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글과 작품들2011. 7. 7. 07:52
<퍼온 글입니다.>
성경본문이 한 편의 설교가 되기 위해서는 주석(exegesis)과 해석(interpretation)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주석은 본문이 말하는 의미를 끌어내는 것이고, 해석은 그것을 오늘 우리를 위한 메시지가 되게 하는 것이다.

 

성도들은 하나님이 '오늘 나에게' 주시는 말씀을 듣고 싶어한다. 그러나 성경은 오늘 우리와는 사뭇 다른 환경에서 다른 문제들과 씨름하던 사람들을 위해 기록되었기 때문에, 오늘 우리의 문제에 직답을 주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그 시대 사람들에게 주신 말씀이 오늘 우리의 질문에 답하게 하는 해석 과정이 필요하다.

 

성경과 우리의 간격은 복음서에서 더욱 크다. 복음서는 예수가 누구인지를 가르쳐주지만, 청중은 그보다 예수가 나에게 무엇을 줄 수 있는지 알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매 주일 누가복음을 강해하고 있는데, 주석을 포기하지 않으면서 청중의 필요에 부응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새삼 절감하게 된다. 주석을 통해 나온 의미가 오늘의 청중에게는 너무 낯선 것이어서, 그것을 현실에 어떻게 적용해야 할 지 난감한 경우가 자주 있다. 그러다 보니 많은 설교자들이 주석을 사실상 포기하고 어휘나 개념 하나만 잡은 후 바로 해석으로 넘어가게 되는 것같다.

 

이럴 때일수록 나는 아직 초보자임을 기억한다. 초보자일수록 결과('은혜로운' 설교)에 집착하지 않고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 그 기본이란 설교를 성경 본문의 토대 위에 세우는 것이다. 본문이 청중의 필요로부터 멀리 있을지라도, 주석을 포기하거나 거리가 없는 듯 본문을 왜곡하여 성급히 선포로 넘어가지 않고, 그 간격을 인식하며 해석의 씨름을 계속하는 것이다. 이런 씨름 속에서 나는 설교가 신학의 연장선상에 있음을 재확인한다.


Posted by speramus
좋은 글과 작품들2011. 7. 4. 21:56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 심순덕>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하루 종일 밭에서 죽어라 힘들게 일해도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찬밥 한 덩이로 대충 부뚜막에 앉아 점심을 때워도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한겨울 냇물에 맨손으로 빨래를 방망이질해도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배부르다 생각 없다 식구들 다 먹이고 굶어도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발뒤꿈치 다 헤져 이불이 소리를 내도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손톱이 깎을 수조차 없이 닳고 문드러져도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아버지가 화내고 자식들이 속 썩여도 전혀 끄떡없는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외할머니 보고 싶다
외할머니 보고 싶다, 그것이 그냥 넋두리인 줄만……

한밤중 자다 깨어 방구석에서 한없이 소리 죽여 울던
엄마를 본 후론
아!
엄마는 그러면 안 되는 것이었습니다.


Posted by speramus
좋은 글과 작품들2011. 5. 28. 06:35
도종환 “모두가 장미일 필요는 없다”




장미꽃은 누가 뭐래도 아름답다. 붉고 매끄러운 장미의 살결, 은은하게 적셔 오는 달디단 향기, 겉꽃잎과 속꽃잎이 서로 겹치면서 만들어 내는 매혹적인 자태. 장미는 가장 많이 사랑받는 꽃이면서도 제 스스로 지키는 기품이 있다.

그러나 모든 꽃이 장미일 필요는 없다. 모든 꽃이 장미처럼 되려고 애를 쓰거나 장미처럼 생기지 않았다고 실망해서도 안 된다. 나는 내 빛깔과 향기와 내 모습에 어울리는 아름다움을 가꾸는 일이 더 중요하다. 어차피 나는 장미로 태어나지 않고 코스모스로 태어난 것이다. 그러면 가녀린 내 꽃대에 어울리는 소박한 아름다움을 장점으로 만드는 일이 중요하다.
욕심부리지 않는 순한 내 빛깔을 개성으로 삼는 일이 먼저여야 한다. 남들에게서는 발견할 수 없는 내 모습, 내 연한 심성을 기다리며 찾는 사람이 반드시 있기 때문이다.

어찌하여 장미는 해마다 수없이 많은 꽃을 피우는데 나는 몇 해가 지나야 겨우 한 번 꽃을 피울까말까 하는 난초로 태어났을까 하고 자책할 필요가 없다. 나는 장미처럼 화사한 꽃을 지니지 못하지만 장미처럼 쉽게 지고 마는 꽃이 아니지 않는가. 나는 장미처럼 나를 지킬 가시 같은 것도 지니지 못했지만 연약하게 휘어지는 잎과 그 잎의 담백한 빛깔로 나를 지키지 않는가. 화려함은 없어도 변치 않는 마음이 있어 더 오랜 세월 동안 사랑받고 있지 않는가.

