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룻기 24-16

제목: 환대, 우리의 공기어야 합니다.

 

1.     누구집에 속한 사람인가?

  보리 추수를 해 보신 적 있으신가요? 제가 어린 시절 가장 싫어했던 추수 중에 하나가 보리 추수였습니다. 한국에서 보리 추수는 5월 말에서 6월 초에 합니다. 5월 말이 되면 한국은 더워지기 시작하죠. 보리 추수가 힘든 것이 더울 때 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보리의 끝부분에 달린 까끄라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까끄라기는 옷에 잘 달라붙고 살을 스치면 상처를 입히면서 매우 따갑게 만듭니다. 보리 추수가 무척 힘든 일이기 때문에 어떤 농부들은 초등학교나 중학교에 도움을 청하기도 했답니다. 그러면 하루 날 잡아서 학교의 모든 학생들이 이밭 저밭 흩어져서 보리 추수를 도왔답니다. 보리 추수가 아무리 힘들더라도 기다려지는 시간이 있으니 바로 간식 시간이었어요. 학생들을 불러 온 집 주인은 반드시 학생들의 품삯 대신 맛있는 간식을 내 와야 했어요. 어떤 날은 잘 걸리면 보름달 빵에 아이스크림까지 먹게 되는데, 간식을 먹을 때만은 모든 친구들이 행복해 했던 기억이 나네요. 보리 추수는 여러분 생각보다 훨씬 힘든 노동이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이 살았던 팔레스틴 땅에서 보리추수는 4월 초에 시작됩니다. 늦은 비가 그치고 건기가 시작되는 시점이 바로 4월 초입니다. 유월절 명절이 보리 추수 시기와 겹치게 됩니다.  지난 주에 살펴 보았듯이 룻은 우연히도 나오미의 친척인 보아스의 밭으로 들어가 보리 이삭을 줍게 되었습니다. 보아스의 이름의 뜻이 기억나시나요? “빠름, 쾌속이라는 뜻이라 했죠. 보아스도 우연히 룻이 이삭을 줍는 그 시간에 자신의 밭을 한 번 둘러보러 왔습니다. 그런데 낯선 여인이 자신의 밭에서 이삭을 줍는 것이 눈에 띄었습니다. 조그만 마을에서 잘 알려지지 않는 사람은 쉽게 눈에 띄게 되어 있습니다. 어린이 여러분의 반에 모르는 학생이 앉아 있으면 여러분은 반드시 옆에 친구에게 저 아이는 누구인지 물어보겠죠? 보아스도 일꾼들을 감독하는 마름(manager)에게 물어봅니다. “저 젊은 여인이 누구집의 아낙인가?” 보아스는 룻에게 직접 물어보지 않고 있습니다. 그리고 룻의 이름이나 그녀가 어디에서 왔는지를 묻지 않습니다. 대신에 룻이 누구 집에 속해 있는지 묻고 있는 것을 주목해 보아야 합니다. 보아스는 룻이 누구의 아내이며, 누구의 딸이며 혹은 누구의 종인지 궁금해하면서 룻의 가족 관계에 대해 질문하고 있습니다.

예전에 어쩌다 어른이라는 티비 프로그램을 봤는데 이런 내용이 나오더라구요. 화면에 원숭이, 펜더, 바나나가 있습니다. 둘을 하나로 묶는다면 여러분은 셋 중에 어떤 것을 하나로 묶으시겠습니까? 한국을 비롯한 동양사람들의 대부분은 원숭이와 바나나를 묶는다고 합니다. 그런데 서양사람들은 이렇게 묶는 동양사람들이 이해가 안 간대요. 왜냐면 서양사람들에게는 같은 종류, 그러니까 동물끼리 묶는 것이 상식적이라 생각하기 때문이죠. 반면 동양사람들은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거예요. 원숭이와 바나나는 매우 깊은 관계가 있잖아요. 그러니까 원숭이와 바나나를 묶는 겁니다. 한국 사람들은 자기 소개서를 쓰라고 해도 자기를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관계를 소개한데요. “저는 엄격하신 아버지와 자상하신 어머니 사이에서 23녀 중에 막내로 태어났습니다.” 관계로 자기를 표현하는 전형적인 한국식의 자기소개서이죠. 보아스도 마찬가지입니다. 룻이 누구인지에 대한 것보다 룻이 누구와 관계 있는지에 대해 궁금해 하는 것이죠. 누구의 집에 속해 있는 지가 그를 아는 가장 빠른 방법이었던 거죠.

