrifice of the cross, he will lead the children of light to serve as priests for all peoples of the world. Jesus died in Jerusalem in order to bring many people out of Egypt. Moses and Elijah, the representative figures of the Old Testament, appear and prove this amazing truth.

 

2.

Jesus did not appear in this world out of the blue. In many stories of the Old Testament, God has been working on the history of salvation. And God's will to save, which has been repeatedly revealed, will finally be completed through Jesus Christ.

You can't understand the cross of Jesus with cutting out the story of God's salvation that keeps echoing in the Old Testament. When Abraham shouted at the great mountain peak, the same voice echoed from Moses far away (Echoing). The voice of Moses echoed through Israel and echoed through John the Baptist. And Jesus puts all those echoes together to make His voice. Simply put, it is impossible to understand the salvation and gospel of Jesus Christ more deeply without understanding the will and stories of God's salvation that have been accumulated in the Old Testament. That's why you have to read the Old Testament. It is because the depth of understanding of the salvation of Jesus and the gospel is different. For example, if you read the novel “Les Misérables” in total of five volumes, starting with the fourth volume, you might mistakenly think that Jean Valjean was originally such a kind person, right? We must not miss the story of how Bishop Myriel embraced Jean Valjean, who stole the silver candlesticks and silver plates, with infinite forgiveness and love. Only when we read how Jean Valjean was dramatically converted by the power of love in volume 1 can we understand the meaning of his good deeds in the rest of the book.

 

3.

Let's take a look at today's text to find out what the echo of salvation resounded to Abraham. The text occupies a very important part of the story of Abraham. This is because the blueprint for the kingdom of God that God would create will be repeated and echoed in the Old Testament in the future. So, the reality and essence of the kingdom of God, which will be created through Abraham and his descendants, is being presented. This is important because this message will echo in the same way in Jesus. The main text begins with the visit of some three people. These three people were actually angels sent by God. They received God's command and came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the cry being heard in the city of Sodom. Abraham and Sarah treat them with great hospitality. Well received, they bless Sarah that she will give birth to a baby boy this time next year. After receiving the promise and nothing happened for 24 years, Sarah laughed at the words. They had already tried to give birth to a male child from their servant to succeed the generation, but God repeatedly confirmed that descendants would come from Sarah's womb. They had been confirmed by God many times, but it seemed to them that time had more impact than God. Anyway, after hearing the good news of Sarah's pregnancy, Abraham sees the three of them off. On the way to see them off, God's voice was delivered to Abraham through them, and that is today's text.

 

” Verse 18 seems like a repetition of Genesis 12:1-3. The point is that the reason Abraham and his descendants were chosen was to bless all nations. However, this promise is a blessing premised on Abraham's obedience. What was the content of obedience given to Abraham? “For I have chosen him, so that he will direct his children and his household after him to keep the way of the Lord by doing what is right and just, so that the Lord will bring about for Abraham what he has promised him.”

To put it simply, God gives certain commands to Abraham and his descendants. The command is expressed as ‘the way of the Lord’. The Hebrew word 'derek' means the way. Of the two paths of life that I preached last week, it must mean the path of the righteous. The path that Abraham and his descendants must keep is compressed into two words. It was translated as righteousness and justice in the Revised Version of the Bible. In the New Translation, it translates as ‘right and just thing’, ‘right and justice’ in NIV, and ‘justice and judgment’ in KJV.

 

These two words are 'Tsudaka (צְדָקָה)' and 'Mishpat (מִשְׁפָּט)' in Hebrew. Tsudaka, translated as righteousness, is a word that refers to 'restorative justice' and implies charity or relief. In any society, some become rich and others poor through the process of distributing the surplus of people's common lives. The Bible teaches that it is the obligation of the rich to care for those less fortunate so that they can enjoy a decent life. That is the right life.

Mishpat, translated as justice, is juridical justice. I think it would be better to translate it as righteousness. It refers to the fairness of judges in accordance with the law. Justice does not take sides with the powerful, and it does not condone lawlessness because of the poor. Just because a large number of people are involved doesn't mean they're not guilty. There is no punishment for making a crime that is not there. When judicial justice is right, people trust public authority. That is, it assumes that a person's status or wealth cannot affect the judgment.

Tsudaka and Mishpat are concepts that begin with the respect for human beings, who are made in the image of God. Tsudaka and Mishpat are autonomous civic values in which everyone is equal in the community and everyone equally shares and owns wealth. These are the two great pillars of the kingdom of God.

 

Psalm 97:1-2 echoes these words. “The Lord reigns, let the earth be glad; let the distant shores rejoice. Clouds and thick darkness surround him; righteousness and justice are the foundation of his throne.” It describes a country ruled by God. However, there are two big pillars on the throne of the kingdom of God, and they are righteousness and justice. ‘Tsudaka’ and ‘Mishpat’ in Genesis 18:19 are used as a pair, but the Korean Bible translates them differently as ‘justice and fairness’.

 

What's important? The kingdom of God, that is, the core of God's reign contains these two essences. The country that will be experimented and practiced in the future through Abraham and his descendants is the country where ‘Tsudaka’ and ‘Mishpat’ are realized. Abraham must create a country where righteousness and justice are realized. However, the essence of the city culture pursued by his nephew Lot was a country that w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It seems safe to stay in the castle, but in reality it is like a society of beasts that bite their neighbors. So these angels are telling Abraham to contrast his country with Sodom. “What can I hide from you? Your country can’t become like that Sodom, you know?” This is the nuance. Abraham was given the task of creating an alternative country that contrasted with Sodom.

 

4.

Sodom was destroyed because there were no 10 righteous people who practiced Mishpat and Tsudaka. In chapter 19, the next chapter of the main text, two messengers sent by God entered Lot's house, and the men of the city tried to invade Lot's house. It was to rape two male guests. It tells how dire the moral situation of the city was. Why do people commit sins to the detriment of others? Because they think the other person has nothing to do with themselves. It's because they don't look at the other person in the image of God. It is because they treat people as objects for their own desires. Because they don't respect or acknowledge it as a person, they use the other person for my needs. The Old Testament says that these are sins and unrighteousness. Tsudaka and Mishpat are missing.

 

This is what I experience while living in China. The Chinese tend not to get involved when someone is being beaten on the street. It's because he's a person who has nothing to do with me, and I can only get into trouble if I get involved. It may be a different story, but there are still many doorless toilets in China. One of the rationale for this is that there are so many people that you are unlikely to see the person you bumped into in the bathroom again. We don't care about others if we think of them as people who have nothing to do with us. They even do it recklessly. On the contrary, if you think that your neighbor is a person who receives God's utmost attention and is a person made in God's image, you can show greater interest and love to him.

 

Why did Jesus reach out to those who were poor, sick, and treated as sinners? Because Jesus acknowledged them as person. He came to restore the image of God in people who have been distorted by their rough treatment. Tsudaka and Mishpat are based on the premise of respect for my neighbors who are created in the image of God. Our attitude changes when we open our eyes that everyone around us is connected to us and has meaning to us. If you think of the other person as your neighbor or your brother or sister, you will respect and value them.

 

Earthquakes in Turkey and Syria on the other side of the world don't seem to have anything to do with us, but we want to help them. Because we see them as our brothers and sisters and as our neighbors. It is not a waste to open our wallets to help them live a minimum human life by being created in the image of God.

 

5.

The country that God dreamed of through Abraham was a kingdom with right and justice. Righteousness and justice, God's way of ruling, are rooted in love. In Romans 13:10, it says “Love does no harm to a neighbor. Therefore love is the fulfillment of the law.” When we accept Jesus Christ as Lord and choose to live according to His teachings, Jesus gives them the gift of the Holy Spirit. Then the law of the Spirit of life sets them free from the law of sin and death. Now, the Holy Spirit takes the initiative in their lives and rules them. However, the law of the Holy Spirit is the law that moves and governs according to love. When there are many people who are fully ruled by the Holy Spirit, there is no need for a centralized state. This is because righteousness and justice can be fully exercised so that self-government can be achieved to the extent that the state is not needed.

Republic refers to a country governed by ordinary citizens, not professional soldiers. However, the kingdom of God is governed by the people by the Holy Spirit. People who have been moved by the Holy Spirit are all autonomous and move by love, so it becomes a beautiful world. The church is the place where you can taste the reign of the people by the Holy Spirit. The church is said to be a foretaste of heaven. The church is a community where people who believe in Jesus and come under the rule of the Holy Spirit autonomously share love. Even though no one collects taxes, they come dressed in nice clothes and pay their taxes voluntarily. And with that finance, we want to help the underprivileged and marginalized around us. If every church took responsibility for the welfare of its neighborhood or community, the state would become unnecessary. What we dream of is a world where more people are ruled by the Holy Spirit. It is because when there are many autonomous people who are ruled by the Holy Spirit, the kingdom of God can be established more powerfully on this earth.

 

6.

Shall we summarize the message? Before Jesus suffers, he confirms the path he is walking through Moses and Elijah. Jesus came to this earth to practice God's will of salvation, which was to be realized in the long history and narrative of the Old Testament. And the sacrifice of Jesus will make a new exodus to bless the covenant people to all peoples. The Exodus will be opened by the sacrifice of the lamb, and Jesus himself will become the Lamb of God and open the true way and life to many people. The way Jesus would go was also the way already presented through many stories in the Old Testament. It has been echoed by the Israelites over and over again since the time of Abraham. The country that God will create through the people of Israel is a country based on righteousness and justice. It is a nation of love that will be autonomously governed by God's covenant people.