나는 도시의 사무실 세련된 탁자 위에 찬탄의 소리를 들으며 앉아 있는 장미가 아니라 어느 산골 초라한 집 뜨락에서 봉숭아가 되어 비바람을 맞으며 피어 있을까 하고 자학할 필요가 없다. 나는 장미처럼 붉고 짙으면서도 반짝반짝 빛나는 아름다운 빛깔을 갖고 태어나지 못하고 별로 내세울 것 없는 붉은빛이나 연보랏빛의 촌스러운 얼굴빛을 갖고 태어났을까 하고 원망할 필요가 없다.

봉숭아인 나를 사랑하는 사람은 내 빛깔을 자기 몸 속에 함께 지니고 싶어 내 꽃잎을 자기 손가락에 붉게 물들여 지니려 하지 않는가. 자기 손가락을 내 빛깔로 물들여 놓고 바라보면서 사랑하는 사람을 생각하고 또 생각할 만큼 장미는 사랑받고 있을까. 장미의 빛깔은 아름다우나 바라보기에 좋은 아름다움이지 봉숭아처럼 꽃과 내가 하나 되도록 품어 주는 아름다움은 아니지 않는가.

장미는 아름답다. 너무 아름답기 때문에 시기심도 생기고 그가 장미처럼 태어났다는 걸 생각하면 은근히 질투심도 생긴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장미일 필요는 없다. 나는 나대로, 내 사랑하는 사람은 그 사람대로 산국화이어도 좋고 나리꽃이어도 좋은 것이다. 아니 달맞이꽃이면 또 어떤가.


Posted by speramus
좋은 글과 작품들2011. 5. 11. 09:48
찬양을 듣다 운 적이 많이 있다.
아니 유행가를 듣다가도 그 가사가 나의 삶에 공명이 될 때, 울 때도 있는 것이다.
아침 출근 시간에 들었던 찬양으로, 처음 듣는 곡이었는데 가사가 정말 공감이 가고 내 삶의 자리에 너무나 어울린다.

I Need You More

I need You more, more than yesterday
I need You Lord, more than words can say
I need You more, than ever before
I need You Lord
I need You Lord

More than the air I breathe
More than the song I sing
More than the next heartbeat
More than anything
And Lord, as time goes by,
I will be by your side
Cause I never want to go back to my old life.


요즘 삶이 내가 원하는 대로 진행되지 않아 너무 답답하다.
목사안수
학업
논문
진로
이 모든 것이 내가 원하는대로 되지 않고 있다.
삶이 절박해지니 주님을 찾게 되는 비열함에 고개를 떨구면서도,
고백할 수 밖에 없는 것은
내게 주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가사 중에
숨쉬는 공기보다
다음 심장 박동보다 주님이 필요해요. 이 부분, 최고다.
나는 주님 곁에 항상 붙어 있을래요. 왜냐면 나는 예전 내 삶으로 돌아가기 싫기 때문이죠.
와~~ 정말 쉬우면서도 공감이 가는 가사다.

내 삶에 주님이 필요합니다.
그 어느때 보다더 주님이 필요합니다!! 주님 사랑해요!!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Posted by speramus
좋은 글과 작품들2011. 4. 19. 20:32
인터넷 기사를 읽다 잠시 눈물나게 하는 기사가 있어 스크랩 해 옵니다.
원문은 아래에 긁어 왔고, 링크주소는 다음과 같죠^^
http://m.kyeongin.com/articleView.html?idxno=521242

▲ 김이환 (이영미술관장) [경인일보=]벌써 한 해의 허리에 접어드는 초여름이 다가들고 있다. 유난히 변덕이 심한 날씨여서 개나리, 벚꽃, 목련이 앞뒤 없이 피고지더니 어느새 모란도 꽃잎을 뚝뚝 떨어뜨렸다. 고개들어 미술관 주변 산을 둘러보면 온 산자락에 흰 아카시아 꽃잎이 눈송이처럼 날리고 있다. 봄이 떠난 것이다. 이런 초여름 아침 나절 몸에 밴 습관대로 일주일치 신문을 정리하다가 '法情에 울어버린 소녀犯'이란 5월17일자 ㅈ신문의 기사가 눈에 띄어 단숨에 읽었다. 가슴이 먹먹해진다는 건 이런 것일까? 아카시아꽃 향기를 먹먹한 가슴 깊숙이 들여마셔 보았다. 그날 따라 아카시아 향기에는 전에 없이 신선함이 가득했다.

내 심금을 울린 그 기사를 요약하면 이렇다.