 

2.      헤세드는 헤세드로

  8절부터 보아스와 룻의 대화가 시작됩니다. 8절을 보면 보아스가 룻에게 다른 밭으로 가지 말고 자기 밭에 머무르라고 권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자기 밭에서 일하는 여인들을 바싹 따라다니도록 하고 있습니다. 룻의 안전을 생각하는 배려입니다. “함께 있으라 (Keep close)” 라는 동사는 이미 114절에 같은 히브리어 동사가 동일하게 쓰인 적이 있습니다. “룻은 오히려 시어머니 곁에 더 달라붙었다(cling to).”에 쓰였어요. 홀로 남겨질 어머니를 보호하고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 어머니에게 더 달라붙은 룻이었죠. 그런데 이제 그녀를 보호하기 위해 보아스가 다른 곳에 가지 말고 자기에게 속해 있는 사람들에게 달라 붙어 있으라고 권하고 있는 겁니다. 보아스는 룻의 안전을 염려 했고 이외에 한 가지 더 조치를 취합니다. 그녀의 안전을 위해 젊은 남자 일꾼들에게도 룻을 건드리지 말라고 명령을 하고 있습니다. 건드리지 말라는 말은 희롱하지 말라는 말입니다. 룻은 젊은 여자였고 게다가 이방에서 온 여자였기 때문에 남자들의 표적이 되기 쉬웠던 것을 보아스는 알고 있었습니다. 일꾼들은 ~ 이 젊은 여자는 건드리면 안 되겠구나. 이 여자는 주인님의 보호아래 있구나.”라고 생각했을 겁니다.

 

룻기를 읽다 보면 하나님께서 룻의 결단과 결정에 대해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해주신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이 신앙에 있어 정말 중요한 원리 중에 하나인 것 같아요. 우리가 행한 헤세드에 대해 하나님은 반드시 헤세드로 갚아 주신다는 거죠. 룻이 늙으신 어머니를 보호하기 위해 동서가 떠나는 것과는 반대로 어머니에게 더 달라 붙었었죠. 이에 대해 하나님은 보아스를 통해 룻을 보호하기 위해 그의 밭에 더 달라 붙을 수 있도록 해주십니다. 그녀가 어머니를 위해 행한 보호 행위가 이제 하나님께서 그녀를 보호해 주시는 것으로 갚아지고 있는 것을 보아야 합니다. 그런데 원래 시작은 나오미가 자기 며느리들을 선하게 대해준 것부터 였습니다. 나오미가 며느리들을 선대해주었기 때문에 며느리 룻이 나오미를 선대한 것이었죠. 그리고 룻이 시어머니에게 선대한 것이 입소문을 타고 베들레헴에 퍼졌고 보아스의 귀에까지 들어갔습니다. 룻의 착한 행동이 보아스의 마음을 감동시켰습니다. 이렇게 헤세드는 돌고 돌고 돌아 많은 이들을 행복하게 해주고 있습니다.

 

어린이 여러분 표정이 헤세드가 뭐예요?”라고 하고 있는데요. 헤세드란 언약적인 관계에 있는 사람들 사이에 서로 행해야 하는 신실한 태도예요. 언약적인 관계란 말이 어렵죠? 언약관계는 다른 사람을 사랑하지 않고 당신만 사랑할게요.”라는 약속을 맺은 관계를 말해요. 결혼을 할 때 서로 약속하잖아요. “다른 사람에게 절대 마음 주지 않고 이 사람만 사랑할게요.”라구요. 시어머니와 며느리 사이도 언약관계예요. 하나님과 우리 사이도 언약관계예요. 우리가 하나님을 믿고 따르겠습니다고 약속하잖아요. 그렇게 약속하는 것은 하나님보다 다른 것을 더 사랑하지 않겠다는 약속이예요. 하나님을 가장 사랑하겠다는 약속인 거죠. 우리가 그렇게 하나님을 사랑하고 따라가겠다고 하면, 하나님도 가만히 있으시지 않아요. 하나님도 우리를 보호해 주시고 우리의 삶에 좋은 것들을 쏟아 주신답니다. 이것이 헤세드예요. 나오미는 며느리 룻에게 헤세드를 주었고, 룻은 그 헤세드를 시어머니에게 갚아주었어요. 그런데 룻이 행했던 헤세드가 이제 보아스를 통해 룻에게 되갚아지고 있는 거예요.