 

The kingdom of God is not that far off in Andromeda. God wants to create a new heaven and a new earth on this earth. God wants the will of God to be done on earth as it is in heaven. Tsudaka and Mishpat are the most necessary foundations to build that country. The kingdom of God is built upon these two pillars. This kind of justice and fairness is naturally given to those who obey the whole reign of the Holy Spirit. It is because those who are ruled by the Holy Spirit open their eyes to see their neighbors as noble being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They are people who care for their neighbors because they understand so deeply that a life that does not harm them and loves them is what God wants them to be. Such a person feels sad to see that judicial justice is not practiced on this land. We live in a world where judicial justice is still broken and there are still many people who do not want a fair distribution of wealth. In the midst of such a world, we must create a nation that God desires. When the knowledge of the Lord fills the earth as the waters cover the sea, there will be no harm or damage (Isaiah 11:9). We hope that such a beautiful world will be created through us. It is not a world like Sodom without humanity, but I hope to taste the kingdom of God built on righteousness and justice in which we love each other and take responsibility for each other in advance on this world.

 

Posted by speramus

예배를 드리는 그리고 예배 안에서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하나님은 인격적이시기에 그분은 우리와 사귐을 원하십니다. 예배란 인격적인 하나님과의 사귐과 교제라 있습니다. 사귐의 예배는 항상 하나님께서 먼저 다가오심으로 시작됩니다. 예배를 통해우리는 하나님을 우리의 삶에 중심에 모시고 소원해졌던 그분과의 관계를 다시 돈독하게 합니다. 모든 사귐과 교제에는 상대가 누군지에 대한 인식이 전제됩니다. 상대의 이름을 부르는 것은 이를 위한 필수적인 행위입니다. 우리가 누군가의 이름을 부를 그는 우리에게로 의미가 되기 때문입니다. 예배로 나아가며 우리는 하나님의 이름을 부릅니다. 누군가를 높이고 찾을 이름을 부르는 것보다 자연스러운 것이 없기 때문입니다. “아담아 네가 어디 있느냐?”라며 아담의 이름을 부르며 다가오셨듯 우리가 주님의 이름을 부르기 주님이 먼저 우리 이름을 부르며 다가오십니다.

하나님이 만드신 성소로서 에덴동산의 제사장이었던 아담은 하나님을 찾거나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는 대신 자신을 경배했습니다. 하나님이 아담의 대체자로서 아브람을 지명하실 그에게 성전은 유동적이었습니다. 그는 옮겨가는 곳마다 하나님을 예배했습니다. 창세기 12 8절에서는아브람은 거기에서도 제단을 쌓아서, 주님(야웨) 바치고, 주님(야웨) 이름을 부르며 예배를 드렸다.” 라며 아브람의 예배 행위를 묘사합니다. 아브람의 예배 행위에 있어 중심이 되는 것은 제단을 쌓은 것과 야웨의 이름을 부르는 가지입니다. 제단을 쌓았다는 것은 특정한 장소에 의미를 부여했다는 뜻이겠죠. 야웨의 이름을 불렀다는 것은 그에게 약속을 주기로 하신 분을 기억하여 소환했다는 뜻일 겁니다. 그와 맺은 언약관계에 서명을 당사자이신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며 찾고 있습니다. 

이것은 일종의 대항적인 신앙의 결단입니다. 다른 신을 따르지 않고 야웨만을 따르겠다는 신앙적 결단인 것이죠. 이름은 이름을 가진 이가 어떤 인격인지를 나타내주는 상징입니다. 야웨라는 이름 안에 하나님의 인격이 담겨 있습니다. 아브람에게 야웨의 이름을 부르는 것은 열정적인 찬미일 아니라 간구였습니다. 하나님의 이름을 부른다는 것은 나의 신앙을 조율하는 행위입니다. 내가 잘못 경배 드렸던 대상을 수정하고 나의 경배 대상은 오로지 하나님임을 고백하는 신앙의 조율 행위인 것이죠. 또한 하나님의 이름을 부른다는 것은 나의 엉클어지고 혼란스런 삶을 향한 그분의 개입을 촉구하는 행위입니다. 오늘의 예배에도 우리는 하나님의 다양한 이름을 찬미하고 높입니다. 예배는 분위기를 즐기는 것이 아닙니다. 주님의 이름을 부르며 예배의 대상을 향한 찬미를 드리며, 우리 삶을 향한 그분의 개입을 바라며 기도합니다. 우리의 찬미와 간구와 삶을 받을 대상이 누군지에 대한 명확한 좌표 설정과 조율이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는 예배행위가 갖는 의미입니다. 

Posted by speramus

본문: 시편 1:1-6

제목: 의로운 사람들의 상록수숲 (A Forest of people who are righteous)

1.

제가 20058월에 지리산을 종주한 적이 있습니다. 친구와 그의 동생과 함께 셋이서 지리산을 23일로 종주하는 계획이었습니다. 노고단(Nogodan)에서 출발하여 천왕봉(Cheonwangbong)까지 갔다 내려오는 코스였습니다. 그런데 이틀 째 산행을 하며 저희 일행은 길을 잃어 버렸습니다. 한참을 헤매다가 제자리로 돌아오는데 2시간 넘게 걸렸죠. 산길에도 이정표가 자주 나오는데 이정표가 아니라 ‘OOO 산악회라고 적힌 리본을 따라가다가 길을 잃은 거였어요. 그 산악회를 믿으면 안됐던 거죠. 국립공원 사무실에서 설치한 이정표를 보고 따라가야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때 인생을 제대로 살려면 바른 길을 선택해야 하고 올바른 이정표를 따라가야 하겠구나라는 깨달음이 오더라구요. 우리는 인생을 길로 비유하곤 합니다. 여러분의 인생길은 명확한 방향과 명확한 이정표를 따라가는 길인가요? 여러분의 삶이 혼란스럽고 심란할 때 여러분에게 지혜를 주고 영감을 주는 리소스는 무엇인가요? 여러분의 인생의 방향을 설정해주고 의미와 지향점을 주는 이정표가 무엇이냐는 겁니다. 서두에 결론을 미리 말해 죄송하지만 성경만한 인생의 이정표가 있을까요? 저는 삶이 힘들다 싶으면 시편을 펼칩니다. 왜냐면 시편은 나와 같은 고민과 번뇌를 겪은 신앙의 선배들이 기록한 글이기 때문입니다. 시편의 대부분의 시가 신앙적인 고민을 가진 사람들의 노래이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읽으면 대단히 위로가 되는 말씀입니다.

 

먼저 시편이 구약성경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잠깐만 살펴보고 본문으로 들어가고자 합니다. 히브리어 성경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눠져 있습니다. 모세 오경이라 불리는 토라(Torah), 예언자들의 책들인 네비임(Neviim), 그리고 거룩한 기록이라는 뜻을 가진 성문서(Holy Writings), 케투빔(Ketuvim)입니다. 시편 욥기 잠언 외에 룻기 아가서 역대기 등의 책들이 케투빔에 속해 있죠. 그런데 유대인들은 모세가 쓴 토라를 가장 거룩한 책으로 보았고 그 다음 예언서 그리고 가장 등급이 낮은 책을 케투빔으로 여겼습니다. 오늘 날로 따지면 케투빔은 간증문 같은 겁니다. 이건 모세나 예언자들이 영감을 받아서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한 것이 아닙니다. 성도들의 삶 가운데 고민하고 씨름하는 문제들 안에서 부르짖은 탄식과 간구가 시편입니다. 오늘날로 치면 새롭게 하소서같은 간증 방송과 비슷하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직접 강의하는 바이블 에센스”, “성서학당등과는 좀 다르죠. 그냥 맘이 지치고 힘들 때 새롭게 하소서를 보면 하나님의 살아계심이 느껴지잖아요. 새로운 희망을 발견하게 되죠. 시편이 바로 이와 같습니다. 기독교 예배에서 설교가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직접적인 방식이라면 대표기도는 성도들에게 임한 감동을 통해 들려지는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그러니까 토라가 설교라면 시편은 대표기도인 거죠. 고난과 혼돈으로 가득한 인생을 어떻게 사는 것이 지혜로운 것인지 시편과 같은 케투빔을 통해 우리는 배울 수 있습니다.

 

2.

시편 1편은 150편이나 되는 시편 전체의 주제와 같은 말씀입니다. 150편의 시들의 여섯 줄 요약이 시편 1편인 거죠. 시편 1편은 어떻게 사는 것이 복된 인생인지 우리에게 알려주고자 합니다. 인생의 여러 길 중에 어떤 길을 선택하고 어떤 자세로 살아가는 것이 복되고 행복한 삶인지를 말해주고자 합니다. 여러 이정표들을 제시하고 당신은 어떤 이정표를 따라 살겠습니까? 선택지를 내미는 것과 같습니다. 150편의 시편의 대부분이 그렇듯 시편 1편은 거룩한 흑백논리를 말합니다. 이렇게 살아라 저렇게 살아라는 이정표가 많아 보이지만 딱 두 종류 밖에 없다는 거죠. 의인의 길 아니면 악인의 길 뿐입니다. 그 중간은 없습니다. 그러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체성의 혼란을 겪습니다. 나는 의인도 아닌 것 같고 악인도 아닌 것 같은데 그럼 뭐지? 여러분들 중에도 이런 혼란이 오는 분들이 분명히 계실 겁니다. 흑백 논리라는 것이 흑 아니면 백입니다. 회색이 있잖습니까라고 하실지 모르지만 시편 1편에서 회색은 모두 흑으로 분류됩니다.

 

1절에는 악인의 종류세 등급으로 분류하는데 각각 사용된 히브리 말도 다 다릅니다.

