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글과 작품들2011. 7. 7. 07:52
<퍼온 글입니다.>
성경본문이 한 편의 설교가 되기 위해서는 주석(exegesis)과 해석(interpretation)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주석은 본문이 말하는 의미를 끌어내는 것이고, 해석은 그것을 오늘 우리를 위한 메시지가 되게 하는 것이다.

 

성도들은 하나님이 '오늘 나에게' 주시는 말씀을 듣고 싶어한다. 그러나 성경은 오늘 우리와는 사뭇 다른 환경에서 다른 문제들과 씨름하던 사람들을 위해 기록되었기 때문에, 오늘 우리의 문제에 직답을 주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그 시대 사람들에게 주신 말씀이 오늘 우리의 질문에 답하게 하는 해석 과정이 필요하다.

 

성경과 우리의 간격은 복음서에서 더욱 크다. 복음서는 예수가 누구인지를 가르쳐주지만, 청중은 그보다 예수가 나에게 무엇을 줄 수 있는지 알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매 주일 누가복음을 강해하고 있는데, 주석을 포기하지 않으면서 청중의 필요에 부응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새삼 절감하게 된다. 주석을 통해 나온 의미가 오늘의 청중에게는 너무 낯선 것이어서, 그것을 현실에 어떻게 적용해야 할 지 난감한 경우가 자주 있다. 그러다 보니 많은 설교자들이 주석을 사실상 포기하고 어휘나 개념 하나만 잡은 후 바로 해석으로 넘어가게 되는 것같다.

 

이럴 때일수록 나는 아직 초보자임을 기억한다. 초보자일수록 결과('은혜로운' 설교)에 집착하지 않고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 그 기본이란 설교를 성경 본문의 토대 위에 세우는 것이다. 본문이 청중의 필요로부터 멀리 있을지라도, 주석을 포기하거나 거리가 없는 듯 본문을 왜곡하여 성급히 선포로 넘어가지 않고, 그 간격을 인식하며 해석의 씨름을 계속하는 것이다. 이런 씨름 속에서 나는 설교가 신학의 연장선상에 있음을 재확인한다.


Posted by speram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