지난 4월초 서초동 법원 청사 소년 법정은 감동의 눈물에 젖었다. 서울 도심에서 친구들과 함께 오토바이 등을 훔쳐 달아난 혐의로 피고인석에 앉은 A(16)양에게 서울가정법원 김귀옥(47) 부장판사가 내린 특별한 처분 때문이었다. 김 판사는 법적으로는 아무 처분을 하지않는 불처분 결정을 내리는 한편 피고로 하여금 '법정에서 일어나 외치기'라는 특별한 처분을 내렸다고 한다. A양은 작년 가을부터 14건의 절도 폭행을 저질러 이미 한 차례 소년법정에 섰던 전력조차 있었다. 법대로라면 소년보호시설 감호 위탁같은 무거운 보호 처분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었으나 김 판사가 과감히 불처분 결정을 내린 연유는 무엇일까? A양은 작년 초까지만 해도 반에서 상위권 성적을 유지하면서 간호사를 꿈꾸던 발랄한 학생이었다. 그러나 남학생 여러 명에게 집단 폭행을 당하면서 삶이 바뀌었다. 그 후유증으로 병원 치료도 받았고 죄책감에 시달려 학교에서 겉돌면서 범행을 저지르기 시작한 것이다.

김 부장판사는 법정에서 말했다.

"이 아이는 가해자로 재판에 왔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삶이 망가진 것을 알면 누가 가해자라고 쉽사리 말하겠어요? 아이의 잘못이 있다면 자존감을 잃어버린 겁니다. 그러니 스스로 자존감을 찾게 하는 처분을 내려야지요." 그러면서 "앉은 자리에서 일어나렴. 자, 날 따라서 힘차게 외쳐 봐.… 나는 세상에서 가장 멋지게 생겼다. 나는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 나는 이 세상에 두려울 게 없다. 이 세상은 나 혼자가 아니다"라고 A양에게 따뜻하게 말했다. 잠시 머뭇거리던 A양이 나직하게 "나는 세상에서…"라며 입을 뗐다. 그리고 판사를 따라 점점 더 크게 외쳤다. A양은 "이 세상은 나 혼자가 아니다"고 외칠 때 참았던 눈물을 터뜨렸다. 법정에 있던 A양의 어머니도 울었고 재판 진행을 돕던 참여관도, 법정 경위의 눈시울도 젖었다.

나는 이 기사를 읽으면서 얼마 전 이 '금요산책'란에도 소개했던 미국의 라과디아 판사가 떠올랐다. 대공황으로 피폐할대로 피폐해진 1930년대 뉴욕의 치안법정에서 라과디아 판사가 빵을 훔친 한 가난한 할머니에게 내렸던 감동적인 판결을 기억하시는지?

"법에는 예외가 없습니다. 아무리 사정이 딱해도 죄를 지었으면 벌금을 내야 합니다. 그렇지만 가난으로 굶주리는 어린 손녀들을 먹이기 위해 늙은 할머니가 빵을 훔쳐야 하는 이 비정한 도시의 시민에게도 죄가 있습니다. 그동안 좋은 음식을 많이 먹어온 저에게 벌금 10달러를 선고합니다. 할머니의 벌금을 대신 내겠습니다. 그리고 이 법정의 뉴욕 시민 여러분에게도 각기 50센트씩을 선고합니다."

김귀옥 부장판사의 '대처분'과 라과디아 판사의 판결은 우리 모두에게 시사하는 바가 깊고 크다. 법과 법조인에 대한 실망과 불신이 더할 수 없이 깊은 우리 사회에 이런 명판결이 더 많이, 더 자주 나오기를 기대한다. 그러려면 법을 다루는 분들의 사람에 대한 애정과 고뇌가 더 깊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부디 A양이 모성의 판결을 한 김 부장판사의 '대처분'대로 자존감을 회복하여 건실한 숙녀로 성장하기를 빈다.
ⓒ 경인일보(http://www.kyeongi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Posted by speramus
좋은 글과 작품들2011. 4. 16. 00:21



샤갈의 그림 "하얀 십자가 " 이다.

아기를 안고 도망가는 여인, 불타는 집들, 군인들에게 쫓기는 자들, 배를 타고 피신하는 사람들

모두가 절망가운데 있는 사람들이다.

그 한 가운데 십자가는 묵묵히 서 있다.

십자가의 세로 막대는 하늘을 향해 열려 있고,

야곱의 사닥다리는 십자가를 통해 하늘로 연결된다.

예수 그리스도의 결백한 하얀 죽음을 통해

하늘을 향하는 문이 활짝 열린것이다.

절망 가운데 유일한 희망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시다.

인류를 구원하시기 위한 하나님의 구원의 사다리, 그것이 바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이다.

십자가, 십자가, 그 그늘 아래 내 소망이 있네.


Posted by speramus
좋은 글과 작품들2011. 4. 7. 18:05
Posted by speramus
좋은 글과 작품들2011. 4. 7. 18:05
Posted by speramus
좋은 글과 작품들2011. 4. 7. 18:04
Posted by speramus
좋은 글과 작품들2011. 4. 7. 17:59
Posted by speram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