이 등급을 분류하는 데 있어 각각의 악인들에게 사용되는 동사를 보면 재미있습니다. 따르다, 서다, 앉다가 순서대로 나오는데 어떤 동작이 가장 안정돼 보입니까? 갈팡질팡 하며 악인의 꾀를 따라볼까 고민하다 결국 그 길에 들어 서게 되죠. 서 있다가 이제는 눌러 앉아 버리는 것까지 단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오만한 자들은 악인들과 죄인들에 비해 상당히 확신에 차 있는 자입니다. 자기가 가는 그 악한 길에 대한 확신과 안정감을 가진 최고수의 악인이라 볼 수 있습니다. 히브리 말에도 오만한 자라는 뜻은 비웃는(mock) 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나님을 비웃는 사람이라는 거죠. 그에 비해 죄인이라고 번역된 로쉬의 복수형(plural) ‘르샤임은 악한(Weak) 사람, 틀린(wrong) 사람, 나쁜 사람 정도로 번역되는 말입니다. 악인의 꾀라고 번역된 아짜트‘advise, counsel, prudence’ 같은 말로 번역되는 말입니다. 이 사람들은 나쁜 꾀에 귀가 열려 있으면서 유혹을 받지만 갈팡질팡하는 사람들입니다. 순진한 죄인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은 나쁜 충고에 귀를 개방해 놓고 받아들일 준비가 돼 있는 사람들입니다. 신문 보면서 악행을 저지른 사람들을 욕하면서도 속으로는 자기도 기회가 오면 그렇게 살아보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입니다. C. S. Lewis스크루테이프의 편지(The Screwtape Letters)’라는 책이 있는데요. 악마 세계의 고참급인 삼촌 악마 Uncle이 자기의 조카인 졸개 악마 Wormwood에게 보낸 편지 형태의 글입니다. Uncle 악마는 신참 영업사원인 조카에게 어떻게 하면 기독교인들을 유혹하고 파멸시킬 것인가에 대해 자상한 지침과 충고들이 가득한 편지를 보냅니다. 거기에서 마귀들의 가장 큰 전략이 소개됩니다. “세상사람들을 전형적인 악인들로 만들지 말아라. 그러면 의인들이 그것을 보고 일어나게 된다. 어떤 악인을 만드는 것이 가장 유리한가? 그것은 선인처럼 보이는 악인을 많이 생산해내서 사회 곳곳에 심어 놓아야 한다.”라고 웜우드에게 친절하게 설명합니다. 의인인 것처럼 의로운 것에 대해 고민은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귀는 악인의 충고에 열어 놓는 악인을 만들어 내라는 것입니다. 아무리 진보적인 미디어를 보더라도 적극적으로 의인의 삶을 즐거워 하지 않는 사람들은 모두 이 첫번째 사람으로 분류됩니다.

 

두번째 단계의 죄인들은 한 발 더 나아가 죄인의 길에 들어 선 사람들입니다. 이 죄인들은 꾀를 좇는 악인들보다 한 단계 진전된 죄인들입니다. 길에 섰다는 말은 더이상 방황하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자신이 선택한 길로 방향을 정한 죄인들입니다. 이런 사람들에게 좁은 길, 협착한 가시밭길은 딱 질색입니다. 자신의 길이 생명의 길이 아니라 지옥으로 가는 길일지라도 많은 사람들이 가는 길이니 자기도 따라가 보겠다고 아예 작정한 사람들입니다. 꾀에 빠져 있는 악인보다 이런 사람들을 돌이키게 하는 것이 훨씬 어렵습니다.

 

이 죄인들보다 한 단계 더 진전된 죄인이 바로 오만한 자들입니다. 그들은 아예 자리를 잡고 앉아 버린 죄인입니다. 갱단으로 치면 보스에 해당되는 죄인입니다. 보스는 서서 일하지 않고 앉아서 조직을 지배합니다. 보좌에 앉아서 왕적인 통치를 하는 두목인 것이죠. 오만한 자들의 파괴력은 어마무시합니다. 푸틴이라는 대통령 한 사람이 오만한 자의 자리에 앉으면 미사일을 선량한 시민들에게 발사하는 겁니다. 너무나 악마적인 것이죠. 도요토미 히데요시, 일제 시대의 이토히로부미, 히틀러 같은 사람들이 바로 이런 사람들입니다. 양민들을 학살하면서도 전혀 거리낌이 없습니다. 남의 나라를 통째로 도둑질 해가면서도 양심의 거리낌이 눈꼽만치도 없는 오만한 자들이죠. 악의 세계는 완전한 위계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죄인과 악인들을 지배하며 왕적인 통치를 행하는 정사와 권세와 하늘의 주관자들이 존재합니다. 정신 똑바로 차리고 신앙생활하지 않으면 우리도 악의 세력들에 동조하며 살아가기 십상입니다. 성경에서 악의 위계질서와 싸우며 충돌하는 것을 영적전쟁이라고 합니다. 에베소서 612절 말씀입니다. “우리의 전투 상대는 인간이 아니라, 권세와 권력들과 이 어두운 세계의 지배자들과 하늘에 있는 악령들입니다.” 사도 바울은 악과의 전쟁이 얼마나 치열하며 고도의 영적인 에너지를 필요로하는 싸움인지를 우리에게 말해 줍니다. 이 싸움이 이렇게 치열한 이유는 악의 세력들이 철두철미한 위계질서로 조직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3.

에베소서 6장의 말씀에서 영적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 비유적으로 무장 도구들 잘 갖추고 나서 악의 세력들과 맞서 싸우라고 충고해줍니다. 헬멧, 갑옷, 신발, 허리띠, 방패 등이 도구들은 모두 방어수단입니다. 그런데 유일하게 공격 무기가 그리스도인들에게 주어지는데 그것은 성령의 양날 검인 말씀입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악의 세력들에게 엄청난 데미지를 입히는 공격 무기입니다. 악의 위계질서는 작은 진실의 음성에 허약할 정도로 쉽게 무너질 수 있습니다. 왜냐면 그 위계질서는 거짓으로 쌓아진 위계질서이기 때문입니다. 참된 진리의 음성이 악의 세력들에게 전달될 때 그들에게 얼마나 큰 타격을 주는지 우리는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시편 1편의 기자는 진리의 말씀인 야웨의 토라를 밤과 낮으로 묵상하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주야로 묵상하는 사람들에게는 악한 자들의 충고가 아무리 강력하더라도 전혀 힘을 발휘하지 못합니다. 즐거워하다라는 말과 묵상하다라는 말은 시적인 댓구를 이루고 있습니다. 묵상하다는 말은 히브리 말로 하까’(Hagah)라는 말입니다. 하까는 세 종류의 용례가 있습니다. 먼저는 묵상하다는 뜻이구요. 두번째 뜻은 시편 636절 등에서  읊조린다(recite read aloud)라는 말로 번역됩니다. 하까는 소리를 내서 계속 반복해서 읊는 행위입니다. 말씀에 머물고자 하는 의지를 표현하는 말인 거죠. 세번째 뜻은 이사야서 314절의 예인데요 힘센 사자가 자기 먹이를 잡고 으르렁거릴 때에(the young lion roaring on his prey)”라는 말씀에서 으르렁거리다라는 말이 바로 하까입니다. 사자와 마찬가지로 고양이도 먹잇감을 물고 있는데 다가가면 무슨 소리를 냅니다. 먹이를 즐거워하여 놓칠 수 없는 기쁨을 그렇게 표현하는 겁니다. 말씀을 기뻐하며 즐기는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가 바로 하까인 거죠.

 

결국 묵상한다는 것은 끙끙거리고 신음하면서 하나님을 기억하려고 애쓰는 행위를 가리킵니다. 하박국 선지자도 그렇고 구약의 많은 선지자들이 하나님의 진리대로 돌아가지 않는 세상의 현실을 보며 탄식했습니다. 아브라함도 하나님의 약속을 받았는데 그것이 성취되기까지 너무나 오랜 기다림이 필요했다고 말씀드렸죠. 약속과 응답 그리고 이상과 현실의 그 간극 가운데 많은 이들이 괴로워해 왔다는 겁니다. 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나님의 진리가 이 세상 가운데 작동하는지 의심이 들 때가 많습니다. 그럴 때 필요한 것이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하나님의 말씀, 하나님의 토라를 묵상한다는 것은 진리대로 되어지지 않는 현실에 대한 질문을 가지고 하나님의 을 구하며 씨름하적극적인 행동라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토라를 즐거워 한다는 말은 말씀대로 되어지는 현실 앞에서 아멘으로 반응하는 태도를 말하는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즐거워하는 것과 묵상하는 것은 시적인 댓구를 이루고 있는 것이죠. 의문 투성이인 현실 안에서 하나님의 뜻을 발견하기 위해 말씀을 묵상하는 자들에게 하나님께서는 해답을 주시고 말씀을 성취시켜 주심으로 큰 기쁨을 주시는 것입니다.

왜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즐거워할 뿐 아니라 밤낮으로 묵상해야 합니까? 왜냐하면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이 진리임을 의심하는 순간, 우리는 악의 잠재적 동맹세력으로 전락되어버리기 때문입니다. 다른 말로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하지 않는 순간 하나님의 말씀이 진리인가 의심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가까이 해야 하는 것입니다. 성경을 읽으면 하나님의 다스림이 나의 내면에 느껴지기 시작합니다. 하나님의 살아계심을 느끼고 싶다면 성경을 읽고 묵상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이야기가 기록된 책인 성경에서 우리는 하나님이 이 세상을 다스려가는 원리를 읽고 내면화 시킬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다스림을 내면화시킨다는 말은 내가 스스로 하나님이 되지 않기로 작정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요셉이 보디발의 아내의 유혹을 뿌리 치고 도망하면서 감옥에 갇히는 이야기를 읽습니다. 그의 이야기 속에서 하나님이 그의 삶을 어떻게 드라이브해 가시는 지 우리는 보게 됩니다. 바보스러울 정도로 의로운 삶을 살기 위해 발버둥치는 그에게  여전히 현실은 어둡지만 하나님이 그의 삶을 어떤 식으로 형통하게 만들어주시는지 보게 됩니다. 우리는 그런 이야기를 통해 의로운 인생에 대한 잃어버렸던 상상력을 되찾게 되는 겁니다. 전능하신 하나님의 돌보심을 맛보고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우리 삶에도 적용해 보는 거죠. 하나님의 말씀을 읽지 않겠다는 사람은 내가 스스로 하나님이 되겠다는 뜻과 같습니다. 