 

3.     떠나고 떠나서 하나님 품으로

  11절을 보면 보아스가 룻과 대화를 나누면서 룻이 행한 가장 큰 미덕이 무엇인지 꼬집어서 이야기 하는 것을 봅니다. “댁은 친정 아버지와 어머니를 떠나고, 태어난 땅을 떠나서, 엊그제까지만 해도 알지 못하던 다른 백성에게로 오지 않았소?” 보아스는 룻이 떠나고 떠난 행동을 높이 평가해 주고 있어요. 집 떠나면 뭐다? 고생이다. 떠나는 것은 고생을 사서하는 것입니다. 여행을 하는 것은 사서 고생하는 겁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왜 여행을 좋아합니까? 떠나보면 뭔가 새로운 것을 발견하며 얻는 게 많아집니다. 하지만 떠나는 것은 안정적이고 편안한 것들을 포기하는 용기가 있어야 가능합니다. 룻이 자신의 아버지와 어머니 집을 떠나는 것은 대단한 용기와 결단이 없이는 불가능 한 것임을 보아스는 알고 있어요. 태어난 땅을 떠났다고 칭찬해주고 있잖아요. 문화가 다르고 언어가 다른 땅에서 사는 것이 얼마나 힘든 것인지 보아스는 알고 있는 것 같아요. 그런데 11절 말씀을 읽으면서 어떤 성경의 인물이 떠오르지 않으신가요? 아브라함입니다. 아브라함도 자신의 고향과 아버지 집과 친척들을 떠나서 하나님이 보내신 땅으로 가잖아요. 성경은 우리 믿음의 본질이 떠나는 것이라고 말해줍니다.  

 

내가 편하게 여기고 나의 만족을 위한 삶에서 돌이키는 것이 믿음의 시작이자 본질입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가치관의 변화죠. 가치 있게 여기는 것들이 변한다는 것이 가치관의 변화죠. 예배를 의미하는 worship이라는 것이 가치를 의미하는 worthcondition이나 character를 의미하는 -ship이 합해져 만든 말이잖아요. 워십이란 하나님이 가장 가치있다는 고백입니다. 하나님을 믿는다는 것은 내가 소중하게 여겼던 나의 욕망에서 돌아서는 것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입니다. 나만을 위해 살았던 인생이 이제 다른 사람과 연결되고 나아가 하나님과 연결되게 되는 것이지요. 보아스는 룻의 이런 돌아섬의 놀라운 용기와 결단을 칭찬해 주고 있는 겁니다.

 

4.     환대는 우리의 공기어야 합니다.

  보아스의 친절이 너무 과한 거 아니야?”, “그가 꿍꿍이 속이 있어서 이렇게 과한 친절을 하고 있는 거 아니야?”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계실 겁니다. 룻도 보아스의 친절이 너무 낯설고 어색했던 것 같아요. 13절 말씀을 보면 어른께서 이토록 잘 보살펴 주시니, 몸 둘 바를 모르겠습니다.”라고 고백하잖아요. 룻은 이런 대우를 받게 될 거란 것을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것 같아요. 하지만 앞에서도 밝혔지만 보아스의 친절은 전적으로 룻이 시어머니에게 보여준 헤세드를 바탕으로 한 것이었습니다.