 

4.

3절 말씀은 야웨의 토라를 즐거워하며 신음하는 사람을 시냇가에 심겨진 나무로 비유하고 있습니다. 의인은 시냇가에 심겨진 나무인데 악인은 바람에 흩날리는 쭉정이와 같다며 둘을 비교합니다. 어떤 이미지가 사용되고 있는지 보세요. 의인은 뿌리를 내려 흔들림이 없는데 악인은 이리 저리 바람이 부는대로 날아가버리는 쭉정이라는 겁니다. 의인은 열매를 실하게 맺고 알맹이로 가득한데 악인의 삶은 알맹이는 없고 겉만 뻔지르르한 쭉정이에 불과하다는 겁니다.

여기에 사용되는 시내는 히브리말에서 강이나 하천의 의미로 자주 사용되는 나하르Nahar’가 아닙니다. ‘펠레그Peleg’라는 단어인데 사막이나 광야를 지나며 흐르는 물길을 가리킵니다. 숲이나 초원으로 우거진 곳에 흐르는 강물이 아니라 사막이나 광야를 관통하는 시내인 거죠. 광야같이 거칠고 메마른 우리 인생길에 하나님의 말씀이 우리를 풍성하게 해준다는 겁니다. 인생은 여전히 혼란스럽고 문제 투성이인데 그 한가운데를 하나님의 강이 관통하며 나의 삶을 풍성하게 해주는 것입니다. 제가 2007년에 혼자서 중국의 신장 위구르 여행을 떠난 적이 있습니다. 그때 신장의 수도인 우루무치에서 서쪽 끝의 국경 도시인 카쉬카르까지 기차를 타고 이동한 적이 있습니다. 기차가 타클라마하칸 사막을 관통하여 지나가는데 그 사막 한 가운데로 시냇물이 흐러더라구요. 설산의 눈이 녹아서 흐르는 시냇물이었습니다. 다른 곳은 다 황량하고 삭막한데, 시내가 흐르는 물가에만 나무가 푸르르게 크고 있더라구요. 딱 그 시냇가에만 나무가 있었습니다. 이것이 펠레그입니다. 요셉처럼 하는 일마다 꼬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형통하게 하시는 하나님을 보게 되잖습니까? 야웨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 자의 삶이 이렇다는 겁니다.

 

6절 말씀을 우리가 마음으로 믿어야 합니다. “의인들의 길은 주님께서 인정하시지만, 악인의 길은 망할 것이다.” 이 말씀을 믿지 않는다면 우리의 신앙은 가짜입니다. 의롭게 살아가는 이들의 삶이 결국에 승리한다는 사실을 믿어야 합니다. 많은 신앙의 선진들이 암울한 현실을 보며 과연 말씀이 작동하는가 괴로워했습니다. 그럼에도 그들은 하나님의 말씀이 진리임을 믿고 끝까지 믿음을 져버리지 않았습니다. 때로는 시냇가에 심겨진 것이 의인이 아니라 악인들인 것처럼 보일 때도 있습니다. 악인들은 번성하기만 하고 하는 일마다 잘 되는 것만 같아 속상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그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하며 그 어려움을 헤쳐 나갔죠. 하나님의 율법이 작동하는가 라는 의심이 들기 때문에 오히려 하나님의 말씀을 신음하며 묵상하는 것입니다.

 

5.

시편 1편에서 흥미로운 사실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처음 1절에 사용된 복있는 사람  숫자가 단수로 되어 있습니다. 악인들, 죄인들, 오만한 자들은 모두 복수로 표현되어 있는 것과 대조를 이룹니다. 그런데 마지막 6절에는 의인들이라고 복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처음에 의로운 길이 좁고 협착하기에 다니는 사람이 드물고 의인 혼자 인 듯하죠. 하지만 시냇가에 외롭게 심겨진 나무가 이제 잎사귀가 마르지 않는 상록수숲을 이루는 것입니다. 그 숲의 나무들은 시절을 좇아 열매를 맺는 과실수들입니다. 척박한 이 땅에서 나 혼자 남았다고 불평하지 마십시오. 하나님께서 여러분들의 의로운 길을 인정하신다면 분명히 동역자들을 붙여 주실 것입니다. 그리고 열매 맺게 하실 겁니다.

 

오늘 말씀이 우리 삶에 의미하는 바를 깊이 묵상해 보십시오. 세상에는 여러 길들이 있어 보이지만 두 종류의 길 뿐입니다. 의로운 길 아니면 악한 길입니다. 의로워 보이지만 악한 이의 꾀와 충고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면 그 사람은 잠재적인 악인입니다. 잠재적인 악의 동조자일 뿐입니다. 중간지대 회색지대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여기서 정말 레디컬한 결단이 요구되어집니다. 하나님의 말씀대로 살 것인가 아니면 세상 사람들이 좇아가는 방식대로 내가 주인이 되는 삶을 살아갈 것인가 여러분은 결단하셔야 합니다.  말씀대로 살아간다는 것은 나의 주인이 내가 아니라 하나님이라고 인정하는 삶입니다. 예수 그리스도 앞에서 나를 포기하는 삶입니다. 나는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죽고 예수의 생명과 함께 부활한 새 생명을 살아가는 삶입니다. 시편 1편은 너무나 확신 있게 말합니다. 예수께 굴복한 삶, 예수께 나의 삶을 내어드린 삶이 너무나 행복한 삶이라구요. 이 결단과 commitment가 의인의 길로 들어서는 첫 관문입니다. 이 관문을 아직 통과하지 않으셨다면 여러분들은 불행하게도 악인의 길에 아직 머물고 계신 겁니다.

 

악의 위계질서는 끊임 없이 여러분들을 속일 겁니다. 적당히 의롭게 그리고 적당히 이기적으로 살아가도 아무 문제 없다구요. 그것이 악마가 사용한 가장 강력한 전략이라는 것을 이미 말씀드렸습니다. 신앙 생활은 적당히 하는 것이 아닙니다. 심겨진 나무는 이리 저리 옮겨 다니지 못합니다. 바람에 나는 쭉정이처럼 이길 저길 왔다 갔다 방황하지 않습니다. 예수그리스도에게 심겨진 인생이 되십시오. 흔들림 없이 말씀 속으로 뿌리를 내리십시오. 말씀의 양분을 빨아 먹으며 이제 자라가십시오. 의인들의 숲인 교회는 적당한 사교장소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이곳은 영적 전쟁의 전우들이 모이는 곳입니다. 악의 세력에게 빼앗겨 버린 이 세상을 다시 하나님께로 돌려드리기 위해 이 세상 속에서 치열하게 살아가는 영적인 전우들의 전우회가 바로 교회입니다. 진리대로 살아가는 것이 절대 손해 보는 삶이 아니라는 것을 우리는 교회에 모일 때마다 확인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일상에 돌아가셔서 여전히 여러 문제들과 씨름하겠지만 하나님의 말씀 속에서 신음하며 해답을 찾으십시오.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할 줄 모르신다면 그냥 읽기라도 하십시오. ‘나니아 연대기를 보면 옷장을 열어 그리 들어가니까 또 다른 세계가 열리는 것을 보잖습니까? 말씀을 읽고 묵상한다는 것은 하나님의 세계와 연결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말씀을 묵상할 때 하나님의 이야기 속에 우리가 포함되는 것입니다. 여러분에게 부탁드립니다. 공세적인(offensive) 의인이 되시고 공세적인(aggressive) 복 있는 사람이 되십시오. 악인들-죄인들- 오만한 자들이 만들어내는 카르텔을 붕괴시키는 영적 전사들이 되십시오. 그렇게 사는 사람들은 반드시 열매를 맺게 되어 있습니다. 그렇게 하나님을 위해 내 인생 전부를 걸고 악의 세력에 맞서는 사람들의 삶은 형통하게 되어 있습니다. 악인의 꾀를 요리 조리 피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오히려 악의 강력한 진영을 파하는 공세적인 의인의 삶을 살아가십시오. 그러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야웨의 말씀을 밤낮으로 묵상하며 즐거워하는 삶입니다. 여러분이 걸어가는 그 의로운 길 가운데 울창한 의인들의 상록수 숲이 만들어질 그 날을 소망하며 늘 진리에 머물기를 기뻐하시는 여러분 되시길 축복합니다.

 

Scripture: Psalms 1:1-6

Sermon Title: A Forest of People who are Righteous / Translated by Melody Lee

 

1.

I once climbed Mt. Jiri in August 2005. The plan was to hike Jirisan for three days and two nights with a friend and his younger brother. We were going to start from Nogodan and head to Cheonwangbong. However, on the second day of hiking, our group got lost. After wandering around for a while, it took us over 2 hours to get back on the correct trail. There are often signposts on mountain trails, but I got lost while following a ribbon that read ‘OOO Mountaineering Club’ rather than a signpost. I should have followed the signposts installed by the National Parks Office instead of the signs of the mountaineering club. It was then that I came to the realization that ‘to live life properly, I must choose the right path and follow the right signposts. We often liken life to a road. Is your life path a path with clear directions and clear signposts? What resources will give you wisdom and inspiration when your life is messed up and chaotic? What is the signpost that sets the direction of your life and gives you meaning and direction? I'm sorry to say the conclusion in advance, there is no signpost in life like the Bible. When life is difficult, I open Psalms. This is because the Psalms are written by seniors of faith who have gone through the same troubles and anguish as me. Since most of the psalms are songs of people with religious concerns, it is a very comforting word for those who are struggling.

 

First, let's take a quick look at the place Psalms occupy in the Old Testament and then go into today’s scripture. The Hebrew Bible is divided into three main parts. These are the Torah, called the 5 Books of Moses, the Neviim, the books of the prophets, and Ketuvim, the Holy Writings. In addition to Psalms, Job, and Proverbs, books such as Ruth, Song of Songs, and Chronicles are found in the Ketuvim. However, the Jews considered the Torah written by Moses to be the most holy book, followed by Neviim, the books of the prophets, and regard the Ketuvim as the lowest grade book. In today’s terms, Ketuvim is like a testimony. It is not like the other books where Moses or the prophets prophesied the Word of God. The Psalms are the sighs and supplications uttered in the midst of the problems that they are struggling with in their lives. In today’s terms, you can think of it as similar to a testimony broadcast like “Let it be Renewed.” It is a bit different from “Bible Essence” and “Bible School,” which directly lecture on the Word of God. If you just watch “Let it be Renewed” when your heart is tired, you can feel that God is alive. You will find new hope. The Psalms are just like this. If the sermon in Christian worship is a direct way to hear the word of God, the representative prayer is the word of God heard through the inspiration of the saints. So, if the Torah is a sermon, the Psalms are a representative prayer. Through Ketuvim, such as the Psalms, we can learn how to live wisely in a life full of hardships and chaos.

 

2.

The theme in Psalm 1 is the same theme as all 150 psalms. Psalm 1 is a six-line summary of the 150 psalms. Psalm 1 wants to tell us how to live a blessed life. It tells us which path to choose among the many paths in life and with what attitude we should live to have a blessed and happy life. Among the many signposts, which signposts will you live by? It's like giving you a choice. Like most of the 150 psalms, Psalm 1 presents the choice with black and white logic. There are many signposts to live like this or live like that, but there are only two types. It is either the path of the righteous or the path of the wicked. There is no middle ground. Most people then have an identity confusion. I don't think I'm a righteous person, and I don't think I'm a wicked person either. Then what is it? I'm sure there are some of you who have this kind of confusion. Black and white logic is either black or white. You may say that there is gray, but in Psalm 1, all gray is classified as black.

 

In verse 1, the Hebrew words used to classify the wicked into three classes are different. It is interesting to look at the verbs used for each of the wicked ones in this classification. Walk, stand, sit, are in a specific order. Which movement seems the most stable? At a loss, one wonders whether to follow the tricks of the wicked, but in the end they end up on that path. They progress step by step from standing up to sitting down. Arrogant people are quite confident compared to the wicked and sinners. It can be seen as the greatest villain with confidence and stability in the evil path he is taking. Even in Hebrew, the meaning of arrogant has the meaning of 'one who mocks'. It means that you are laughing at God. In contrast, ‘losh’  or the plural form ‘lesheim’ translates as sinner and means a weak person, a wrong person, and a bad person. Hebrew word ‘Azat’, translated as ‘the cunning of the wicked’, is translated into words such as ‘advise, counsel, and prudence’. These people are tempted, but confused, with ears open to evil schemes. It can be seen as an innocent sinner. These are people who have an open ear to bad advice and are ready to receive it. They are people who read the newspaper and curse those who commit evil deeds, but in their hearts they think that it would not be bad for them to live like that when the opportunity comes. There is a book called 'The Screwtape Letters' by C. S. Lewis. This is a letter in the form of a letter from Uncle, a senior in the demon world, to his nephew, the demon Wormwood. The Uncle Devil sends his nephew, a new salesman, a letter full of tender instructions and advice on how to seduce and destroy Christians. There, the biggest strategy of the devils is introduced. “Don't make the people of the world typical evil people. Then the righteous will see it and rise up. Which villain is best to create? Make a lot of bad guys who look like good people and plant them all over society,” kindly explains to Wormwood. It means to create wicked people who worry about being righteous as if they were righteous but actually keep their ears open to the advice of the wicked. No matter how progressive media you read, such as the New York Times, all those who do not actively enjoy the life of the righteous are classified as this first person.

 

The second stage of sinners are those who have gone one step further and entered the sinner's way. These sinners are one step ahead of the wicked who follow their cunning. Standing on the road means no more wandering. They are sinners who have orientated themselves on the path of their own choosing. For such people, the narrow road, the thorny road, is just disgusting. Even if their own path is not the path of life but the path to hell, many people are on it, so they are the ones who are determined to follow it. It is much more difficult to bring these people back than to devious wicked people.

 

The sinners who go one step further than these sinners are the arrogant ones. They are sinners who have been sitting in their seats. If you compare it to a gang, this type of sinner would be the boss. Bosses do not stand and work, but sit and rule the organization. He is the leader who sits on the throne and rules like a king. The destructive power of the arrogant is huge. When President Putin sits in the seat of the arrogant, he fires missiles at good citizens. That's so demonic. People like Hideyoshi Toyotomi in the Joseon Dynasty and Hirobumi Ito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re such people. They have no qualms about slaughtering peaceful people. They are arrogant people who don't have a twinge of conscience even though they rob an entire country. The world of evil consists of a complete hierarchy. There are principalities, powers, and heavenly rulers who rule over sinners and wicked people and exercise royal rule. If we do not keep our minds upright and lead a life of faith, it is easy for us to live in sympathy with the forces of evil. Fighting and colliding with the hierarchy of evil in the Bible is called spiritual warfare. This is Ephesians 6:12. “For our struggle is not against flesh and blood, but against the rulers, against the authorities, against the powers of this dark world and against the spiritual forces of evil in the heavenly realms”. The apostle Paul tells us how fierce the war against evil is and requires a high degree of spiritual energy. The reason this fight is so fierce is that the forces of evil are organized in a thoroughly hierarchical order.

 

3.

In the words of Ephesians 6, in order to win the spiritual war, it advises us to fight against the forces of evil after equipping ourselves with armed tools. Helmets, armor, boots, belts, and shields are all defensive tools. However, the only offensive weapon given to Christians is the Word, the double-edged sword of the Holy Spirit. The Word of God is an offensive weapon that inflicts great damage on the forces of evil. The hierarchy of evil can be weakened so easily by a small voice of truth. Because the hierarchy is a false hierarchy. We must know how great a blow the voice of truth is to the forces of evil when it is delivered to them. So, the author of Psalm 1 tells us to meditate on Yahweh's Torah, the word of truth, night and day.

 

No matter how strong the advice of the wicked is, it is of no power to those who meditate on the Word of God day and night. The words rejoice and meditate form a poetic couplet. The word to meditate is ‘Hagah’ in Hebrew. There are three types of examples of Hagah. First, it means to meditate. The second meaning is translated as recite read aloud in Psalm 63:6, Hagah is the act of reading aloud and reciting over and over again. It is a word that expresses the will to stay in the Word. The third meaning is an example from Isaiah 31:4. In the words “the young lion roaring on his prey,” the word ‘roaring’ is Hagah. Like lions, cats bite their prey and make a noise when approached. That's how they express the joy that can't be missed because they enjoy feeding. Hagah is a word that expresses the meaning of enjoying and rejoicing in the Word.

 

To meditate refers to the act of trying to remember God while grunting and groaning. Like the prophet Habakkuk, many prophets of the Old Testament lamented the reality of a world that did not return to God's truth. Abraham also received God's promise, but he said that he needed to wait for a very long time for it to be fulfilled. In the midst of the gap between promises and answers and ideals and reality, many people have suffered. Similar to us. There are many times when we doubt whether God's truth is working in this world. What we need at such times is the Word of God. Meditating on God's Word and God's Torah can be said to be an active action to seek God's will and wrestle with questions about the reality that does not turn out according to the truth.

 

To enjoy the Torah of God is to say the attitude of responding with “Amen” in front of the reality that comes true according to the Word.  In that sense, rejoicing and meditating form a poetic dialogue.  To those who meditate on the Word to discover God's will in a reality full of questions, God gives great joy by giving answers and fulfilling the Word.

 

Why should Christians not only rejoice in the Word of God but also meditate on it day and night? Because the moment we doubt the truth of God's Word, we become potential allies of evil. In other words, the moment you don't meditate on the word of God, you begin to doubt whether the word of God is the truth. That is why Christians must keep close to the Word of God. When I read the Bible, I begin to feel the reign of God within me. If you want to feel that God is alive, you must read and meditate on the Bible. In the Bible, the book of God's story, we can read and internalize the principles by which God governs the world. Internalizing God's rule also means that I choose not to be God myself.

 

For example, we read the story of Joseph being imprisoned after fleeing from Potiphar's wife. In his story, we see how God drives his life. To him who struggles to live a righteous life to the point of stupidity, the reality is still dark, but we see how God makes his life prosperous. Through such stories, we can regain our lost imagination of a righteous life. As we read the stories of people who have tasted the care of Almighty God and live, we apply them to our lives. A person who refuses to read the word of God is the same as saying that he wants to become God himself.

 

4.

Verse 3 compares a person who rejoices in Yahweh's Torah to a tree planted by streams of water. The righteous are like trees planted by streams, but the wicked are like chaff blown away by the wind. See which images are being used. The righteous are rooted and unshakable, but the wicked are chaff that blows away as the wind blows. The righteous bear fruit abundantly and are full of fruit, but the life of the wicked has no grain and is nothing more than chaff.