보아스의 이런 친절을 한 마디로 정리한다면, “이제 당신은 우리 편이예요.”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보아스는 룻에게 울타리를 쳐주면서 이제 우리 편에 들어온 한 팀이라고 말해 주고 있는 듯 합니다. 보아스가 맨 처음 물었던 질문에서 우리는 알 수 있었죠. “저 여인이 뉘 집의 아낙인가?” 누구에게도 소속되지 못해 외롭게 살아가는 룻과 나오미를 자기 편에 끼워주는 보아스의 따뜻함을 우리는 느낄 수 있습니다.

 

저는 어릴 적 운동신경이 그리 뛰어나지 않았습니다. 야구는 곧잘 했지만, 축구는 젬병이었습니다. 축구를 할 때면 잘 못하니 아이들은 저를 잘 끼워주지 않았습니다. 신학대학원에서도 목사되겠다는 분들이 축구대회 같은 데 나가면 절대 안 끼워주더라구요. 축구하면서 소속되지 못하는 것이 얼마나 마음 아픈 것인지 느꼈습니다. 그래서 지금도 저는 축구는 국가대표 경기도 잘 안 봅니다. 룻이 느끼는 불안감과 불편함의 가장 큰 부분은 소속되지 못하는 것에서 오는 것이었을 겁니다. 하지만 보아스의 환대로 말미암아 룻은 소속감을 처음 느껴보게 되었을 겁니다.

 

저번에도 한 번 말씀드렸지만, 우리 나라 놀이문화에서 깍두기라는 것이 있잖아요. 둘씩 짝을 만들어 팀을 나눌 때 한 명이 남을 때가 있죠. 어떤 팀에도 끼지 못한 아이를  깍두기라고 부릅니다. 보통 깍두기는 어떤 놀이를 가장 못하는 아이예요. 그런데 깍두기를 놀이에 끼워주나요 안 끼워주나요? 깍두기도 놀이에 끼워줍니다. 깍두기라고 왕따시키지 않아요. 약한 사람, 소외된 사람을 품고 가는 것이 우리 민족이 가진 좋은 문화입니다. 그런데 나중에 깍두기를 가진 팀이 이기게 될 확률이 높습니다. 보아스는 룻을 깍두기로 여기고 그녀를 우리편 먹자고 얘기하고 있어요.

식사 때가 되어서 그는 룻에게 함께 음식을 먹자고 초청하고 있습니다. 그녀가 어색해 할까봐 빵조각을 초에 찍어서 먹으시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일꾼들이 이방 여인에게 눈치를 주기 전에 미리 차단하기 위해 보아스가 그렇게 얘기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거기에 그치지 않고 보아스는 볶은 곡식까지 듬뿍 퍼담아 룻에게 건내 줍니다. 룻은 볶은 곡식 때문이 아니라 어떤 공동체에 소속되었다는 것 때문에 든든함을 느꼈을 겁니다. 세상에서 가장 큰 환대는 맛있는 음식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맛있는 음식을 대접 받는 이는 저 사람이 나를 환영해 주고 환대해주는구나 라는 것을 느낀다는 것이죠. 룻이 어떤 마음이었을지 예상할 수 있습니다.

 

보아스의 삶 자체가 환대와 포용이 몸에 배어 있는 듯 합니다. 환대와 포용이 보아스의 인격 안에 녹아 있는 거죠. “교회의 공기는 환대여야 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따라가고 실천하는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가 행한 환대와 포용을 실천해야 합니다. 이곳에 오는 어떤 누구도 소외되어서는 안됩니다. 어린 아이더라도 이곳에 오면 대접받고 존중 받아야 합니다. 저는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고 누군가가 우리 공동체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이 가장 가슴 아픈 것 중에 하나입니다.