 

The 'stream' used here is not the 'nahar' used in the meaning of a river in Hebrew. The word 'Peleg' refers to a waterway that flows through a desert or wilderness. It is not a river flowing through forests or grasslands, but a stream running through a desert or wilderness. It means that the word of God enriches us in our life, which is as rough and dry as the wilderness. Life is still chaotic and full of problems, but the river of God penetrates the middle and enriches my life. I went on a trip to Xinjiang Uyghur in China alone in 2007. At that time, I took a train from Urumqi, the capital of Xinjiang, to Kashkar, a border city in the far west. A train runs through the Taklamakan desert, and a stream flows in the middle of the desert. It was a stream that melted and flowed from the mountains. All other places are desolate, but trees are growing green only at the waterside where the stream flows. This is Peleg. Like Joseph, everything he does seems to be twisted, but in the end, don't you see God who makes it prosperous? This is the life of those who meditate on Yahweh's law day and night.

 

We must believe the words of verse 6 with our hearts. “For the Lord watches over the way of the righteous, but the way of the wicked leads to destruction.” If we do not believe this word, our faith is fake. We must believe that the lives of those who live righteously will win in the end. Many forefathers of faith looked at the depressing reality and struggled with whether the Word is working. Even so, they believed that the Word of God was the truth and did not lose their faith until the end. Sometimes it seems that it is not the righteous but the wicked who are planted by the stream. They were disappointed when it seemed only the wicked prosper. However, they meditated on God's Word and overcame the difficulty. Because we have doubts as to whether God's law is working, we meditate on the Word of God.

 

5.

There is one interesting fact in Psalm 1, which is that the number of 'blessed people' used in the first verse is singular. The wicked, the sinners, and the arrogant all stand in contrast to being expressed in the plural. However, in the last verse 6, the plural is used as righteous. At first, the righteous path is narrow and narrow, so few people walk it, and it seems like the righteous are alone. However, the lonely tree planted by the stream is now forming an evergreen forest that does not lose its leaves. The trees of the forest are fruit-bearing trees that bear fruit according to the season. Don't complain that I'm left alone in this barren land. If God acknowledges your righteous path, he will surely attach and add co-workers to you.

 

Meditate deeply on what today's words mean for our lives. It seems that there are many roads in the world, but there are only two kinds of roads. It is either the righteous way or the evil way. If you look righteous but listen to the tricks and advice of the wicked, that person is a potential wicked person. He's just a potential sympathizer for evil. The middle ground, the gray area, doesn't exist. A really radical decision is required here. You must decide whether to live according to the Word of God or to live a life in which you are the owner, following the way the people of the world follow. Living according to the Word is a life of acknowledging that my master is not me but God. It is a life that gives up on me in front of Jesus Christ. I die on the cross with Jesus and live a new life resurrected with Jesus' life. Psalm 1 speaks so confidently. The life of surrendering to Jesus, the life of surrendering my life to Jesus, is a very happy life. This determination and commitment is the first gateway to entering the path of the righteous. If you have not yet passed this gateway, you are unfortunately still on the path of the wicked.

 

The hierarchy of evil will continue to deceive you. There is nothing wrong with living moderately righteously and moderately selfishly. I have already said that it is the most powerful strategy the devil has ever used. Living a life of faith is not moderate. Planted trees cannot move around. The wind does not wander from one road to another like chaff. Become a life planted in Jesus Christ. Be rooted in the Word without wavering. Grow now by sucking in the nourishment of the Word. The church, the forest of the righteous, is more than an appropriate social space. This is where the comrades in spiritual warfare gather. The church is a fellowship of spiritual comrades who live fiercely in this world in order to return this world, which has been taken away by the forces of evil, to God. We must be confirmed every time we gather in church that living by the truth is never a life of loss.

 

And when you return to your daily life, you will still struggle with many problems, but call out and find answers in the Word of God. If you don't know how to meditate on God's Word, just read it. If you watch 'The Chronicles of Narnia', you open the closet and then you see another world open, don't you? Reading and meditating on the Word is connecting with the world of God. When we meditate on the Word, we are included in God's story. I ask you all. Be an offensive righteous person and an aggressively blessed person. Become spiritual warriors to bring down the cartel created by the wicked - the sinners - the arrogant. Those who live like that are bound to bear fruit. In this way, the lives of those who risk their entire lives for God and stand up against the forces of evil are destined to prosper. Go beyond the stage of avoiding the tricks of the wicked, and rather live the life of an aggressive righteous man who destroys the powerful camp of evil. I hope for the day when a dense evergreen forest of righteous people will be created in the midst of the righteous path you are walking.

Posted by speramus

예배가 갖는 의미는 다양하지만 하나님 아버지와 예수님 그리고 성령님께서 행하신 구원의 사건을 재현하여 기념하는 것으로서의 의미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성경에서 하나님의 구원 행위는 하나님께서 먼저 다가오심으로 시작되었습니다. 구약에서 가장 구원의 사건은 출애굽이었고 신약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이었습니다. 모두가 하나님 편에서 먼저 적극적으로 다가오신 구원행위였죠. 예배는 우리를 구원하시기 위한 하나님의 구원사건에 대한 재현이자 증거이며 하나님의 자기 계시에 대한 반응입니다. 그러니까 하나님은 항상 인간보다 먼저 예배를 시작하십니다. 하나님이 다가오시며 은총의 도구들을 통해 자기를 나타내실 인간은 그것에 반응하여 하나님을 높이고 기념하는 것이 예배인 것이죠. 이스라엘 백성들은 시간의 순환 가운데 어떤 시간들을 거룩하게 지킴으로 그들의 조상들 가운데 행하셨던 하나님의 구원의 행위들을 기념하곤 했습니다. 유월절, 초막절, 칠칠절은 이스라엘의 가장 삼대 절기인데 모두 그들의 조상들 가운데 행하셨던 하나님의 구원을 기념하는 절기였습니다. 그들은 이런 절기에 성례전적 행동과 행위들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 행위를 구체적으로 자신들의 가운데 재현하고 실행했습니다. 예를들어 유월절에는 쓴나물과 누룩이 없는 빵을 먹으며 식사를 했고, 장막절에는 텐트를 치고 생활하면서 조상들의 광야 생활을 재현하기도 했죠. 이스라엘의 예배 의식에서 식사가 차지하는 역할은 상당했습니다. 특히 제사중에 화목제사는 공동체가 함께 식탁의 교제를 나누도록 고안된 특별한 제사였습니다. 감사와 서원의 제목을 가진 사람이 드린 가축 제물의 먹지 못하는 장기들을 태우고 남은 고기를 모든 공동체 구성원들이 함께 나누어 먹는 제사 방식이 화목제였습니다. 예수님은 자신의 희생이 바로 화목제물로 드려진 것이라고 말씀하셨죠.

  오늘의 예배에도 이런 구원 행위들에 대한 기념은 여러 성례전적인 예식들을 통해 재현되고 있습니다.  성만찬이 대표적인 예이죠. 성만찬은 화목제물로 드려진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을 재현하는 은총의 도구입니다. 우리는 거룩한 식사를 통해 예수님의 희생을 기념하고 성도간의 화목한 교제를 추구합니다. 1세기 교회 성도들의 예배에서 그리스도의 희생을 기념하고 교회됨을 확인하는 있어 식사가 차지하는 부분은 절대적이었습니다. 그들은 집에서 가장 공적인 공간이었던 식당이나 아트리움()에서 모였고  모일 때마다 예수그리스도의 죽으심을 빵과 포도주의 나눔을 통해 기념하였죠. 식탁교제야말로 기독교 예배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있습니다. 유대인들이 그랬고 초기교회 성도들이 그랬듯이 우리는 거룩한 식사를 통해 그리스도의 구원을 재현하며 기념하게 됩니다. 거룩한 식사(성만찬) 우리의 믿음 생활의 귀한 양식임에 틀림없습니다.

Posted by speramus

본문: 요한147-11

제목: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What men live by)

 

 

1.     시몬과 미하일의 만남

 

  구두장이(shoemaker) 시몬은 어느 농부집에 세 들어 살고 있었어요. 시몬(Semyon)은 구두를 만들 양피를 사러 갔다 오는 길에 그동안 구두를 수선해준 농부에게 외상값을 받으러 갔어요. 하지만 한 푼도 받지 못하자 홧김에 술을 마시고 얼큰하게 취한 채 집에 가던 길이었어요. 그런데 길 모퉁이 교회 앞에서 벌거벗은 채 길가에 쓰러져 있는 한 남자를 보았어요. 너그러운 시몬은 얼어 죽을 것이 분명한 남자를 지나치지 못하고, 자신의 외투를 입히고 집으로 같이 돌아갔어요. 시몬의 아내 마트료나(Matryona)는 그런 시몬에게 화가 나서 온갖 욕설을 퍼부었어요. 그러다 시몬이 '마트료나, 당신의 마음에는 하나님도 없소?"하는 말을 하자, 그녀는 마음이 누그러져 잠자리를 제공하고 입을 옷도 내주었어요. 하나님께 벌을 받고 있는 중이라는 그 남자의 이름은 미하일(Mikhail)이었어요.

 

2.     신사와의 만남

 

  시몬은 미하일에게 "자네가 우리와 같이 살려면 일을 해야 하네."라고 말했어요. 미하일은 ". 어떤 일이든지 하겠습니다."라고 말하며 구두 수선일을 배웠답니다.  놀랍게도 초보자 미하일이 숙련된 시몬보다 더 일을 잘했어요. 머리가 영리해서 시범을 보이기만 했는데도 따라하는 것이었어요. 미하일의 소문이 퍼지자 시몬은 많은 돈을 벌게 되고 형편은 나아졌죠. 어느 날 신사 한 명이 비싼 가죽을 건내며 오만한 말투로 일년을 신어도 터지지 않는 구두를 만들어 달라고 명령했어요. 시몬이 비싼 가죽을 보면서 혹시 일이 잘못 되면 어쩌나 하고 망설이고 있을 때, 미하일은 그 주문을 받았어요. 그런데 미하일은 주문대로 구두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슬리퍼를 만들었어요. 시몬이 화가 나서 “왜 구두 대신 슬리퍼를 만들어?” 라며 따지려는데 신사의 하인이 들어왔어요. 주인 어른이 집에 가던 중 마차에서 죽었다며 장례식을 위해 슬리퍼를 만들어 달라고 했어요. 시몬은 그걸 알기라도 한 듯이 슬리퍼를 이미 만든 거예요.

 

3.     두 아이와의 만남

 

  세월이 흘러 6년의 시간이 흐르고 미하일은 변함없이 시몬의 가게에서 일을 했죠. 어느 날 한 부인이 쌍둥이 여자아이들의 구두를 주문했어요. 시몬이 부인에게 이 아이들은 어떤 아이냐고 묻자 여인이 대답했어요. 6년전 두 아이의 부모가 죽었어요. 아버지는 아이가 태어나기 전에 죽고 어머니는 아이를 낳다가 죽었답니다. 나는 이 아이들의 이웃에 살고 있었는데 태어난 지 8개월 된 아들이 있었지요. 그래서 임시로 그 두 아이들을 맡아 길렀답니다. 그런데 내 아들이 일찍 죽고 말았어요. 다행히 저의 방앗간 사업이 잘 되어 나는 이 아이들을 내 아이처럼 사랑하며 소중히 지금까지 키워오고 있답니다.” 이 말을 들은 마트료나는 "부모 없이는 살아도 하나님 없이는 살 수 없어요"라고 말했죠.

 

4.     천사 미하일

 

그 순간 방 안이 밝아지며 미하일이 천사로 변했어요. 그 모습을 본 시몬은 두려워 하며 물었어요. "자네가 우리 집에 왔을 때 세 번 웃었는데 왜 웃었는지, 하나님이 왜 자네에게 벌을 주셨는지 말해주게"라고 했어요. 미하일이 말했어요. 6년전 하나님이 한 영혼을 데려 오라고 명령하셔서 세상에 내려왔어요. 이제 태어난 쌍둥이 아이들이 죽게 될 거라는 명령을 가지고 아이 엄마에게 갔죠. 그런데 아이 엄마가 애원하자 저는 마음이 약해졌어요. 저는 그냥 하나님께 돌아갔고 명령을 지킬 수 없다고 했죠. 그러자 하나님은 저에게 "아기 엄마의 영혼을 데려오면, 세 가지 질문을 알 수 있을 거라 하셨어요.

‘사람의 마음속에는 무엇이 있는가? 사람에게 주어지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하나님은 이 세가지의 질문의 뜻을 알게 될 것"이라고 하셨어요. 그러면서 답을 찾을 때 까지 사람들에게 가 있으라 명령하셨지요. 그래서 땅으로 내려온 저는 알몸뚱이로 차가운 길바닥에서 웅크리고 있었지요. 시몬, 당신이 죽어가던  나를 발견했지요. 시몬과 마트료나가 저를 대접하는 것을 보고, 사람의 마음 속에는 하나님의 사랑이 있음을 깨달았죠. 첫 번째 질문에 대한 답을 그때 얻게 된 거예요. 그리고 멋진 신사가 일년을 신어도 끄떡없는 구두를 주문했지만 그가 곧 죽을 것을 저는 이미 알고 있었죠. 그렇게 해서 사람에게 주어지지 않는 것이 무엇인지 두번째 질문에 대한 답을 알게 되었어요. 사람에게 주어지지 않는 것은 ‘자신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알 수 없다는 것이었어요. 엄마를 잃은 아이들을 사랑으로 키우는 사람을 보고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라는 세 번째 질문의 답을 알게 되었어요. 사람은 사랑으로 산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지요.

 

모든 사람은 그들 자신의 행복을 위한 생각으로 살아가는 것 같지만, 실은 사람에게 존재하는 사랑때문에 사는 거예요. 비록 그들이 자신을 위한 걱정으로 사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그들이 사랑에 의해서만 산다는 것을 이제 이해했어요. 사랑이 있는 사람은 하나님 안에 있고, 하나님은 그 사람 안에 있습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기 때문이지요.

그 말을 마치고 미하일은 하늘로 돌아갔어요.

 

5.     자신의 아들을 화목제물(fellowship offering)로 드린 하나님의 사랑

  이 이야기는 러시아의 작가 레오 톨스토이(Leo Tolstoy) 1884년에 쓴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What men live by?)”라는 제목의 소설입니다. 이 소설에서 사람은 무엇으로 산다구요? 사랑으로 삽니다. 요한 1 4 7-8절은 우리에게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사랑하는 여러분, 서로 사랑합시다. 사랑은 하나님에게서 난 것입니다. 사랑하는 사람은 다 하나님에게서 났고, 하나님을 압니다. 사랑하지 않는 사람은 하나님을 알지 못합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기 때문입니다.”

이 말씀은 분명하게 얘기해 주고 있어요. 사랑하는 사람만이 하나님의 사랑을 알 수 있다구요. 왜 사랑하는 사람만 하나님을 알 수 있습니까? 그것은 하나님이 사랑이시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이 사랑이시기 때문에 사랑을 실천하는 사람은 하나님의 마음을 알게 되는 것입니다.

 

로마서 120절 말씀은 이렇게 말합니다. “이 세상 창조 때로부터, 하나님의 보이지 않는 속성, 곧 그분의 영원하신 능력과 신성은, 사람이 그 지으신 만물을 보고서 깨닫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핑계를 댈 수가 없습니다.”

하나님은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혹시 하나님을 보신 분 있으신가요? 손 한 번 들어보세요. 하나님은 숨어 계신 분이예요. 하나님이 인간하고 숨바꼭질 놀이를 하고 계신 거예요. 하나님은 이 세상을 창조하시고 이 세상을 인간에게 맡기셨어요. 인간에게 자유를 무한대로 주시기 위해서 하나님은 자신이 창조하신 세상 속에 숨어 계시기로 한 거예요. 하나님의 성품이 창조물 안에 새겨져 있습니다. 세상은 그분의 성품대로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이 세상 만물을 통해 하나님을 더듬어 찾을 수가 있습니다. 세상에 많은 고등종교(High Religions)들이 하나님은 이런 분이라고 더듬어 찾았는데 그 진리들이 거의 비슷합니다. 사람들이 찾아낸 보편적인 하나님에 대한 지식이 우리 기독교가 찾아낸 하나님의 대한 지식과 거의 같다는 이야기입니다. 그 보편적 지식이란 바로 사랑입니다. 세상의 많은 고등종교가 하나님을 인자와 사랑이 많은 분으로 이해했어요. 불교에서는 하나님이라는 말은 쓰지 않지만 우주의 궁극적인 진리가 자비라고 이해하고 있어요. 유교에서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케릭터가 사랑인데 그것을 인()이라고 불렀죠. 우주의 궁극적인 진리가 폭력이나 악이라고 이해하는 고등종교는 없습니다. 그 이유는 하나님의 가장 큰 성품인 사랑이 세상 속에 녹아 있기 때문이죠.

 

이 세상 모든 것이 사라져도 사랑은 없어지지 않는다고 고린도전서 13장 말씀에는 얘기해 줍니다. “사랑은 없어지지 않습니다. 그러나 예언도 사라지고, 방언도 그치고, 지식도 사라집니다.” 왜 사랑이 사라지지 않습니까? 사랑은 이 우주의 핵심 진리이기 때문입니다. 우주의 핵심 진리는 바로 하나님이시죠. 그러니까 하나님이 사랑이시고 하나님은 사라지시지 않기 때문에 사랑은 사라지지 않는 것입니다.

여러분 우리가 사랑하며 산다는 것은 하나님을 추구하며 산다는 뜻입니다. 사랑하는 자만이 하나님을 알 수 있습니다. 사랑하는 사람만이 하나님의 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저는 우리 아이들이 지식이 많은 사람이 되는 것보다 사랑 많은 사람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재산을 많이 소유하는 사람보다 사랑을 많이 소유한 자녀들로 자라주면 좋겠습니다. 세상의 모든 진리는 사랑 안에 녹아 있기 때문입니다.

 

요한은 하나님이 사랑이 무엇인지를 나타내기 위해 자신의 하나뿐인 아들을 이 땅에 보내시어 우리 죄를 위하여 화목제물이 되게 하셨다고 말합니다. 그는 이것보다 더 큰 사랑은 없다고 말하고 있죠. 화목제사가 어떤 제사길래 하나님의 사랑이 그 안에 숨겨져 있는 것일까요? 사람들이 감사나 서원할 제목이 있으면 소나 양같은 짐승을 잡아 제사장에게 갑니다. 그러면 제사장은 짐승의 일부만 태워서 하나님께 드리고 나서 나머지 고기를 제물을 바친 사람에게 줍니다. 그러면 그 사람은 동네 사람들과 고기를 나눠 먹어야 했습니다. 화목제로 드린 소나 양의 고기는 그날 다 먹어 치워야 하는 게 법이었어요. 소 한 마리를 한 가정이 하루에 다 먹어치우는 게 가능할까요? 절대 불가능합니다. 이걸 하루에 다 먹으려면 이웃 사람들을 초청해야만 가능합니다. 그래서 화목제 제사가 드려지는 날에는 동네 잔치가 벌여지는 것입니다.  화목제는 자기 이웃들을 초청하여 제사를 드린 고기를 서로 나눠 먹는 제사방법입니다. 이웃들과 고기를 먹고 나눔으로 화목한 관계를 유지하라는 목적이 화목제의 첫째 목적입니다. 화목제의 다른 목적은 가난하고 소외된 이웃들, 먹고 살기 힘든 이웃들이 화목제를 통해 고기맛을 보기를 원하시는 가난한 자들을 향한 하나님의 자비가 의도된 제사방법이었어요.