 

5.     맺는 말

오늘 몇 가지 포인트로 본문을 함께 나눴습니다. 먼저 하나님은 우리가 행한 헤세드에 대해 반드시 동일한 헤세드로 보상해 주신다는 겁니다. 헤세드는 또 다른 헤세드를 낳는 다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테크니 금()테크니 하는 말들이 있잖아요. 참고로 저는 아들 셋이어서 자()테크를 하는 중입니다. 요즘은 몸의 근력을 기르는 것이 가장 현명한 투자라면서 근()테크라는 신조어가 생겼대요. 그런데 저는 헤세드 테크만큼 남는 투자도 없다고 봅니다. 헤세드 테크, 헤테크(惠澤) 어떠신가요? 헤테크하시는 분들에게 하나님의 헤세드 멤버십 써비스인 다양한 혜택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헤헤헤헤헤 웃음을 주고도 남는 헤테크에 여러분의 삶을 투자해 보십시오.

두번째로 믿는 것은 돌아서는 것과 떠나는 것이라 했습니다. 내가 소중하게 여겼던 가치관에서 하나님의 가치관으로 갈아 타는 것입니다. 이 결단은 쉽지 않지만, 떠나는 이들에게는 하나님의 극진한 보호하심이 따라다니니 손해보는 것이 절대 아닐 것입니다.

세번째로 환대는 우리 교회의 공기어야 한다는 것을 나눴습니다. 교회에서 만큼은 어떤 깍두기도 놀이에서 소외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됩니다. 여러분의 삶에서 환대를 실천하고 연습하셔야 합니다. 환대가 여러분의 기본 인격이 되도록 연습하십시오. 맛있는 식사대접보다 상대방에게 환영과 환대를 느끼게 해주는 것도 없습니다. “빵을 초에 찍어 드십시오. 그리고 볶은 곡식도 넉넉히 넣어 두세요.”라며 룻에게 주는 보아스의 환대의 이야기를 기억하십시오. 그리고 여러분만의 환대의 이야기, 환대의 공동체를 만들어 가 보십시오. 적어도 내가 있는 이곳 만큼은 살맛나는 세상이고 아름다운 세상이구나 라는 것을 환대로 증명해 보여주시면 좋겠습니다. 적대를 의미하는 hostility와 환대를 의미하는 hospitality는 한 글짜 차이입니다. 그러나 적대가 가득한 세상과 환대가 가득한 세상은 너무나 큰 차이가 있습니다. 환대를 통해 아름다운 세상 만들어가는 우리 모두가 되기를 소망해 봅니다.

 

Text: Ruth 2:4-16

 

Title: Hospitality should be our air.

translated by MinJun Hur

 

1.    Who do you belong to?

 

  Have you ever been to a barley harvest? One of my least favorite harvests growing up was the barley harvest. In Korea, barley harvest starts in late May or early June. By end of May, it is hot outside. It's hard to harvest barley not only because of the weather, but also because of the awns on the end of the barley. Awns stick to your clothes, and when they graze your flesh, it hurts. Because it's so hard to harvest barley, some farmers ask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for help. They set aside a day for the students to come, and all the students spread out across the fields to help harvest the barley. No matter how hard the harvest was, there was always a time to look forward to, and that was snack time. The owners would reward the students with a delicious snack. Some days, you get lucky and get to have full moon bread and even ice cream. I remember all of my friends being so happy when we had snacks. You should know that harvesting barley is much harder work than you might think.

 

In the Palestinian lands where the Israelites lived, the barley harvest begins in early April. Early April is when the rains stop and the dry season begins. The Passover coincides with the barley harvest.  As we said last week, Ruth happened to pick up barley in the field of Boaz, who happened to be a relative of Naomi's. If you remember the meaning of Boaz's name, it means "quick, swift." Boaz happened to be taking a look at his field at the same time Ruth was there, and he noticed a strange woman gleaning in his field. In a small town, it's easy to stand out when you're not well known. If someone you didn't know sat in your class, you would definitely ask your friend next to you who he or she was, right? So Boaz asked his manager, the man who oversees the laborers, “who does that young woman belong to?” Boaz doesn't ask Ruth directly, and he doesn't ask for Ruth's name or where she is from. Instead, he asks who she belongs to. Boaz is inquiring about Ruth's family relationship, wondering whose wife she is, whose daughter she is, or whose servant she is.