 

그렇다면 하나님이 자신의 아들을 화목제물로 드린 것 안에 하나님의 사랑이 담겨있다는 뜻이 무엇일까요?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서 희생당하신 것은 사람과 하나님을 화목하게 할 뿐아니라 사람들끼리도 화목하게 하기 위한 목적이었어요. 많은 사람들이 예수님처럼 자신의 것을 나누는 삶의 태도로 살아간다면 화목한 세상이 만들어질 것을 하나님은 아신 거예요. 나만 잘 먹고 잘 사는 인생이 아니라 함께 나누며 살아가는 세상이 바로 하나님이 바라시는 세상이라는 겁니다. 죄가 없으신 예수님이 다른 사람의 죄를 지신 것처럼 나도 남의 짐을 대신 지는 삶의 태도로 살아가는 삶을 주님은 원하세요. 저 사람이 나에게 해준 것이 하나도 없더라도 나에게 소중한 고기를 나눠주는 따뜻한 마음이예요. 내 것을 나누고 불쌍한 사람들을 돕는 이 따뜻한 사랑은 하나님이 우리 인간에게 주신 마지막 남은 희망이 될 것입니다.

 

사람은 무엇으로 사나요? 이 질문의 정답은 바로 사랑입니다.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우리들로 인해 세상이 하나님을 알아가면 좋겠습니다. 사랑하는 친구들이여 우리가 서로 사랑합시다. 왜냐면 사랑은 하나님께로부터 온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처럼 자신의 가장 귀한 것들을 이웃들과 나누는 그런 아름다운 어린이들이 되시길 축복합니다. 시몬처럼 마트료나처럼 다른 사람을 위해 나의 공간을 내어줄 줄 아는 그런 사랑의 사람들이 되시길 예수님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

Scripture: 1 John 4:7-11

Sermon: What Men Lives By? / Translated by Ji-Han Park

 

1.     Meeting of Semyon and Mikhail

 

Semyon the shoemaker lived in a farmer’s house whom he rented a room from. He

went to the store to buy sheepskin, and on the way home, went to collect money from

the farmer, whom he often repaired shoes for. But Semyon did not receive even a penny

from the farmer, and became drunk and filled with rage. On his way home, he saw a

naked man lying on the corner of the street, in front of the church, freezing. Generous

Semyon could not pass a man who was freezing to death, so he put his coat on him and

took him to his home. Semyon’s wife Matryona became angry and cursed at him. But

Semyon replied, “Matryona, is there no God in your heart?” She relented and offered

the freezing man a bed and clothes. The name of the freezing man was Mikhail, and he

was being punished by God outside the church.

 

2. Encounter with the Gentleman

Semyon said to Mikhail, "You have to work if you want to live with us." Mikhail said,

"Yes, I'll do anything,” and learned to mend shoes. Surprisingly, the beginner Mikhail

was a better worker than the skillful Semyon. Mikhail was smart, and was able to copy

Semyon’s techniques even from basic demonstrations. The rumor spread of Mikhail’s

talent, and Semyon was able to make a lot of money and improve his living situation.

One day, a gentleman ordered him to make shoes that would not burst even after a year

of wearing them. While Semyon was looking at the expensive leather and wondering

what would happen if he messed up, Mikhail began working on that order. But Mikhail

messed up the order and made sandals instead of shoes. Semyon angrily asked him,

“Why did you make sandals instead of shoes?” While he was yelling the gentleman’s

servant came in, saying that the gentleman had died in his carriage on the way home,

and to make sandals instead of shoes.

 

3. Meeting with two children

Six years passed, and Mikhail continued to work at Semyon's shop. One day a woman

ordered shoes for her twin girls. Semyon When I asked what kind of children they were,

the woman answered. “Six years ago, the parents of the children died. The father died

 

before the children were born and the mother died while giving birth. I was their

neighbor and had an 8 month old son of my own, so I adopted these children.

Unfortunately, my son died early, but my mill business grew successful, and I was able

to love and cherish these girls as if they were my own. Upon hearing this, Matryona

said, “Even if you can live without parents, you can’t live without God.”

 

4. Angel Mikhail

At that moment, the room lit up and Mikhail became an angel. Seeing this, Semyon

asked in fear, “You laughed three times when you came to my house, why did you

laugh?

Tell me why God punished you.” Mikhail said, “Six years ago God commanded me to

bring a soul to him. I went to the mother of the child who I was supposed to bring to

Him. But she begged me not to take him, and my heart weakened. I returned to God

saying that I couldn’t keep his command. God told me, ‘If you bring the child’s mother

instead, you will know 3 questions.’”

‘What is in a person’s heart? What is not given to people? What do people live for? You

will know the meaning behind these questions.” God said. Until then, Mikhail was told to

live among the people. “That is why he was curled up naked on the cold street,” he said.

“Semyon, you found me while I was dying. Under Matryona’s and your hospitality, I

learned that inside people is God’s love. That’s when I got my first question answered.

Next, a nice gentleman ordered a pair of shoes that could last a year but I knew he was

going to die soon. And so I knew the answer to the second question of what is not given

to man. What is not given to people is that they themselves do not know what they

need. The third answer of ‘what do people live for’ was answered by the mother who

lost her son. People live to love.

Everyone seems to live with thoughts of their own happiness, but in reality people live

because of the love that exists. Despite people seeming to live as if worrying about

themselves, they are in fact living out of love. People that love are living within God, and

God is living within them, because God is love.

With that, Mikhail returned to the heavens.

 

5. God's love for us by giving his Son as a fellowship offering

This story is based on the Russian writer Leo Tolstoy, who wrote the novel “what men

live by” in 1884. What do people live by? Love. 1 John 4:7-8 says, “Dear friends, let us

love one another, for love comes from God. Everyone who loves has been born of God

and knows God. Whoever does not love does not know God, because God is love.”

These verses tell us clearly. Only those who love can know God’s love. Why is this?

Because God is love. So only those who practice love can seek God’s heart and find it.

Romans 1:20 says, “For since the creation of the world God’s invisible qualities—his

eternal power and divine nature—have been clearly seen, being understood from what

has been made, so that people are without excuse.”

God is invisible. Has anyone ever seen God? God is hidden. God plays hide and seek

with humans. God created this world and entrusted it to man. He chose to hide in a

world he created with his own hands, in order to give complete and unrestricted

freedom to humans. God’s character is engraved into creation because he created it.

People cannot find God through only things in this world. But many high religions look

for a God and find almost identical beings. The universal being is based around love.

Many of the world’s higher religions believe that God is loving and merciful. For

example, Buddhism does not use the word God, but the ultimate truth is mercy. In

Confucianism, the most basic human character is love, but it is called benevolence.

There is no higher religion in which the ultimate truth is violence or evil. That is because

the greatest part of God is love, and it is embedded into his creation, the world.

1 Corinthians 13 says that even if everything in this world disappears, “love” does not

disappear. “Love never fades. But the prophecies are gone, the tongues have ceased,

Knowledge also disappears.” Why doesn't love go away? Love is the substantial truth of the

universe. The substantial truth of the universe is God. So God is love. Love never fades

because God never fades away. When people live in love, it means we live in the

pursuit of God. Only those who love can know God. Only those who love can know

God’s heart. I would rather have my children turning out to be loving people than

successful and knowledgeable people. All the ultimate truths in the world are within

love.

 

John said that God sent his one and only son to the earth to show his love for us, as a

sacrifice for the fellowship offering for our sins. There is no greater love than this. What

is a fellowship offering? Is it because the sacrifice has God’s love hidden within? People

used to make sacrifices by slaughtering an animal so that the priest could burn part of

the animal and offer it to God. The rest of the animal (the meat) was given back to the

people so that they could share with their neighbors. It was a law to eat all the meat that

was offered as a fellowship offering that day. Was it possible for one family to eat a

whole cow in one day? No. That’s why they shared it with their neighbors. So on the day

of the fellowship offering, a neighborhood feast is held. The person who held the fellowship

offering invites his neighbors, sharing the meat and joy. The main purpose of the fellowship

offering is to maintain a harmonious relationship with the neighbors. Another purpose is

to pray and let the poor and underprivileged neighbors - those who struggled to make

ends meet - can taste the meat through the offering. The fellowship offering was a sacrifice

method intended to show God’s mercy toward the poor.

What does it mean that God sent his son as a fellowsip offering? It means that the

sacrifice of Jesus Christ was a peace offering for many people. God knew that if people

lived their life like Jesus with an attitude of willingness and sharing with others then it

would become a harmonious world. God wants a world where not just I eat well and live

well, but where we share our successes and fortunes. Just as the sinless Jesus bore

the sins of others, I also live with the attitude of bearing the burdens of others. Even if

my neighbors have done nothing for me, I will treat them as if they have shared the

meat of their offering with me. God’s final hope that he has given to us is that we will

treat and share with others, even the unfortunate, our love and fortunes.

What do people live for? The answer is love. I hope the world will get to know God

through our actions, as we love God and also love our neighbors. Loving Friends, let us

love each other. Because love first came from God. God wishes for us to share our

success and fortunes with those around us. Like Semyon and Matryona, I hope we

become sharing, caring, and loving people.

 

Posted by speram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