 

I once watched a TV show called "Happened to be Adult" and there was scene like this: there's a monkey, a panda, and a banana on the screen. If you were to put two of them together, which two would you put together? Most people in the East, including Koreans, would put the monkey and the banana together, and Westerners don't understand why people in the East do this, because to Westerners, it's common sense to put things together that are the same kind, for example in this case animals. In contrast, in the East, it's all about relationships, and monkeys and bananas have a very deep relationship, so they're grouped together. When Koreans are asked to write a cover letter, they don't talk about themselves, they talk about relationships. "I was born the youngest among two boys and three girls to a strict father and a loving mother," is a typical sentence in a Korean cover letter focused on relationships. Boaz is the same way. It's not so much about who Ruth is. It is about who she is related to, and the quickest way to get to know her was to know who she belonged to.

 

2.    Hesed makes another Hesed...

 

  The conversation between Boaz and Ruth begins in verse 8. In verse 8, Boaz is encouraging Ruth to stay in his field and not go to another field. He is asking her to keep a close eye on the women working in his field. This is a consideration for Ruth's safety. The same Hebrew verb, "keep close," has already been used in chapter 1 verse 14. "Ruth rather clung to her [her mother-in-law.]" Ruth clung to her mother-in-law to protect her and keep her safe from being alone. Now, in order to protect Ruth, Boaz is encouraging her to cling to those who belong to him and not go elsewhere. Boaz is concerned about Ruth's safety, and he takes one more step to ensure her safety: he orders the young male workers not to touch her. When he says don't touch, he means don't harass. Boaz knew that because Ruth was a young woman and a foreigner, she was an easy target for men. The workers might have thought, "Oh, we shouldn't touch this young woman, she's under the master's protection."

 

 

 

As we read through the book of Ruth, we see that God always rewards Ruth for her determination and decisions. I think that's one of the very important principles of faith, that for every Hesed (kindness) we do, God will reward us with Hesed. Ruth clung to her mother-in-law as opposed to her sister-in-law. In response, God uses Boaz and allows Ruth to cling more to his field. We see that the act of protection she did for her mother is now being repaid by God protecting her. But it all started with Naomi's good treatment of her daughters-in-law. And because Naomi was good to her daughters-in-law, her daughter-in-law Ruth was good to Naomi. And because Ruth was good to her mother-in-law, word of mouth spread to Bethlehem and reached the ears of Boaz. And because Ruth's good deed touched Boaz's heart, Hesed went around and around and around, making many people happy.

 

 

 

The children's faces are saying, "What's a hesed?" A hesed is an act of faithfulness between people who are in a covenantal relationship. A covenantal relationship is a relationship in which there is a promise, "I will love you and no one else." When you get married, you promise each other, "I will never give my heart to anyone else, but only to you."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in-law and a daughter-in-law is also a covenantal relationship. Also is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us. We promise to believe in God and to follow God, and when we make that promise, we promise not to love anything else more than God. We promise to love God the most. When we love and follow God like that, God doesn't stand still. God protects us and pours out good things into our lives. This is Hesed. Naomi gave her daughter-in-law Ruth hesed, and Ruth paid her mother-in-law back, and now the hesed that Ruth had done is being paid back to her through Boaz.

 

 

 

3.    Leaving and going to God

 

  In verse 11, we see Boaz talking to Ruth and pointing out what he believes to be her greatest virtue. "Didn't you leave your father and mother and the land where you were born, and come to a different people, a people you didn't know until just now?" Boaz is praising Ruth for her act of leaving and going away. What is leaving home? It's hardship. To leave is to actively seeking hardship. To travel is to seek hardship. But why do people like to travel? When you travel, you discover something new and you gain something. But it takes courage to leave behind what is stable and comfortable. Boaz knows that it takes a lot of courage and determination for Ruth to leave her parents’ house. He praises her for leaving the land of her birth. I think Boaz knows how hard it is to live in a land with a different culture and a different language. As you read the passage in chapter 11, what other Bible character comes to mind? Abraham. Abraham also left his home, his father's house, and his relatives to go to a land where God has sent him. The Bible tells us that the essence of our faith is leaving.

 

 

 

Turning away from a life of comfort and complacency is the beginning and essence of faith. In a word, it's a change in what you value. This is why the word worship comes from the word worth, which means value, and -ship, which means condition or character. Worship is a confession that God is most valuable. Trusting in God begins with turning away from my own desires that I used to value. A life lived for only myself is now connected to others and to God. Boaz is commending Ruth for her incredible courage and determination.

 

 

 

4.    Hospitality should be our air.

 

  Some of you may be thinking, "Isn't Boaz's kindness too much?" or "Isn’t he showing this much kindness because he has an ultimate motive?" I think Ruth felt awkward also. In verse 13, she confesses, " You have put me at ease by speaking kindly to your servant—though I do not have the standing of one of your servants." Ruth was not expecting to be treated like this at all. But as we have seen, Boaz's kindness was based entirely on the hesed that Ruth had shown her mother-in-law.

 

If we were to summarize Boaz's kindness in one word, it would be, "Now you are on our side." Boaz seems to be fencing Ruth in and telling her that she is now part of the team. We see this in Boaz's very first question, "Who does she belong to?" We can feel the warmth of Boaz, who embraces Ruth and Naomi, both lonely women who don't belong to anyone.

 

 

 

I was not very athletic as a kid. I was good at baseball, but I was terrible at soccer. I always finished last in track. When I played soccer, other kids did not include me because I was not very good. In seminary school, other pastor-to-bes never included me when we went to soccer tournaments. I learned how much it hurts to not belong to a team, and to this day, I don't even watch the national soccer team. A big part of Ruth's anxiety and worry must have come from not belonging to anyone. Boaz's hospitality may have been her first taste of the sense of belonging.

 

 

 

As I mentioned before, in Korean culture, there’s something called the "odd man out." When children are paired up and divided into teams, sometimes one child is left behind. That child is called the odd man out. Usually, the odd man out is the one who is the worst at a certain game, but do you include him in the game or not? We do include him in the game. We don't bully him. It's a good part of our culture to embrace the weak and the marginalized, and the team with the odd man out is usually more likely to win later. Boaz sees Ruth as the odd woman out and invites her to be on his side.

 

When it's time to eat, Boaz invites Ruth to join him. He doesn't want her to feel awkward, so he says, " Have some bread and dip it in the wine vinegar." Perhaps Boaz is trying to prevent workers from paying too much attention. Boaz doesn't stop there, he also scoops up a generous portion of roasted grain and hands it to Ruth. Ruth may have felt comforted, not by the roasted grain, but by the sense of belonging to a community. It's been said that the greatest hospitality in the world is good food. When you're served good food, you realize that this person is welcoming you and showing you hospitality. We can imagine how Ruth must have felt.

 

Boaz's very life seems to be one of hospitality and inclusion; it is woven into his character. It has been said that "hospitality should be the air of the church".  A church that follows and practices the teachings of Jesus Christ should practice the hospitality and inclusion that Jesus Christ practiced. No one who comes here should be left out. Even if they are a child, they should be treated and respected when they come here. One of the most heartbreaking things for me is when someone is turned away from our community because they don't feel like they belong.

 

 

 

5. Closing remarks

 

There are a few points today. The first is that God always rewards us with the same hesed for the hesed we have done. Remember that hesed begets another hesed. Nowadays, we are interested in bank investments and gold investments, and we have a new phrase “muscle investment,” meaning the wisest investment you can make is to build your body's strength. There is investment that pays off more than any of these which is “hesed investment.” Various benefits in God's membership service are waiting for those who invest in hesed. Let's invest our lives in hesed, hehe will make you smile.

 

The second thing is that faith is is turning around and leaving. It's about changing from the values I used to hold dear to God's values. It's not easy, but those who leave will never lose because God's extreme protection will follow them.

 

The third thing we shared was that hospitality should be the air of our church; no one should be left out of the game. You need to practice and rehearse hospitality in your life. Practice it so that it becomes your default character. Remember the story of Boaz's hospitality to Ruth when he said, "Have some bread and dip it in the wine vinegar." And create your own story of hospitality, your own story of grace, your own story of love. Let us all prove ourselves that at least the place we live in is a good place, a beautiful place.

Posted by speramus